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강도평가를 통한 짠맛증진효과

        윤소정(So Jung Youn),차경희(Gyung-Hee Cha),신정규(Jung-Kue Shin)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6

        소금의 과량 섭취가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간장, 액젓 등이 짠맛을 증진한다는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간장과 액젓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는 멸치를 효소 가수분해한 eHAP의 짠맛 증진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일한 소금농도의 용액에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짠맛 증진효과도 증가하여, 50 mmol/L의 용액에 2%의 eHAP를 첨가하였을 경우 67.79±6.35%의 짠맛 강도를 인지하였으며, 용액의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eHAP의 첨가에 따른 짠맛 증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짠맛 증진 효과는 멸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다량 함유하고 있는 L-lysine과 L-arginine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에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0.1%에서 2%까지 eHAP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 최소 0.37%에서 최대 35.58%의 짠맛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이 염미 증진제로서 향후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odium chloride is known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and safety of foods.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reducing the sodium content in foodstuffs, owing to health-related concerns related to its overconsumption. Therefore, the possible use of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 (eHAP) in enhancing the intensity of the salty taste in model broth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odium chloride content of eHAP was 67.7 g/L. The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the model broth increased with increasing eHAP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perceived intensity of the salty taste of eHAP solu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eHAP at a given NaCl concentration in the model broth. The intensity of the salty taste was enhanced by 0.37-35.58% as eHAP was added. Th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the sodium chloride content in foods by enhancing the salty taste with eHAP.

      • KCI등재

        분말가공법에 따른 국내산 사과껍질분말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비교

        윤소정 ( So Jung Youn ),이진규 ( Jin-kyu Rhee ),이형재 ( Hyungjae Lee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산업 식품공학 Vol.21 No.4

        과일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카테킨 등의 폴리페놀 뿐만 아니라 여러 항산화능과 관련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과일의 껍질에는 과육부분보다 2-9배 이상 높은 각종 기능성 성분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과는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 중에 하나이며, 사과껍질에는 quercetin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과껍질의 항산화능을 분석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산 사과껍질 원물 균질액,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 및 초미세분말의 총페놀함량(TPC), 총플라보노이드함량(TFC), ABTS radical 소거능(ABTS), DPPH radical 소거능(DPPH)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과껍질을 식품 소재로 활용 시최적 분말화 및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했다. TPC는 동결 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FC는 초미세분말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미세분말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일 품종의 사과껍질을 사용한 경우 원물의 가공방법 및 추출조건에 따라 각 기능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 초미세분말에서 TFC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분말화 방법 등 가공조건의 차이에 의해 개발된 중간소재의 여러 기능성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분말화된 식품중간소재 개발 시 여러 가공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cultivar (Malus domestica cv. Fuji) of apple was selected to make apple peel (AP) powder by three different powdering methods. Frozen AP was thawed and subsequently was dried or ground without drying. After AP was dried by hot-air drying at 60℃ or freeze-drying, the dried AP was ground using a conventional blender. Separately, the thawed AP was powered by using a 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CMGT). The ground AP and three types of AP powder were extracted using deionized water, 20, 40, 60, 80, or 100% methanol, followed by vacuum evaporation. The total phenolics contents (TPC), total flavonoids contents (TFC),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of each extract were compared to determine an efficient powdering method. Lyophilized AP powder extract using 60% methanol showed the highest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contrast, 60% methanol extract of the powder by CMGT, resulting in the smallest particle, exhibited the highest TF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traction yield of bioactive compounds from AP may be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powdering methods and that a new powdering process such as CMGT may be applicable to develop functional foods efficiently.

      • KCI등재

        국내외 시판 농산물 중간소재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총안토시아닌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윤소정 ( So Jung Youn ),이진규 ( Jin Kyu Rhee ),유상호 ( Sang Ho Yoo ),정명수 ( Myong Soo Chung ),이형재 ( Hyungjae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3

        기능성으로 각광 받는 블루베리, 아로니아, 귀리, 단호박, 생강의 국내외 중간소재를 구입하여 기능성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판 중간소재 80% 메탄올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contents (TPC), total anthocyanins contents (TAC), total flavonoids contents (TFC)를 측정하였고, ABTS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해 항산화능을 측정 후,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TPC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dried sample)와 TFC (mg catechin equivalent/ 100 g dried sample)의 경우, 모두 국내산 블루베리(TPC, 2,917 ± 200; TFC, 1,327 ± 31)와 단호박(TPC, 476 ± 20, TFC, 23 ± 2)이 국외산 보다 높았고, 국외산은 아로니아, 귀리, 생강의 중간소재가 더 높았다. TAC (mg cyaniding-3-glucoside/100 g dried sample)는 국내산 블루베리(949 ± 57), 국외산 아로니아(2,032 ± 153)가 각각 높았다. 항산화능(mg vitamin C equivalent/100 g dried sample) 은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국내산 블루베리(7,050 ± 321), 단호박(311 ± 8), 생강(3,322 ± 109)이 국외산보다 높았고,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국외산 아로니아 (12,667 ± 437), 생강(2,067 ± 99) 중간소재가 국내산보다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이 국외산 중간소재와의 비교를 통해 국내산 농산물을 이용한 중간소재의 기능성 성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중간소재 개발에 활용할 수있을 것이다. Commercial Korean domestic and foreign intermediate food materials (IFMs) of blueberry, Aronia, oat, sweet pumpkin, and ginger were purchased to compare their functional properties,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total anthocyanin content (TAC), and antioxidant capacity. Each IFM was extracted using 80% (v/v) methanol for the analyses. The TPC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dried sample) and TFC (mg catechin equivalent/100 g dried sample) levels in domestic blueberry (TPC, 2,916 ± 200; TFC, 1,327 ± 31) and sweet pumpkin (TPC, 476 ± 20; TFC, 23 ± 32) IFM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foreign IFMs. In the case of TAC (mg cyanidin-3-glucoside/100 g dried sample), the level in domestic blueberry IFM (949 ± 5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foreign product. Among the domestic IFMs, the antioxidant capacities (mg vitamin C equivalent/100 g dried sample) of blueberry, sweet pumpkin, and ginger were 7,057 ± 321, 311 ± 8, and 3,321 ± 109, respectively,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ir foreign counterparts, based 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foreign Aronia (12,667 ± 437) and ginger (2,067 ± 99) IFM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did the domestic IFM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Korean domestic IFMs, compared with their foreign counterparts.

      • KCI등재

        묘사분석을 통한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관능적 특성

        윤소정 ( So Jung Youn ),김진선 ( Jinseon Kim ),조형용 ( Hyung Yong Cho ),신정규 ( Jung Kue Shi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2

        정량적 묘사분석을 통하여 eHAP와 관련된 관능적 묘사언어 24개를 개발하였으며, 시료의 관능적 특성과 색, 향미, 이취의 연관성 및 관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향미프로필 결과 활성탄 처리를 하지 않은 시료에 대해서 신맛을 제외한 모든 강도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호도는 활성탄 처리 후 시료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도식화 하여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알아 보았으며 그 결과, F1의 경우 활성탄 처리 전·후의 시료간에 차이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양(+)의 값에 속하는 관능적 특성으로는 색, 향, 쓴맛, 짠맛 등이었으며, 활성탄 처리전 시료와의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F2의 경우 모든 시료가 양(+)의 값에 위치하였으며, 관련된 양(+)의 성분은 신맛과 감칠맛, 떫은맛, 쓴맛, 향미, 이취, 색으로써 서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짠맛은 활성탄 처리 전 시료에 대하여 더 높게 평가되어 쓴맛과 향미, 이취, 색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짠맛의 경계가 양(+)이나 음(-)의 값으로 크게 기울지 않은 것을 보아 활성탄 처리로 인해 생긴 시료간의 색의 차이에는 짠맛의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짠맛과 향미성분들은 멸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L-lysine, L-arginine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glutamic acid와 신맛을 나타내는 aspartic acid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 이며, 이와 상관관계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관능적 특성은 진간장신맛, 된장신맛, 홍차 신맛, 누룽지감칠맛, 말린 가쓰오부스 향, 말린 오징어 쓴맛, 마른 멸치 짠맛, 말린 오징어 짠맛 등이었다. 멸치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을 염미 증진제로서 이용할 때 쓴맛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맛의 영향을 해결 하였을 시 향후 염미증 진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High pressure and enzymatic hydrolysis was applied to anchovy in order to produce a natural seasoning salt enh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rotein concentration of enzymatic hydrolysates with anchov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DA, 24 attribute descrip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lavor profile, the strengths of most tastes, except sourness, color flavor, and odor were evaluated before activated carbon treatment.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was performed to summa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s and samples. The result of PCA was F1 72.13% and F2 22.01%, having explained 94.13% in total variability, as F1 was show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bout activated carbon treatment before or after sampl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flavor/odor, and saltiness or bitter taste had higher correlation before activated carbon treatment samples. Also, F2 was shown to have no correlation to the samples.

      • KCI등재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의 짠맛 증진 효과

        윤소정 ( So Jung Youn ),신정규 ( Jung-kue Shi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 (eHAP) to enhance the salty taste in salad dressing when it was applied in cooking. The intensity of the salty taste was enhanced by 5-11% when 0.1-1.5% eHAP was added. This indicates that the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HAP was increased.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samples (p>0.05). The overall preference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HAP was increased. The preference value was the highest when 1.0% of eHAP was added, while it was slightly lower when 1.5% of eHAP was added. This may be because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ith a bitter taste contained in eHAP was increased. The pH value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HAP wa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chromaticity,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increased but the rednes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hen the amount of added eHAP was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eHAP to a salad dressing enhanced the salty taste and the preference, but the enhancement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멸치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조리 적용 시 짠맛 증진 효과

        김진선 ( Jin Seon Kim ),윤소정 ( So Jung Youn ),조형용 ( Hyung-yong Cho ),신정규 ( Jung-kue Shi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enzymatically hydrolyzed anchovy protein (eHAP) to enhancing of salty taste in dried pollack soup and mungbean sprout when it was applied in cooking. The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dried pollack soup samples with eHAP added and the control sample containing 0.6% NaCl,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was 15%, 25%, 42%, and 46% in the samples with 0.1%, 0.5%, 1.0%, and 1.5% eHAP added, respectively.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decreased as the eHAP addition was increased. In case of a bean sprout containing 0.7% NaCl, the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was 29%, 18%, 16%, and 31% in the 0.1%, 0.5%, 1.0%, and 1.5% eHAP added, respectively.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as the eHAP addition was increased in both the dried pollack soup and the bean sprout. The pH of the dried pollack soup was decreased but the pH of the bean sprout dish was increased as the addition of eHAP was increased. The application of eHAP to food showed a significant salty taste enhancing effect, but th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type of foods.

      • KCI등재후보
      • 복수의 부분 작업을 위한 확장된 Q - Learning

        오도훈(Do-Hoon Oh),윤소정(So-Jung Youn),오경환(Kyung-Hwan Oh)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많은 학습 방법 중에서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강화학습은 동적인 환경에서 뛰어난 학습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강화학습은 학습을 기초로 하는 에이전트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 결과는 강화학습으로 구축된 에이전트로 해결 할 수 있는 작업의 난이도에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복수의 부분 작업으로 구성 되어 있는 복합 작업을 처리할 경우에 기존의 강화학습 방법은 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부분 작업으로 구성된 복합 작업이 왜 처리하기 힘든가를 분석하고, 이런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EQ-Learning은 강화학습 방법의 대표적인 Q-Learning을 개량하여 기존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 방법은 각각의 부분 작업 해결 방안을 학습시키고 그 학습 결과들의 적절한 적용 순서를 찾아내 복합 작업을 해결한다. EQ-Learning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격자 공간에서 복수의 부분작업으로 구성된 미로 문제를 통하여 실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