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매체로서의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발달장애아동의 인식 비교

        유충훈 ( Yoo Chung Hoon ),이효신 ( Lee Hyo Sh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로봇과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통해서 발달장애아동들의 대상인식과 수용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러한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O시 H초등학교의 특수교사로부터 8세부터 12세까지의 발달장애아동들을 추천 받아, 특수교사와 연구자가 다시 논의한 끝에 10명(남5, 여5)을 최종 선정하였다. 로봇과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교대중재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약 2개월 동안 10회기를 진행하였다. 발달장애아동들의 대상인식과 수용은 설문지를 통해서 측정되었고, 상호작용은 사건기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대상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사용하였고, 매체에 대한 수용과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표와 그래프를 이용한 시각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대상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공동활동’과 ‘신뢰형성’의 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둘째,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수용에 있어서 컴퓨터보다 로봇이 아동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또한 학급 내 인기투표에서 9명 모두 ‘잉키’를 1위로 선택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들과 매체간의 상호작용은 매체인식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로봇은 발달장애아동들에게 공동 활동을 할 수 있고 신뢰관계가 형성될 수있는 친구로 인식되며, 이러한 인식은 아동들의 말과 행동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 recognition and reception abilities and to observ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edia - robot and computer. As the subject of study,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ge group between 8 to 12 years old were select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t H elementary school in O city, the final group of 10 children (5 male and 5 female students) for the study was chosen among the pre-selected after discuss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robot and computer were done withi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nd a total of ten sets were performed over the course of two months. The object recognition and reception abilitie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and the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event recording. T-test was used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of robot and computer. For visual analysis method, table and graph was used to study the reception abilities and interaction of the educational media - robot and comput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these processe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ject recognition between robot and comput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outcomes especially in the ‘group activities’ and ‘trust building’ areas. Second, for the reception of robot and computer, robot was more attractive to children than computer. Also, nine out of ten students in the classroom voted for ‘Engkey’.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edia - robot and computer - showed the same pattern as object recognition in statistical analysis. Therefore, the robot can be recognized as a friend who establishes a trust relationship and performs activities with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s confirmed by the children’s words and behaviors.

      • KCI등재

        텔레프리젠터 로봇을 통한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의 상호작용 탐색연구: 경북 N초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신윤희 ( Yun Hee Shin ),이효신 ( Hyo Shin Lee ),진미영 ( Mi Young Jin ),유충훈 ( Chung Hoon Yoo ),김창걸 ( Chang Guel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들이 텔레프리젠터 로봇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떠한 행동 반응특성을 보이며, 로봇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경북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명의 학생으로 양적 방법인 부분간격기록법과 질적 방법인 비참여 관찰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든 학생들이 게임활동 상황 보다는 자유대화상황에서 자리이탈이나 부주의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학생의 특성과 상관없이 자신의 관심이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대상으로 로봇을 인식하였다. 세 번째, 또래에게 부정적 경험을 한 번 이라도 받은 적이 있는 학생들인 경우, 로봇의 상황을 이해하여 경험을 제안하는 공동활동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네 번째, 심각한 놀림이나 집단따돌림을 받고 있는 학생들인 경우, 로봇을 신뢰로운 친구가 되고 싶은 대상으로서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 문제가 있는 정서·행동장애 및 위기학생의 교육적 중재시 텔레프리젠터 로봇이 새로운 매개체로 역할을 해 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ehavioral responses and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and student at risk through interaction with tele-presence robo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book, South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artial interval recoding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umber of ``out of seat`` and ``off-task`` behaviors of All participants were more showed in conversation situation than in task situation. Second, All of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obot sharing their interests and experiences. Third, the participants who having bad experience from peers recognized the robot having a pro-social relationship through understanding the robot``s situation and suggesting their opinions. Last, the participants who were bullied from peers recognized the robot as their friend. Therefore, this study was showed that Robot could be new medium of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being bul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