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작업 손상에 대한 주관적 부담의 종류 및 특성

        윤간우(Kanwoo Youn),임상혁(Sanghyuk Im),박진우(Jinwoo Park),이경숙(Kyungsuk Lee),채혜선(Hyeseon Chae)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6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1 No.1

        농업인의 안전보건 정책 수립에 있어 농작업 재해 규모 및 특성 파악뿐만 아니라 손상 부담평가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 재해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손상 부담 종류 및 그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2013년 농업인 업무상 손상 조사에서 파악된 재해자를 대상으로 손상 이후 발생되는 부담을 의료비등 직접 비용과 관련된 1개 항목과 생산성 감소, 인건비 증가 등 간접 비용과 관련된 5개 항목으로 파악하였다. 항목별 분포를 비교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농업인의 특성 및 농 작업 손상 특성에 따라 부담 항목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457명의 농작업 재해자에서 주관적 손상 부담중 ‘치료기간 중 일을 쉼(휴업)으로 인해 농업에 차질’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족에 농업활동 과중 부담 초래’, ‘치료비로 인한 가계 압박’, ‘작업이 지체되어 생산물의 품질 저하’, ‘고용 인건비 증가’, ‘농업 규모 축소’순이었다. 주관적 손상 부담 항목별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치료기간 중 일을 쉼(휴업)으로 인해 농업에 차질’은 연령, 재해 발생시기, 휴업 치료 기간, 농기계 사용여부이며, ‘가족에 농업 활동 과중 부담 초래’는 가족수, 농작업 기간, 휴업 치료기간이었다. ‘치료비로 인한 가계 압박’은 입원 치료 여부와 년간총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기존에 신체 제한이 있었던 경우에는 모든 항목의 주관적 손상 부담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농작업 재해자의 경우, 의료비와 같은 직접 비용에 대한 부담보다는 간접 비용에 대한 부담이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농업인의 특성 및 농작업 재해 특성 따라 부담 항목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작업 재해가 발생한 농업인에 대한 지원에 있어 간접 비용 부담을 줄이려는 목표와 함께 구체적인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agricultural safety, evaluating injury burdens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rate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injury is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injury subjective burdens. Methods: By analyzing the injured farmers identified in the 2013 Korean Farmers’ Occupational Injury Survey, the burdens caused by injuries were categorized using one direct cost item (medical costs) and five indirect cost items (including productivity decreases and wage increases).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burden item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rmers and their farm injuries. Results: Among the subjective burdens indicated by the 457 injured farmers, disruption to work was most common. The major influences on each subjective burden item are as follows: for the item of disruption to work, age, time of injury occurrence, treatment period, and farming machine use were influential; for an increased family member"s burden of farm works,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reatment period were influential. Regarding cost burden of treatment, the results var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and annual income. Conclusion: Subjective burdens induced by indirect costs rather than those induced by direct cos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ratio. In regard to each burden item, the results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rmers and their farm injuries. To support injured farmer, setting goals to reduce indirect cost burdens and preparing concrete methods is necessary.

      • KCI등재

        전남 지역 농기계 탑승자 인적피해 교통사고의 유형별 특성 및 저감 대책

        신용석(Yongsuk Shin),윤간우(Kanwoo Youn),김경수(Kyungsu Kim),최동필(Dongphil Choi),홍순중(Soonjung Hong),이민지(Minji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농기계 교통사고 예방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4~2018년까지의 전남 경찰청의 경찰접수 교통사고 자료 중 “농기계 탑승자의 인적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 원자 료를 기반으로, 사고 유형별‧농기계 종류별 상세한 사고발생 현황 및 사망사고 발생 현황을 분 석하였다. 농기계 탑승자의 인적 피해가 발생한 총 760건의 사고 중 제2당사자(차대차), 농기계 단독사고, 제1당사자(차대차) 사고가 각각 52.9%, 25.9%, 21.2%를 차지하였다. 사고 농기계 운전 자의 95.8%가 남성이었으며, 45.9%가 70대였고, 주요 사고 농기계 종류는 경운기(61.6%), 트랙터 (11.3%), 종류 미상(22.0%)이었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농기계 운전자의 사망 위험은 고령자일수록 높았고, 농기계 단독사고가 제1당사자(차대차) 사고에 비해 10.0배 높았으며, 경운 기 사고가 트랙터 사고의 1.7배, 내리막길 사고가 평지 및 기타도로 사고에 비해 1.7배 높았다. 본 연구결과, 사고 당사자 종류 및 단독사고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사고 발생 특성이 나타났으 며, 각 유형별 사고 특성 및 대표적인 사고 형태(경운기의 단독 전도/전복/도로이탈 사고, 경운기 와 트랙터의 타차량으로부터의 야간 추돌사고, 경운기와 타차량과의 측면충돌사고)를 고려한 구 체적인 예방대책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measures to prevent agricultural machinery traffic accidents by analyzing Jeonnam Police Agency's data on traffic injuries to agricultural machinery occupants between 2014 and 2018. Out of 760 accidents, 52.9% were vehicle-to-vehicle collision where agricultural machinery operators involved as a secondary party(less responsible to accidents), 25.9% were single agricultural machinery accidents, and 21.2% were vehicle-to-vehicle collision where agricultural machinery operators involved as a primary party(more responsible to accidents). 95.8% of the accident-involved agricultural machinery operators were male, 45.9% were in their 70s, and the main types of agricultural machinery involved in the accidents were power tillers (61.6%), tractors (11.3%), and unidentified types (22.0%). Results of the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higher death risks for elderly drivers, single machinery accidents (10.0 times higher than primary party accidents), power tiller accidents (1.7 times higher than tractor accidents), and accidents on downhill roads (1.7 times higher than flat or other roads). Different accident characteristics appeared based on involved parties, suggesting the need for specific preventive measures considering each type's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ve accident 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