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보직교원의 역량탐색 :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유정아(Yoo, Jungah)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대학 보직교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설문문항을 추출한 후, IPA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전국 11개 대학교의 교원과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150부의 설문지를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와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보직교원에게 필요한 역량 중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세 개의 항목은‘책임성’,‘의사소통’, ‘문제분석역량’으로 나타났고, 실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세 개의 항목은‘리더십’,‘의사소통’,‘책임 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난 세 개의 항목은‘책임성’,‘의사 소통’,‘리더십’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으로 개선되고 개발되어야 할 역량은‘헌신’,‘배려’,‘자기조절’로 나타났다. 탐색된 역량에 대한 집단별 차이분석 결과, 교원의 보직 경험이나 보직횟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교원의 연령대, 계열, 성별, 보직유형, 그리고 교원과 직원 집단에 따라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ing of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competence. The study methods are interview and IPA(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interviewee of this study are 9 professors who had been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 or who are now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IPA survey questionnaire is developed according to interview result, 100 professors and 100 employee who are in 11 universities are IPA survey o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1) The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high important competence are‘responsibility’,‘communication skill’, and‘problem analysis skill’. 2) The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high performance competence are‘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and‘responsibility’. 3)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competence are ‘responsibility’,‘communication skill’, and‘leadership’. 4)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competence are‘sacrifice’,‘concern’, and‘self regulation’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ors’ sexual group, age group, and administrative type.

      • KCI등재

        대학의 연구성과와 교육성과 관계분석을 통한 연구-교육 연계방안 탐색

        유정아 ( Jungah Y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이 연구는 대학교원들의 연구성과와 교육성과를 비교하여 그 관계를 밝히고, 대학 연구와 교육을 연계시키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서울 소재 A대학 한 단과대학 전체 교원 241명의 연구성과(논문수, FWCI, H-index 점수)와 교육성과(5년간의 강의평가점수 평균)를 조사한 후 비교하였다. 데이터 비교를 위해 사용된 방법은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이었고, 사용한 통계패키지는 SPSS 25였다. 분석결과, 대학교원들의 강의평가 평균점수는 H-index 점수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에 대학의 연구-교육연계 방안으로 대학교원의 연구성과 평가방식의 전환(양적평가(논문수)에서 질적 평가(FWCI) 방식으로)과 연구연계교육의 도입을 통한 학생들의 연구참여 및 공동출판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한 단과대학 사례라는 한계가 있다. 추후에는 더 많은 단과대학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단과대학별 차이를 분석하거나 회귀분석을 통한 인과관계 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esearch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of university professors to reveal the relationship, and to propose a plan to link research and teaching in universities. The research achievements (number of papers, FWCI, H-index scor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average of five-year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241 faculty members at a college of A university in Seoul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method used for data comparison wa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package used was SPSS 2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lecture evalu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index scor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change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university professors as a research-teaching linkage plan of universities, and to promote student participation in research and joint publication through research-related teaching.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being a case of a college. Research is needed to collect more data from college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colleges or to extract causal relationship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코로나-19시대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의 대학수업분석

        유정아 ( Jungah Y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코로나-19 전염병은 대학수업을 비대면 온라인수업으로 강제전환 하도록 하였다. 이런 예상치 못한 변화에 대학이 어떻게 적응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수업사례 분석, 교원 및 학생 설문조사, 강의평가점수 비교를 통한 비대면 온라인 대학수업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A대학교원 4명의 수업사례를 분석하였고, 학생 215명의 설문분석 및 대학교원 241명의 강의평가점수를 비교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 카이제곱 검증, ANOVA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비대면 온라인수업은 융통성 있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고(자체제작/대학지원, 실시간/비실시간), 실시간과 비실시간 수업 진행에 따른 학생반응의 차이가 발견되었다(p<0.01). 비대면 수업 강의평가점수는 면대면 수업 강의평가점수와 일부 학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수업컨설팅을 한번이라도 받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비대면 수업의 강의평가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급박하게 진행된 비대면 수업에 대해 대학, 교원, 학생들은 신속히 적응한 것으로 해석되었고,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원들의 비대면 수업 진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수업컨설팅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COVID-19 forced university classes to be converted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NFO).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NFO through university class case analysis, faculty and student surveys, and comparison of lecture evaluation scores to find out how university classes adapted to these unexpected changes. The class cases of four professors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analysis of 215 students and lecture evaluation scores of all 241 faculty were compared. For data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ANOVA were used. It was found that NFO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mpetency of the faculty and differences in student responses were found between real-time and non-real-time classes (p<0.01). The NFO lecture evaluatio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lecture evaluation score in some semesters, and the group who received instructional consulting showed higher score for the NFO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p<0.01). It was interpreted that university, faculties, and students quickly adapted to the urgently conducted NFO. And the faculties who participated i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showed excellent NFO, suggesting the need to expand instructional consultation.

      • KCI등재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정선희 ( Jung Sun Hee ),김금희 ( Kim Keumhee ),김세희 ( Kim Saehee ),유정아 ( Yoo Jungah ),박선희 ( Park Sun-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선정과 활용을 목적으로 장애 관련 그림책 25권을 선정·분석하여 그들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외적 양상은 우리나라 그림책이 외국 그림책의 번역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고, 주요 등장인물은 사람이었으며, 시각장애와 신체적 장애에 관한 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 양상으로는 장애인물과 주변인물의 상호관계가 긍정적이고 수용적으로 묘사되었고, 1인칭 화자에 의한 서술이 많았으며, 그림의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서사를 풍부하게 하였다. 둘째,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이 나타내는 특성으로는 장애 이해를 위한 참신한 접근 방식으로 장애 수용의 서사, 공감각적 자극을 유도하는 표현기법으로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성이 높은 예술적 텍스트, 사회적 맥락에서 장애인의 삶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장애인을 `우리`로 수용하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선정기준과 창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nalyzed various aspects of picture books on disabilities for the appropriate selection and use in education. Based on former studies, picture books on disability topic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25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language of the books, the number of picture books written by Korean writers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ose translated into Korean. The main characters were human, and physical disabilities were mainly depicted and the most identified disability. In terms of the books,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disabled characters and other characters were positively depicted and frequently written in the first-person perspective, and information and plenty of narrative were communicated by the various techniques used for the pictures. Second, the picture books analyzed had a number of particular elements: a unique narrative of accepting disabilities to understand disabilities, artistic texts which extend meaning by using multisensory expressions for enhancing interactivity between the text and image, giving information in various situation and realistic contexts and accepting disabled as `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offer qualitative support in education practice by suggesting standards for selecting books related with disability education an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researching and creating picture books which are on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