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사시나무에서 Dormancy-associated protein 1 (DRM1) 유전자의 분리와 발현특성 구명

        윤서경,배은경,최현모,최영임,이효신,Yoon, Seo-Kyung,Bae, Eun-Kyung,Choi, Hyunmo,Choi, Young-Im,Lee, Hyoshi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Dormancy-associated protein (DRM) is involved in the dormancy physiology of plants and is conserved in almost all plant species. Recent studies found that DRM genes are involved in the abiotic stress response, and characterization studies of these genes have been conducted in several plant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DRM genes in woody plants. Therefore, in this study, cDNA coding for DRM (PagDRM1) was isolated from poplar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and its structur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agDRM1 encodes a putative protein composed of 123 amino acids, and the protein contains two conserved domains (Domain I and Domain II). PagDRM1 is present as one or two copies in the poplar genome. Its expression level was highest in the stem, followed by mature leaves, roots, and flowers. During the growth of cultured cells in suspension, PagDRM1 was highly expressed from the late-exponential phase to the stationary phase. In addition, PagDRM1 expression increased in response to drought, salt stress, and treatment with plant hormones (e.g., abscisic acid and gibberellic acid). Therefore, we suggested that PagDRM1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duction of dormancy, but also contributes to stress tolerance in plants. Dormancy-associated protein (DRM)은 식물의 휴면생리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단백질로 거의 모든 식물에 보존되어 있다. 최근 DRM 유전자가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유전자의 특성구명 연구가 여러 식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나무에서는 DRM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RM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DRM1이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PagDRM1 유전자는 12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2개의 영역(Domain I과 Domain II)이 잘 보존되어 있다. PagDRM1은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가 존재하며, 줄기에서 가장 높게 발현하였고 성숙 잎, 뿌리 및 꽃에서도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현탁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는 늦은 지수생장기부터 정지기까지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DRM1은 건조와 염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호르몬 처리에 의해서는 ABA와 GA 처리에 의한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agDRM1은 식물의 휴면유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환경 스트레스 내성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현사시나무에서 Basic Leucine Zipper 유전자의 분리와 특성 구명

        윤서경 ( Seo Kyung Yoon ),이효신 ( Hyoshin Lee ),배은경 ( Eun Kyung Bae ),최영임 ( Young Im Choi ),김준혁 ( Joon Hyeok Kim ),노설아 ( Seol Ah Noh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2

        Basic leucine zipper(bZIP) 단백질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Populus alba × P. glandulosa)에서 SE3 그룹에 속하는 bZIP인 PagbZIP1 유전자를 분리하여 구조와 발현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현사시나무의 PagbZIP1 유전자는 844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예상 분자량 16.6 kDa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PagbZIP1은 보존영역인 basic domain과 leucine zipper domain을 가지고 있으며,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2 copy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bZIP1은 현사시나무의 뿌리와 배양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며, 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는 정지기에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건조와 염 그리고 저온 스트레스 뿐 아니라 식물호르몬인 ABA 처리에 의해서도 발현이 유도되어, ABA를 경유한 신호전달경로를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PagbZIP1 유전자의 도입과 발현조절을 통한 바이오매스 증진 및 스트레스 내성 나무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Basic leucine zipper (bZIP) protein is a regulatory transcription factor that plays crucial roles in growth, development and stress response of plant. In this study, we isolated a PagbZIP1 gene that belonged to Group SE3 of bZIP from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investigated it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The PagbZIP1 is 844 base pairs long and encodes a putative 144-amino-acid protein with an expected molecular mass of 16.6 kDa. The PagbZIP1 has two conserved domains including the basic and leucine zipper portions. Sou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wo copies of the gene are presented in the poplar genome. PagbZIP1 was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root and suspension cells. Moreover, the expression of PagbZIP1 was induced by drought, salt, cold and ABA.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d that PagbZIP1 might be expressed in response to abiotic stress through the ABA-mediated signaling pathway in poplar.

      • KCI등재

        현사시나무에서 Formate Dehydrogenase cDNA의 분리와 특성 구명

        이효신 ( Eun Kyung Bae ),배은경 ( Hyo Shin Lee ),이재순 ( Jae Soon Lee ),최영임 ( Young Im Choi ),윤서경 ( Seo Kyung Yoon ),어수형 ( Soo Hyung Eo ) 한국산림과학회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3

        Formate dehydrogenase (FDH), catalyzing the oxidation of the formate ion to carbon dioxide, is known as the stress protein in response to drought, low temperature and pathogen infection. To study the functions of FDH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we isolated a FDH cDNA (PagFDH1) and examined it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The PagFDH1 is 1,499 base pairs long and encodes a putative 388 amino acid protein with an expected molecular mass of 42.5 kDa. The PagFDH1 protein has N-terminal mitochondria signal peptide and NAD+ binding domain. Southern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a single copy of the PagFDH1 is present in the poplar genome. PagFDH1 is expressed highly in the suspension cells (especially in the lag and early exponential phases) and moderately in roots, flowers and leaves. ABA-mediated enhanced expression of PagFDH1 in response to drought and salt stress treatments indicates that the gene product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tress resistant trees.

      • KCI등재

        현사시나무 Gibberellic Acid-Stimulated Arabidopsis (GASA) 유전자의 발현 특성 및 건조 스트레스 내성 구명

        최현모,배은경,최영임,윤서경,이효신,Choi, Hyunmo,Bae, Eun-Kyung,Choi, Young-Im,Yoon, Seo-Kyung,Lee, Hyoshi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GASA는 GA에 의해 조절되는 식물 유전자로서, 여러 식물에 보존되어 있고 다양한 조직에서 식물의 생장과 발달 및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SA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GASA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PagGASA 유전자는 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 영역과 카르복시 말단에 12개 시스테인 잔기가 보존되어 있다. PagGASA는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 존재하며, 꽃과 뿌리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GASA는 GA 뿐 아니라 ABA와 JA, SA와 같은 스트레스 관련 식물 호르몬의 처리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사시나무에 형질전환하여 PagGASA를 과발현시킨 결과 건조 내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agGASA는 스트레스 관련 식물 호르몬 신호전달과 연결되어 건조 스트레스 방어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Gibberellic Acid-Stimulated Arabidopsis (GASA) genes are involved in plant hormone signaling, cell division and elongation, as well as in responses to stress conditions in plants. In this study, we isolated a GASA gene from hybrid poplar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and analyzed its physiological phenotype and molecular functions in poplar. PagGASA cDNA encodes a putative protein composed of 95 amino acids containing an N-terminal signal peptide and a conservative cysteine-rich C-terminal domain. Sou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one or two copies of the PagGASA are present in the poplar genome. The PagGASA transcripts were highly detected in flowers and roots. Moreover, the expression of PagGASA was induced by growth hormone (gibberellic acid) and stress hormones (abscisic acid, jasmonic acid, and salicylic acid). By using transgenic analysis, we showed that the upregulation of PagGASA in poplar provides high tolerance to drought stres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PagGASA plays an important role in drought stress tolerance via stress-related plant hormone signaling in pop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