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원격 손협응기술 중재의 효과: 단일사례연구

        강수라 ( Kang Sura ),유제광 ( Ryu Jeh-kwang ),주유미 ( Ju Yum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손 기능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원격중재제공이 발달장애아동의 손협응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단일 사례 시험 중 하나인 ABA’B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2명의 발달장애아동에게 손 기능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중재를 제공하였다. 원격중재구간에는 매일 1회, 20분간 애플리케이션으로 손협응기술을 훈련하였다. 단일 사례 디자인은 원격중재 3회기와 비중재 3회기로 구성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 제공 전에 사전평가를 진행하였고, 모든 중재가 끝난 후 사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밖에도 매주 기관에 방문하여 총 7회의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단일 사례 연구 결과, 사례 1은 한 손 과제 및 양손 과제에서 원격중 재회기가 거듭되면서 회전시간 및 총수행시간이 단축되고 정답수가 증가하였다. 사례 2는 한 손 과제에서는 회전시간 및 총수행시간 및 정답수가 증가하였고, 양손 과제에서는 회전시간 및 총수행시간 및 정답수가 감소하였다. 전체 중재의 사전 및 사후 결과를 비교하면 사례 1은 한 손 과제 및 양손 과제에서 움직임의 속도 및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사례 2는 한 손 과제에서 움직임의 속도가 느려지고 정확도가 높아졌다. 양손 과제에서는 움직임의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ICT기술을 활용하여 가정 내에서 원격으로 진행할 수 있는 손협응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달장애아동에게 적용해본 것이 의미가 있다. 아울러 향후 원격전달 모델로써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remote intervention using a hand function training application on the hand coord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w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tele-intervention through training application for hand coordination skills. In the remote intervention sessions, the application was applied to be used once a day for 20 minutes. The single case study with ABA’B design was conducted, and it consisted of three phases of tele-intervention and the followed three phases of non-intervention.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a pre and a post evaluation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y were instructed to visit the institution every week in order to participate in each 7 evaluations. Results: As a result of a single case study, case 1 showed that the shortened duration of flip and total duration and the increased number of correct answers as remote intervention sessions were repeated in the one-handed task and the two-handed task. In Case 2, the duration of flip, total duration and number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in the one-handed task, and the duration of flip, total duration and number of correct answers decreased in the two-handed task.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Case 1 showed improved movement speed and accuracy in the one-handed task and the two-handed task. Case 2 slowed the movement speed and increased accuracy in the one-handed task. In the two-handed task, the speed of movement increased and accuracy de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hand coordination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conducted remotely at home using ICT technology and applied it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remote delivery model in the future.

      • 태블릿 기반으로 개발된 시지각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강수라 ( Kang Su-ra ),유제광 ( Ryu Jeh-kwang ),주유미 ( Ju Yum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2 No.2

        목적: 본 연구는 태블릿 기반으로 개발된 시지각 평가도구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태블릿 기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3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CINAHL, DBPIA, EBSCO, IEEE, MEDLINE, PUBMED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국문 검색 용어는 “태블릿 기반” AND “시지각” AND“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영문은 “Tablet” AND “Visual perception” AND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키워드 검색으로 총 23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선정 기준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정된 논문은 총 9편이었다. 총 9편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정상 성인, 정상 발달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난서증, 글씨쓰기 능숙 아동 및 능숙 성 인, 인지장애 및 치매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태블릿기반 평가가 개발되었다. 100명 이상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은 총 4편이었으며, 100명 이하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한 논문은 총 5편이었다. 평가 방식으로 9편의 논문 중 3편의 논문은 태블릿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다른 3편의 논문이 태블릿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2편의 논문은 태블릿에 펜을 사용하여 글씨를 쓰는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며, 마지막 1편의 논문은 그림그리기, 글씨쓰기, 터치하기 모든 방식을 포함하여 혼합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태블릿 기반의 시지각 평가는 디지털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대상자의 기능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고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디지털 기반 평가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ults: A total of 238 articles were retrieved by keyword searching through the database, and 9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ubjects were normal adult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yslexia, literate children and literate adults, and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Four studies were based on a sample size of 100 or more, and 5 were based on a sample size of 100 or less. 3 studies were evaluated by drawing figures on the tablet, and other Three studies were evaluated by touching the tablet with a finger. Two papers were evaluated by writing using a pen on a tablet, and the last paper was evaluated by a mixed method including drawing, writing, and touching. Conclusions: Tablet-based visual perception evaluation has the advantage to obtain and analyze abundant information for visual perception by collecting data on a digital basis. It is expected that a valid and reliable digital-based evalu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정환경개선 서비스가 지역사회 치매 노인의 낙상 위험성과 일상생활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주유미(Ju, Yumi),박주연(Park, Ju-Yeon),한효진(Han, Hyo-Jin),유제광(Ryu, Jeh-Kwang)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태안군 치매안심센터에서 총 16명의 치매 진단을 받은 노인을 연계 받아 총 8주간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각 대상자 개인별로 1주일에 1회씩 총 6회기의 재가방문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하여 개인 행동평가, 가정환경 컨설팅, 가정환경개선, 일상생활 훈련, 및 인지 전략 교육 등을제공하였다. 서비스 전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정환경평가 프로토콜(HEAP)과 추가로 활동-특정 균형 자신감 척도(ABC), 낙상 행동요인 척도(FaB), 한국판 일상생활활동 평가(K-ADL)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평가(K-IADL)의 독립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사전-사후 점수 비교는 Jamovi 2.2.2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중재 결과 가정 내 위험환경, 적응, 시각적 단서, 관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환경변화가 있었다(p<.001). 단, 가정환경의 편안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 후 균형자신감, 낙상 행동요인, 수단적 일상생활의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p<.001). 반면 일상생활의 독립성에는 변화가 없었다(p=.186). 전반적 서비스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9.6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는 가정 내 생활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고 수단적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향상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더 많은모집단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home modification service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 Sixteen elderly people diagnosed with dementia participated in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provided in this study. Six home visits were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subject. Including pre-and post-evaluation, personal behavior evaluation, home environment consult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daily activities training, and cognitive strategy education were provided. To examine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changes in the environment, balance confidence, fall behavioral factors, and independence of ADL and IADL were evaluated. The preand post-score comparisons were analyzed using Jamovi 2.2.2. Results : The inter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nvironmental changes in home hazards, adaptation, visual cues, and observation (p<.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mfort of the home environment.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fall behavioral factors, and independence in IADL after intervention (p<.00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hange in independence in ADL (p=.186).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as very high at 9.6 out of 10. Conclusion :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not only in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at home, but also in preventing falls and improving the independence of IADL.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to a larger population and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 An Empirical Study of Pedestrian-Vehicle Interaction Using Virtual Reality

        Yoon Kyung Lee(이윤경),Hyoseok Bang(방효석),Mijin Kwon(권미진),Yong-Eun Rhee(이용은),Jeh-Kwang Ryu(유제광),Sowon Hahn(한소원)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gesture interface of pedestrian and to propose socially appropriate movement gestures for vehicles. We conducted an observational study in locations that had 1) high volume of traffic, 2) intersections where constant interactions between pedestrians and vehicles occur, 3) no traffic lights to regulate the flow of traffic. We then developed a virtual crossing task (VCT), with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based on the behavioral patterns we observ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We measured head direction, crossing time, and success rate in crossing. Based on our observation, the speed, the size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pedestrians were the main factors of change in pedestrian movements (e.g., stopping).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keep caution by changing their head direction to look around when the vehicle was small and slowly approached the crosswalk and when a companion was present.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s and pedestrians should be understood as social interactions: social institut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socially’ appropriate gesture interface of autonomous veh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