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육평가의 새로운 대안 : 포트폴리오 연구

        박정민,윤애희,조화연 경복대학 1999 京福論叢 Vol.3 No.-

        본 고에서는 표준화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교육 평가의 결과를 교육과정 속에 통합시킬 수 있으며,유아들의 수행정도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고 제시되는 새로운 평가 방법인 수행 평가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90년대 이후 수행평가의 한 유형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고찰하여 유아교육의 새로운평가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수행평가는 학생 스스로가 다양한 현실상황 및 장면속에서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설계된 평가방안을 가리킨다. 수행평가에서는 구체적인 상황속에서 직접적인 수행을 통해서 평가가 진행되기 때문에 고등 사고기능, 인지구조의 변화, 학습의 과정 등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는데 유리하다. 수행 평가의 형태로는 에세이, 작문,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등이 있으며, 포트폴리오 평가는 수행 평가의 유형 가운데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평가 방법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 그 자체가 교수(instruction)라는 측면은 유아들의 발달이 통합적으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는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매우 시사적인 것이다. 전통적인 평가 방식인 표준화 검사는 유아들의 발달과 학습의 진행과정을 적절히 측정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따라서 다른 어떤 학교기관보다 더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의 통합적인 발달 양상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수행평가 방법이 요청된다. 이 점에서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정태적인 측면을 누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은 유아들의 발달특징과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유아교육과정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평가 방법이다. 그러나 교사들의 평가 방법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인식의 결여는 유아들의 행동을 적절히 평가하여 이해할 수 있는 수많은 순간들을 놓치고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아교육기관의 적용을 위해서는 교사교육을 통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학습자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교수 상황에 적용함으로서 유아들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 the concep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level of performance for young children and complement problem standard test and intergrate the result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curriculum and study newly reliefed portfolio assessment for earft childhood education. Pertformance assessment means designed assessment method for assess young children's ability to reconstruct their experience in variaty context. Performance assessment is useful to assess higher thinking funtioning,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the process of learning because assess directly performance in concretly context.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essay, wrinting, project, portfolio etc. The method of traditional assessment, standard test have not appropriately assess to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process of learning. Kindergaten and day care center desire more performance assessment than another school system because it is assessed to total development aspect for children. Therefore performance assessment match with development of for young children and integrated curriculum. Teachers is missing much moment in young children's behavior to understand because they are lack of knowledge and perception in the method of assessment. For portfolio apply easy educational field is asked inservice training for change of perception in teachers. Teachers could have to get many information of learner and to correctly understand young children through portfolio.

      • 유아 실외체육 활동의 실시현황 연구

        박정민,윤애희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실외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실시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지역 의정부시 성남시의 유치원교사 78명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실외체육활동지도를 위해 유아교육 지도자료집, 실외체육활동 전문서적, 유아 월간잡지등을 참고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실외체육활동 지도시, 고정놀이시설(미끄럼, 그네, 정글짐)에서 놀기, 신체를 많이 움직이는 게임, 유아들끼리 자유롭게 놀기 , 체조활동(뜀틀, 평균대, 매트이용)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또 대부분의 교사가 실외체육활동을 1주에 1,2회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회 실외체육활동시간은 반수정도는 10분에서 30분정도, 반수정도는 30분에서 60분정도 실시하고 있었다. 또 실외놀이시 교사의 주역할은 유아의 안전을 위한 관찰자가 과반수 넘게 나타났으며, 실외시설사용에 대해 다른 교사와 사전협의하는 교사가 과반수 넘게 나타났다. 실외체육도구의 주정리자는 과반수 넘게 유아가 정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이 자신의 실외체육활동지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유아들은 실내활동에 비교하여 실외체육활동을 더 많이 좋아하고 있었다. 또 교사들이 실외체육활동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은 유아들의 안전사고 발생위험과 체육활동을 할 공간부족 체육시설ㆍ설비의 부족등이었다. 넷째, 외부체육시설이용을 이용하는 교사는 과반수정도이며, 외부체육시설 이용시 1주간 이용시간은 30-60분이 제일 많았으며, 외부체육시설장소는 대부분이 수영장이었다. 다섯째, 실외체육활동에 대한 지식을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는 과반수 넘게 나타났으나, 배운 적이 없는 교사도 상당히 나타났다. 배운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대부분 대학 또는 보육교사양성과정등 자격훈련과정에서 배웠다. 여섯째, 활발한 실외체육활동을 위해 교사는 다양하고 새로운 체육놀이설비를 제일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더 넓은 공간,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체육설비, 체육활동을 연구할 수 있는 연구시간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 체육설비에 대해 교사는 더 넓은 모래놀이터를 제일 많이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안전장치를 한 그네, 다양한 체육활동도구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78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active in Uijeongbu-si and Seongnam-si, Kyou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rder to guide children in their physical outdoor activities, many of the surveyed teachers were considered as referring to guide books for preschool education, technical books featuring outdoor physical activities, and child-care related monthly magazines. 2. In guiding childrens outdoor physical activities, teachers said that they encourage children to use specific play facilities (such as slides, swings, and jungle gyms) and participate in physically energetic games, free play with peers, and gymnastic activities (using vault, balance beam, or matt).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practice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once or twice a week. About half of the surveyed teachers said that the length of activity time per practice is usually between 10 and 30 minutes, while the other half responded that the length is between 30 and 60.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teachers described their role in those outdoor activities as an observer. Also, the results of the survey proved that the majority of preschool teachers have a previous consuitation with there fellow teachers for the use of outdoors facilities. More than 50% of the surveyed teachers stated that the used aids and appliances are mainly arranged by children after an outdoor activity. 3.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have an inclination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outdoor physical activities, while children have a high preference for outdoor physical activities compared to indoor activities. Man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difficulties proceeding with outdoor physical activity programs due to the danger of potential accidents and the insufficiency of usable space, facilities, and equipments. 4.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teachers use the outside fac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outside kindergarten. In the survey, the vast majority of them said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 of outside physical facilities is 30 to 60 minutes per week, and the most preferred facility was identified as a swimming pool. 5.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teachers stated that they had received an education related to outdoor physical activities, but the results proved that a good number of teachers dont have any educational experience in those activities. The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 responded that they had attended the related classes during their college/university courses or the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s such as a course for training of nursery teachers. 6. The survey proved that the top priority request the preschool teachers hope to be met for brisk outdoor physical activities is various and new physical play equipments, followed in order by sufficient space in which children can frolic freely and comfortably; safe physical facilities; and enough time for study of physical activities. It also revealed that, concerning the physical equipment, teachers place the greatest emphasis on a wider sandy playground, followed by swings with a safety device and various tools for phy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