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동 발달재활 서비스로서의 심리운동 전문성과 효과 탐색

        유진호 ( Jin-ho Ryu ),강유석 ( Yoo-seok K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장애아동 발달재활 서비스로서 심리운동의 전문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교과목 이수와 심리운동 연수를 통하여 심리운동사 자격을 취득하고 현장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심리운동사 92명을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과 판단표본 표집법(judgemental sampling)으로 선발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대상 중 성실하게 응답한 89명의 응답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심리운동의 전문성은 대상자 중심의 접근 방법, 전인적 발달 추구, 지도자의 전문성, 활동의 확장성, 전문적인 내용 체계, 자존감 향상, 과정 및 체험 중심, 놀이적 성격의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리운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자존감 향상, 인지 기능 향상, 감각 및 지각 발달, 자기 조절력 향상, 정서적 안정, 표현력 향상, 사회성발달, 신체 기능성 발달, 가족 기능 회복, 환경 적응력 향상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 발달재활 서비스로서 심리운동의 정체성 및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것이며, 대학의 심리운동 관련 교과목 및 심리운동사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rofessionalism and effects of psychomotorick as a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recognition of psychomotorik expertises. Towards this end, 92 psychomotorik expertises who acquired qualification and running psychomotorik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judgemental sampling method. The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by employing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for 89 subjects: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psychomotrik was categorized 8 topics; subject-centered approach method, pursuit of whole person development, expertise of instructors, expandability of activity, professional contents structure, development of self-esteem, activity-centered the process and experience, and activity-oriented play. Second, the effects of psychomotrik was categorized 10 topics; improvement of self-esteem,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y, development of perception and sensation, improvement of self-control ability, emotional stability, improvement of expressiveness,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enhancement of physical performance, recovery of family function,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adaptation.

      • KCI등재

        Interactive Metronome(IM) 훈련이 ADHD 아동의 운동타이밍과 운동수행력, 행동증상에 미치는 영향

        유진호 ( Jin-ho Ryu ),강유석 ( Yoo-seok K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IM훈련을 실시하여 운동타이밍과 운동수행력, 행동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12세 사이의 ADHD 아동 16명을 각각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20회기, 회당 약 30분의 IM훈련을 실시하였다. 운동타이밍은 IM의 하위 검사항목으로 측정하였으며, 운동수행력은 MPP로, 행동증상은 ATA검사로 주의집중력과 충동성을 측정하였다. IM훈련 후 운동타이밍은 IM의 7가지 하위 영역과 LFA 종합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IM훈련은 인지적 운동수행능력과 신체적 운동수행능력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M훈련은 시각 및 청각 누락오류와 청각 오경보오류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어 주의집중력과 충동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운동수행력 및 행동증상 개선을 위해 중재방법으로서 IM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IM) on motor timing, exercise performance, and behavioral symptoms of children with ADHD. 12 children aged 8 to 12 diagnosed with ADHD by the diagnostic standards of DSM-Ⅴ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IM training of 20th session and 40 minutes per s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IM training, motor tim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even sub-regions and the LFA overall score of IM. Second, IM training generally had a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and physical exercise performance. Finally, it was shown that IM training represented significant changes in visual and auditory omissions errors and auditory commission errors, which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ttention-intensive and impuls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clinical basis for IM programs as a means of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exercise performance and behavioral symptoms of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장애인의 재활 및 발달 지원을 위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의 구성 요인과 상대적 중요도 탐색

        강유석 ( Yoo-seok Kang ),유진호 ( Jin-ho Ryu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재활 및 발달을 지원하는 심리운동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을 탐색하여 도출하고, 각요소 간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심리운동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심리운동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지도자 교육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리운동을 대학에서 강의하거나 현장에서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지도하고 있는 5년 이상의 경력이 가진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을 사용하여 3차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심리운동프로그램 구성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구성 요인과 27개의 하위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또한 심리운동프로그램 구성 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감각·지각활동 40.1%, 신체 조절 활동 25.3%, 체험 활동 13.6%, 놀이 활동 9.2%, 수중 활동 5.4%, 그룹 활동 3.2%, 리듬 활동 1.9%, 물체조작활동 1.3%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감각과 지각, 운동성 등 신체성의 발달을 추구하는 심리운동의 주된 관점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장애인의 재활과 발달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심리운동프로그램 구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ystematical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of Psychomotor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preparation of Psychomotor program by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each factor. To accomplish this, 30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y consisted of professionals and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s in institutes where have operated program related to Psychomotor more than five years. Data were collected by Delphi technique and AHP method.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for three times by the participants. For the decision of priorities about improvement factors, AHP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struct components of psychomortick program consisted of eight type of activity and 27 sub-factors were also extracted.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priorities of factors was sense·perception activity 40.1%, self-regulated physical activity 25.3%, experience activity 13.6%, play activity 9.2%, aquatic activity 5.4%, group activity 3.2%, rhythm activity 1.9%, and object control activity 1.3%. These factors are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improving the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performance, while are reflected the major points of Psychomotor to pursue the development of human physicality such as sense, perception and mobility.

      • VDES 수신기를 위한 주파수 옵셋 처리 방안 연구

        류형직(Hyung-Jick Ryu),김혜진(Hye-Jin Kim),김원용(Wong-Yong Kim),박개명(Kae-Myoung Park),김준태(Jun-Tae Kim),유진호(Jin-Ho Yoo)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추계

        본 연구에서는 IALA G1139 지침에서 정의한 시스템 파라미터 및 요구 사항들을 바탕으로 한 수신기 물리계층 구현에 있어 주파수 옵셋 처리상의 어려움을 확인하였던 1차 연구에 이어 추가적인 검토와 주파수 옵셋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Training 심볼 길이 확장및 차동 변조 방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추후 IALA ENAV22 의제에서 다뤄질 예정이며, 추후 IALA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파수 옵셋 처리 방안을 선정할 예정이다. n this paper, We stduy addtional consideration and method to treat carrier frquency offset on defined system parameter & requirements in IALA G1139, previous studied consecutively. We studied the method to treat carrier frequency offset by extending length of training symbol and by differential modulation. This study will publish and argue in IALA ENAV22. We will decide a method to treat carrier frequency offset from result of IALA ENAV2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