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기후변화 사례를 통해 본 적응형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윤기학(Yoon,Ki-Hak),성진욱(Sung, Jin-Uk) SH도시연구원 2012 주택도시연구 Vol.2 No.1

        This study provides an efficient direction for establishing adaptation policies and presents identified future tasks for adaptation model based on a review on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mechanisms and the adaptation policies of leading countries. From the review of the cases of the leading countries including UK, Japan and Germany categorizing them into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cases, this study identified implications below: It is identified that the foreign developed countries have made systematic efforts on the systems and policies relating to climate change on the national level. Even though this study has limit of insufficient review of details, limited case studies and also not sufficient local case studies, it has implication of presenting a direction for setting adaptation policies for land and city area through a review of foreign developed country cases relating to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 KCI등재

        도심부 철도공간을 활용한 도심재생 프로젝트의 쟁점과 해결과정

        배웅규(Bae, Woong-Kyoo),윤기학(Yoon, Ki-Hak),정종대(Jung, Jong-Da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용산의 서울역 - 용산역 사이의 철도공간을 활용하여 서울 신부도심의 중심공간으로 성장을 위해 재생쟁점 도출과 이것의 해결 과정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하고 그 재생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황분석 결과 지상철도가 도심의 강한 단절요소로 작용하여 도시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서간 연계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역의 잠재력 발현의 제약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커뮤니티의 단절로 인한 지역 정체성 형성 미약, 지상철도와 방음벽 등으로 인한 물리적 단절, 소음과 진동 등으로 인한 열악한 환경조건도 지역 성장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상철도의 지중화가 이 지역의 재생을 위해 절실함을 인식하고, 철도 지중화를 통해 개발이 지체된 도시공간에 활력을 불어 넣는 촉매제로서 도심 재생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낙후된 도시공간에 풍부한 보행공간과 동-서 간 연결로 등 접근체계를 개선하고, 이와 연계한 커뮤니티 시설, 공원·녹지 시설들을 배치하여 인접지역 정비를 촉진하는 입체·복합의 도심 재생을 실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마스터플랜은 구체적인 실천에 있어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propose a master plan about deriving issues and solving process for these issues to make the area a Seoul’s subcenter by using the inner-city railroad space. And then, the research analyzes the impacts of this master plan for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present condition, the ground railroad space not only degrades the city’s competitiveness as a strong negative factor severing urban space, but also restricts its potential because it can not connect between the east and west of the area. In addition, the weak regional identity by cutting the community, the physical disconnection by soundproofing walls for the railroad, and the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noise and vibration are all barriers to the regional growt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 as a catalyst that gives a boost to the area through building underground railroad instead of the current railroad on the ground. By doing so, enough pedestrian space can be provided; the access system between the east and west can be improved; and, community facilities, parks, and green spaces that are connected with the pedestrian and access system can be sited. Eventually, it will create a threedimensional and mixed-uses development for regenerating the surrounding area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에 적용된 주거군의 유형분석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설계방향 연구

        배웅규(Bae, Woong-Kyoo),윤기학(Yoon, Ki-Hak)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ㆍ건축차원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도시 열섬현상의 심각성과 현재의 연구 수준의 한계성을 인식하고 이를 완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오늘날 도시에서 주거용 건축물 중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는 공동주택단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의 31건의 사례조사를 통해 총 7개의 대표적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단일 유형을 제외한 혼합 유형에 대해 녹지 및 수공간을 적용한 각각의 2가지 대안을 도출하여 열환경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동일 조건에서 주동의 유형에 의해서만 최대 약 0.5℃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동일 조건에서 녹지 및 수공간이 10% 증가할 경우 최대 0.18℃의 온도저감효과에 비해 적지않은 효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공동주택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주동의 형태 및 조합. 녹지 및 동선의 배치 등의 요소와 이에 대한 조성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설계예시안을 제시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aim at proposing the schemes to alleviat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through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effect an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o do so, it found seven types from 31 cases of apartment housings; and then analyzed the heat environment of two types out of seven, which are applied green and water space. As a result, it found the difference of approximately 0.5℃ only based on a type of main building in the same condition. It shows that the maximum 0.18℃ of temperature has been alleviated in the same condition when green and water space are increased 10%. In addition, it proposes the planning schemes, such as a type and organization of building and a location of green space and circulation, to alleviate the heat island effect through learning from sim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