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상관련 장애의 핵심 심리치료 요인

        윤선아 ( Yoon Seon-ah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8 뇌교육연구 Vol.22 No.-

        외상관련 장애는 원인과 증상이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치료 기법들을 통합하려는 시도가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외상 치료접근들을 아우르는 공통적 치료요인을 외상 치료의 3단계 모델에 입각하여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외상 관련 장애의 진단 및 증상, 평가도구들을 알아보고, 다양한 치료 이론을 포괄하는 치료 단계의 설정과 각 단계에 포함될 수 있는 치료요인과 방법을 분석하여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상 치료의 치료 요소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효율적으로 조직화하여 통합적 외상 치료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rauma-related disorders are diverse and compelx in their causes and symptom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treatment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essential treatment factors covering the existing trauma treatment approaches based on the three - stage model of trauma treatment.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 the diagnosis, symptom, and evaluation tools of trauma - related disorders and analyze the treatment factors and methods that can be included in each stage and the treatment phase that encompasses various treatment theories. Through this study, I am expe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herapeutic factors of trauma treatment and organize it effectively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integrated trauma treatment.

      • 뇌교육에 있어서 정서조절 연구 현황과 과제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8 뇌교육연구 Vol.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에 하나인 정서 조절에 대해 개관해보고, 이를 뇌교육과 접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서 조절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일반적인 정서 조절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또한 정서 조절 모델로서 Forgas(1995)가 제안한 기분 관리 모델을 소개하였다. 이 모델에는 정서를 무의식적으로 유입시키는 기제와 정서를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기제가 포함되어 있다. 정서 조절과 관련된 개인차 변인들로서, 부적 정서 조절 기대, 분산 경향성, 자존감 등이 정서조절을 강화시키는 변인들과, 반대로 정서를 조절하기 보다는 오히려 현재의 기분을 더 확대시키는 변인들을 소개하였다. 한편, 뇌교육적 관점에서 본 정서의 발생 과정과, 효율적 정서 조절 방법을 알아보고, 뇌교육과 정서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뇌교육에서의 고려되어야 할 정서 조절에 관한 연구 주제들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Emotion regulation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field of emotion stud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emotion regulation studies and to explore the way to combine emotional regulation with brain education. First, brief history and definition of emotion regulation were introduced. Second, the mood management system suggested by Forgas(1995) was explained as emotion regulation model. Third, mood congruent and incongruent variables, such as negative mood control expectancy, distraction coping and self-esteem were introduced as individual differences variables 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 Fourthly, the process of emotion generation and effective methods for emotion regulation were described, and the various emotion related studies in brain education field were reviewed. Finall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f emotion regulation in brain education field were discussed.

      • KCI등재

        목표지향성이 높은 대학생들의 정서, 인지 및 행동적 특성

        윤선아 ( Seon-ah Y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 지향성이 높은 대학생들의 동기, 정서, 인지 등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45명에게 목표 지향성, 긍정 및 부정 정서, 인지 결함 및 행동 활성화/억제 체계 척도를 실시하고, 목표 지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인지, 정서, 행동 지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목표 지향성을 뚜렷이 가질수록 긍정 정서와 행동 활성화 경향성은 증가하고,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나 부적 정서, 인지적 오류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표 지향성이 동기, 정서 및 인지 등 심리적 변인들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핵심적인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of high goal-directive people. For this purpose, 345 college students were tested for goal directiven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cognitive deficits and behavior activation / inhibition scal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indicat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al activation tendency were increased as goal-directiveness became higher, and fear of punishment, negative emotion, and cognitive deficits decreased. This suggests that goal-directiveness is a key variable closely related to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 의식에 대한 과학적 고찰: 뇌과학을 중심으로

        윤선아 ( Ah Yoon Se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4 No.-

        최근 신경심리학, 진화론적 생물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식에 대한 중요한 발견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제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통합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들이 일고 있다. 의식은 개체가 환경이 주는 정보를 이해하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가장 적절하고 효율적인 행위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의식의 기능은 내부에 있는 세계, 즉 신체의 내부환경과 외부세계 즉 외부 환경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생명유지에 필요한 신체 내부환경의 요구와 항상 변하고 있는 주위 세계 사이를 중재하는 것이다. 의식과 관련된 뇌영역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피질영역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뇌간이나 변연계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피질 영역에서는 총체적 문제해결을 담당하는 전전두엽의 역할을 강조한다. 의식이 포함하고 있는 영역이 광범위하여 단일한 차원으로 의식을 정의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의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무의식으로부터 초자기 의식까지의 수준으로 위계구조를 상정하는 것이 선호된다, 의식 연구에 대한 과학적 성과들은 인간 정신을 이해하고, 의식 향상을 도모하는 다양한 시도들에 과학적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neuroscientific approach to human consciousness turns out to be possible. The function of the consciousness takes a role to connect inner world of inner environment of body with outer world. That is, the consciousness mediates relation between the request of physical inner environment needing for life maintenanc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constantly changing. Traditionally, It is assumed that cerebral cortex is the brain regions which are participated in consciousness process. But, brain stem and limbic system are taking important role in consciousness process, recently. Also, prefrontal cortex which takes a role of integral problem-solving is important among cerebral region. To understand consciousness as a whole,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cluding from unconsciousness to meta-self awareness is suggested. The neuroscientific approach to consciousness can achieve a physical base for understanding human mentality.

      • 노년기의 발달과제와 심리적 특성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S No.-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문제를 이해하려는 심리적 접근 방식을 통하여 노년기의 발달과제와 신체 및 동기, 정서, 인지적인 면을 포함하는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론과 국내 실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은 신체나 인지, 사회적 관계 등에서의 손실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이듦에 따른 지혜나 감정의 조절, 통함갑에서의 성장과 발달도 찾아볼 수 있다. 나이듦에 대한 부정적 및 긍정적 측면을 모두 아우르면서, 성공적 노화에 이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론으로서 뇌교육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 문제를 평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정확한 측정방법과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교육과 치료개입의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heories and current domestic circumstances of developmental task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ysical activitie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aspects through psych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elderly people``s problem in aging society. So far, the viewpoint that aging means the loss of physical activities, cognition and social relation was overwhelmed. But, on the one hand, growth and development, such as wisdom, control of emotion and ego integrity, can be found in aging. The Brain Education can be introduced as methodology of reaching successful aging, merging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aging. It will be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tools of training and therapy intervention to promote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 KCI등재

        초등수학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 지도의 개선 방안

        윤선아 ( Seon Ah Yoon ),백석윤 ( Suck Yoon Pai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수학 교과용 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문제만들기 활동 내용과 문제만들기 활동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수학에서 문제만들기 활동 지도의 개선 방안에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수학 교과서 12책과 수학 익힘책 12책에서 추출된 문제만들기 활동 관련 내용과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만들기 활동 지도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후, 문제만들기 활동 지도의 개선 방안으로 문제구성하기 활동을 고안하여 서울 K초등학교 4학년 학생 30명에게 6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등 수학 교과용 도서에서의 문제만들기 활동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나 그 유형에 따라 특징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결국 예시 문제를 모방하여 단순 변형시키는 활동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에게는 문제만들기 활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문제만들기의 본래 의도에 맞는 실제적인 자료나 지도 방법이 필요함이 드러났다. 그리고 개선한 문제만들기 활동 지도 방안을 학생에게 적용했을 때, 학생이 문제구성하기 활동 중에 관련된 수학적 요소를 생각해내고 그를 이용하여 수학적 관계를 구성해내는 사고 과정이 발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improved teaching method for mathematical problem posing through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the content of mathematical problem posing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procedure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First, all the existing elementary first to sixth-grade math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ontent of the problem-posing segments, the number of relevant units, the distribution of problem posing in different domains and the types of problem posing. Second, after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check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problem-posing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alyzable answer sheets from 112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grasp their awareness of problem posing, the state of guidance, the level of learner comprehension, and their opinions on how to teach problem posing. Then several plans were laid out to improve problem-posi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ath textbooks, the output of the survey and relevant theories: problem completing, making up problems by utilizing mathematical non-conditioned pictures, constructing problems by using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problems by topping off each un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fourth -grade students in K elementary school in Seoul. After the above plans are carried ou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given:First, math textbooks should deal with problem posing in a more systematic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intent of that education. Second, teachers should get the right understanding of problem-posing activities, and they should be given a wide variety of relevant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how to teach. Third, problem -construct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as a way to offer better education about problem posing. As a result of having students engaged in those activities, they came up with diverse mathematical elements in the course of problem posing and to create a significant mathematical relationship among the elements.

      • KCI등재

        대학생의 목표지향성이 정신병리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윤선아(Yoon Seo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세부 정신장애를 포함하는 포괄적 정신진단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목표지향 정도가 정신병리 경향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총 3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에게 목표지향성 척도와 간이 정신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 168명과 여성 17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1.08세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목적지향성 점수는 모든 정신병리 하위척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정신병리 점수는 여성에서 모든 하위척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목표지향성은 정신병리 하위척도들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 강박증과 우울에 대한 설명변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박증의 증상 중 결단력의 부족, 주의집중 곤란, 원활한 수행의 곤란 등과 우울 증상 중 희망의 부재, 무력감, 자책, 허무 등과 상대적으로 큰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정신병리를 예방하고 정신건강을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목표지향성 향상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 개입을 통해 이를 실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 of goal-directiveness on psychopathological tendency using a comprehensive mental diagnosis tool including detailed mental disord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45 colleg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ex of the study subjects was 168 males and 177 females. The mean age was 21.08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oal-directiveness sco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psychopathic subscales. Gender-based psychopathology scores were high on all subscales in women.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goal-directive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pathology subscales. Among them, the explanatory variances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OCD) and depression were lar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ack of determination, difficulty in attention, difficulty in performing smoothly of OCD symptoms, and absence of hope, helplessness, self-reproach, and vanity of depression symptoms and goal-directiv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reventing mental pathology and maintaining mental health in a positive state by improving the go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is through various program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goal orientation.

      • 인성-중심 대안학교 학생의 성격특성 연구 -벤자민 인성영재학교를 중심으로-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는 벤자민 인성영재학교의 교육 목표에 언급된 인격 성장과 자기 주도성이 교과과정에 의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집단은 벤자민 인성영재학교 재학생 27명이었으며, 비교집단은 일반 고등학교 재학생 26명이었으며, 비교집단은 실험집단 대상자와 성별, 학년, 지역을 매칭시켜 표집하였으며, 교육과정이 시작되고 종료되는 시점에 성격강점 척도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벤자민 인성영재학교 학생의 성격강점 총점이 정규학교 학생들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지혜와 지식, 인간애, 추월성 하위척도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총점과 학습에 대한 애착 하위척도 점수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벤 자민 인성영재 학교의 교육과정이 인간의 긍정적 특질을 향상 시키며, 학습에 대한 애착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rriculum of Benjamin School for Character Education on character growth and self directiveness. Experimental group contained 27 Benjamin School students and control group contained 26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ith matching of sex, grade and area each other. The character strength scales and self-directed learning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t begin and end points of the curriculum. As the result,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otal score of character strength than control group.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total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of Benjamin School for Character Education can promote the positive human charaters and self-directed learning style through attachment to learning.

      • KCI등재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부모 양육태도, 정서문제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윤선아(Yoon, Seo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s life goal as important precedent factor and the effects of their life goal on emotional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s. For this purpos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data was used, and participants were 2259 students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Scale scores of ego identity, life goal, parents demographic data, parenting attitude, life satisfaction, emotional problem and school adjustment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the result, more clear life goal predicted high life satisfaction, low emotional problems including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and high well adjustment at school. According to goal contents, high self-directed goals predicted low aggression and somatic symptoms, and high adjustment including peer relationship. And high human relationship goals predicted high life satisfaction, low depression and high well adjustment at school including obedience of school regulation. On the contrary, high accomplishment goals predicted high emotional problems including distraction, aggression and depression and low peer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생애목표 설정에 중요한 선행요인인 부모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생애목표가 정서문제와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데이터 2010의 중1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중 3학생 총 2259명이었다. 생애목표 지향성 정도와 목표내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삶의 목표, 자아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생애목표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으로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과 부모 양육태도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또한 생애목표에 따른 결과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삶의 만족도, 정서문제와 학교생활 적응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생애 목표가 확고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고, 부정적 정서 문제, 특히 사회적 위축이나 우울 경향성은 적으며,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내용별로는 자기주도적 목표가 높을수록 공격성이나 신체증상을 포함하여 정서문제는 적은 반면, 학교생활 중 특히 교우관계가 우수하였고, 인간관계 목표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고, 우울 경향이 낮으며, 학교규칙 준수를 포함하여 학교생활 적응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소유나 성공과 같은 성취목표를 중요시할수록 주의산만, 공격성,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학교생활 적응 중 특히 교우관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성보훈 ( Bo Hun Seong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0 뇌교육연구 Vol.6 No.-

        행복이란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누구나 원하는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행복의 정의와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이며, 인간의 발달 단계별로 행복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행복을 정의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행복을 정의하기 힘들고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측정 가능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주관적 안녕감, 주관적 행복감,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이란 용어로 바꾸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행복의 결정 요인도 아동기에서부터 노인들까지 연령별로 다양하게 중요 요인이 변화하고 있다.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는 학업성취, 신뢰의식,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이 클수록 행복을 느끼는 정도가 크다. 성인기와 노인기에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활동참여, 주변환경, 성격, 자녀의 성공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청년기에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결정요인과 성인기와 노인기의 결정요인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서 발달단계별로 행복의 정의와 행복의 측정도구를 국내에 맞게 설정하고 실제적인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Everyone wishes for happiness and psychologically wants to be hap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finition of happiness and its determinants and als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by the stages of human development. Consulting the definition in the precedent researches, it was found difficult to define and measure the happiness so changed it to the term of subjective well-being, subjective happiness,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make them data for assessment.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also can be divided variously by the age from childhood to the senior. The amount of happiness is increasing as the academic achievement, trus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iency increase from age of childhood to adolescence. In the age of adulthood and seniors, they are influenced much by demographic-sociological variables, activity participation, surrounding environment, personality, and success of their children. In the age of early adulthood, their determinants of happiness are influence by those of all in the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well as adulthood and seniors. This study hopes that someone would set the measuring tool of happiness definition and happiness fitt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and measure how one becomes hap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