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산층 노인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교육 사업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장혜자(Chang, Hyeja),유효이(Yoo, Hyoi),정하림(Chung, Harim),이혜상(Lee, Hyesang),이민준(Lee, Minjune),이경은(Lee, Kyungeun),유창희(Yoo, Changhee),최정화(Choi, Junghwa),이나영(Lee, Nayoung),곽동경(Kwak, Tongkyung)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노인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공적 사업의 일환으로 식품안전·영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 card) 개념을 적용하여 내용적으로는 고객관점, 재무관점,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고, 형식면에서는 성과측면, 과정측면, 구조측면으로 구분하여 노인대상 식품안전 영양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노인 대상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초안을 개발하고, 이를 설문지로 전환하여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의뢰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적합성은 1, 2차 결과를 토대로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를 선정한 전문가의 빈도 (백분율)가 75% 이상, 평균점수 3.8점 이상인 지표로 선별하였다. 델파이 그룹은 학계 전문가 26명, 중앙정부기관 16명, 지역사회 운영기관 24명으로 총 66인으로 구성하였다. 1차, 2차 평가에 모두 참여한 전문가는 총 32명의 의견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성과측면’ 28문항, ‘과정측면’ 9문항, ‘구조측면’ 17문항으로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배점은 성과지표 50점, 과정지표 20점, 구조지표 30점으로 구성된다.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교육서비스 확산을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구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면, 노인대상으로 식품안전 및 영양관리 교육프로그램 사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가장 효율적,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operation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jects for middle class elderly using the concept of the balanced score card. Methods: After the draft of the evaluation tool for the elderly training projects was completed, it was revised into the questionnaire and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was tested by the Delphi group.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was rated using a 5-point scale. The Delphi group consisted of 26 experts in the education sector, 16 government officials, and 24 professionals of the related area in communities. The first round test was conducted from July 9 to July 17, 2012, and 45 persons responded. The second round test was conducted from July 18 to July 25 and 32 persons responded. Results: The indicators, which were answered by more than 75 percent of the experts as ‘agree’ (4 points), ‘strongly agree’ (5 point) were included as the final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tool: 28 items out of 36 in outcome perspectives, 9 items out of 12 in process perspectives, and 17 out of 20 items in structure perspectives. The score was allocated as 50 points for outcome indicators, 20 points for process indicators, and 30 points for structure indicators. Conclusion: Completion of the evaluation tool is a prerequisit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gram is effectively implemented. The monitoring tool developed in the study could be applied for identification of the most optimal delivery path for the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spread of the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class elderly.

      • KCI등재

        사회인지이론 기반 중산층 노인 식품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최정화(Jung-Hwa Choi),유효이(Hyo-E Yoo),정하림(Harim Chung),이혜상(Hye-Sang Lee),이민준(Min-June Lee),장혜자(Hye-Ja Chang),이경은(Kyung-Eun Lee),이나영(Na-Young Yi),곽동경(Tong-Kyung Kw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8

        현대의학의 발달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결과 노인인구 증가를 가져와 노인 의료비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적절한 방안으로는 노인들의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를 도모하는 것이며, 이는 사회의 의료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사회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산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식품안전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시범실시를 하여 교육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군 212명, 대조군 42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사전 사후 지식 총점의 변화는 교육군이 2.80점에서 3.80점으로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P<0.001). 교육군의 식품안전 식태도/건강신념의 교육 전과 후의 총점은 20점 만점에 15.28점에서 16.50점으로 유의적인 상승을 보였다(P<0.001). 대조군은 사전 15.21점에서 사후 15.29점으로 상승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의 식품안전 식행동은 교육군의 교육 전과 후의 총점이 28점 만점에 20.07점에서 22.50점으로 2.43점 상승하여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P<0.001). 가정 내 식품 취급실태를 살펴보면 식품을 직접 구매한다고 한 응답자가 교육군의 87.3%, 대조군의 95.2%로 나타났으며, 식품 조리 여부 항목에 대해서는 교육군의 87.7%, 대조군의 95.2%가 직접 가정에서 조리한다고 응답하였다. 식태도/건강신념 변화와 식행동 변화값 간에 상관관계가 가장 높으며(r=0.447, P<0.001), 식행동 변화값과 지식의 변화 값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152, P<0.05). 경로별 교육 효과를 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점수와 점수변화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식, 식태도/건강신념, 식행동의 모든 경로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2차 시 교육의 사전, 사후 평가를 대조군의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는데, 교육의 기간이 2차시로 제한되어 있고 교육 후 행동 변화의 유지를 평가하지 못하였다. 또한, 교육경로와 대상자의 수가 적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향후 교육의 확대를 통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ssess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developed food safet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elderly in the middle clas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two times at a public health center, community welfare center, senior citizens’ center, and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For food safety intervention education, data from the intervention group (212 subjects) and control group (42 subjects) were analyzed. Significant (P<0.001) differences in the scores for food safety knowledge, food attitude, and food behavior were obser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before and after the stud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detected between knowledge, food attitude/health belief, and food behavior in the intervention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study contributed to perception change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eventually behavioral changes. Accordingly, this program can induce cognitive and behavioral changes by conducting food safety training for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