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과 교과별 학업성취와의 관계

        윤연기 ( Yeun Gi Yun ),김판희 ( Pan H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이 교과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재학생 284명(남자151명, 여자 133명)이었다. 학생들에게 자기조절학습 검사를 실시하고 국어, 수학, 과학, 사회 교과의 학업성취도 점수를 확인하였다. 교과와 성별에 따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t-검정,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은 교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회 교과는 다른 교과에서 나타나지 않은 숙달목표지향성, 계획 요인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남학생은 교과에 관계없이 동기조절 요인만이 영향을 미쳤지만, 여학생은 교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을 다양하게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in various subjects. Also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components between boys and gir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4 (151 boys, 133 girls) 5the grade elementary students residing in D-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students were test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test of Yang, Myong-Hee(2000). The subjects included were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The students` achievement scor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school files. The correlational analysis,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significant components different among school subjects by gender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among school subjects. Especially for social studies,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lanning`` component were accountable for the achievement scor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girls utilized more various components effectively for each subject than boys who showed only the ``self-efficacy`` component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subjects.

      • KCI등재

        행동점검플래너를 적용한 학습전략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하정혜(Jeong Hye Ha),윤연기(Yeun Gi Yun),김판희(Pan Hee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학습전략프로그램 적용에서 자기점검을 반영한 행동점검플래너가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 수준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의 학습부진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행동점검플래너를 활용하는 집단과 활용하지 않는 집단으로 각각 26명씩 선정하여, 학습전략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행동점검플래너는 학습전략 요인 중 일반학생과 비교해 학습부진학생에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요인(학습목표관리, 시간 및 환경관리, 자율학습기술)의 실천여부를 스스로 점검하도록 구성하였다. 학습전략프로그램은 주 1회, 1회기 9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행동점검플래너를 활용하는 집단은 특별한 통제없이 주 2회 이상 자율적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전략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가 증진되었으며, 학습전략프로그램 적용에서 행동점검플래너를 활용한 경우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사회과 학업성취 증진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학습전략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며, 자기점검을 반영한 행동점검플래너는 학습부진학생의 학습행동 증진에 효과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learning strategy program utilizing behavioral monitoring planners, which reflected self-monitor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achieve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 underachieving students who were in their six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who were in their third year in middle school.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of 26 stud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made use of behavioral monitoring planners, and the control group didn``t. They participated in a learning strategy program, and the behavioral monitoring planners were designed to have the underachieving students check their own management of learning objectives, management of time and environments and autonomous learning skills. It``s reported that among learning strategy factors, underachieving students lagged behind other students in terms of these three elements.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was conducted in 12 sessions, once a week, 90 minutes each,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tilized the behavioral monitoring planners filled in the planners on their own twice or more a week. As a result, the underachieving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showed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and it was more effective at boos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derachieving students when the behavioral monitoring planners were used in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is one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o fix academic deficiencies, and that the behavioral monitoring planners which reflected self-monitoring were one of effective tools to improve the learning behavior of underachiev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