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진왜란기 전주 방어에서 안덕원전투(安德院戰鬪)의 의미

        유연성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 No.77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일본군은 조선의 8도 중 7도를 장악하였다. 남은 전라도를 점령하기 위해 일본군이 충청도와 경상도를 통해 남하하였다. 일본군은전라도를 침략하기 위해 먼저 무주와 금산을 점령하고, 용담, 장수, 진안을 통해 전주의 경계에 이르게 되었다. 조선군은 관찰사 이광(李洸)의 방어 계획에따라 주요 지점에 배치되어 일본군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일본군이 진안에서전주의 경계에 있는 웅치(熊峙)로 향하게 되었고, 조선군도 이곳에서 방어진을 구성하였다. 일본군은 웅치에서 방어하던 조선군의 저항을 돌파하고 전주로 향했다. 웅치에서 김제군수 정담(鄭湛)은 조선군의 퇴각을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우다 전사하였다. 정담의 활약으로 조선군은 병력을 보존한 채 전주 동쪽 부근 10리에위치한 안덕원(安德院)에서 재차 일본군에 대한 방어에 임하게 되었다. 안덕원에서 전투는 1592년 7월 9일에서 10일 사이에 발생하였고, 일본군의 침입에따라 병력을 이동한 황진(黃進)이 가세하여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일본군은전주의 방비가 삼엄한 것을 보고 퇴각하게 되었다. 안덕원전투는 전주 방어전으로서 웅치전투의 연속선상에서 발생한 싸움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안덕원전투는 웅치전투와는 다른 개별전투라고 봐야할 것이다. 안덕원전투에서 조선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에는 웅치전투에서의 병력 보존과 적극적인 방어로 전주성 외곽에서 재차 전투를 수행한현장 지휘관의 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었다는 점에 있다. 전투 과정에서 관찰사이광의 방어전술과 용병술, 조선군의 첩보 수집 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승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해동제국기』의 군사적 성격 고찰

        유연성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해동제국기(海東諸國紀)』는 1443년에 신숙주가 일본을 다녀온 뒤 1471년에 왕명을 받아 편찬한 사행록이다. 일본과의 교류가 많지 않던 시기의 일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사료이다. 조선은 일본과의 외교에서 교린체제를 유지하며, 왜구(倭寇)에 대한 통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 와 같은 시기에 편찬된 『해동제국기』는 사행록이지만 일본의 지도와 인 문지리 정보를 수록한 지리지로 볼 수 있다. 조선 전기의 지리지인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을 통해 국가에서 중요시했던 자료이다. 지리지는 임진왜란 당시 기록을 통해 국 가 전시상황에서 정보지로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평시에 국가 통 치의 일환으로서 제작된 지리지가 전시에는 적에게 가장 큰 정보수단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동제국기』의 일본 정보는 조선의 방어 개 념 보다는, 일본에 대한 공세적 방어에 주안을 둔 기록이다. 군사적 관점 에서 『해동제국기』의 정보는 군사적 활용이 가능한 기록이다. 『해동제국기』는 외교지침서이자 군사적 성격을 가진 지리지로 볼 수 있다. The Haedongjegukgi(海東諸國紀) is a sahaengrok(使行錄) compiled by the king’s order in 1471 after Shin-Sukju visited Japan in 1443. This is a historical document that records information about Japan during a period when there was not much exchange with Japan. The Joseon Dynasty maintained its Gyorin(交隣) system in diplomacy with Japan and focused on controlling Japanese pirates(倭寇). The Haedongjegukgi, compiled during this period, is a saheangrok, but it can be viewed as a Jiriji(地理誌) containing Japanese maps and human geography information. It is a material that was regarded as important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Sejongsillok Jiriji(世宗實錄 地理志) and Donggukyeojiseungram(東 國輿地勝覽), which were the Jiriji of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rd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 show that Jiriji was used as an information document during the national war. This means that Jiriji, which was produced as part of state rule during peacetime, can be the biggest means of information for enemies during the war. The Japanese information in Haedongjegukgi is a record focusing on offensive defense against Japan rather than the concept of defense of Joseon.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of the Haedongjegukgi is a record that can be used militaryly. The Haedongjegukgi can be viewed as a diplomatic guidebook and also as a Jiriji with a military Characteristics.

      • KCI등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Furan-Based Self-Healing Polymer

        유연성,오경화,김성훈 한국고분자학회 2016 Macromolecular Research Vol.24 No.10

        The extensive researches of self-healing polymer have been carried out for various applications in industrial fields. In this research, bio-based self-healing polymer was prepared using a cross-linking mechanism between polybutylene furanoate (PBF) and bismaleimide (BM) by Diels-Alder reactions, and it was blended with bio-based polyurethane (BPU) to improve the liquidity, elastic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se self-healing polymer and BPU blended elastomer were made with different ratios of PBF, BM, and BPU. PBF-BM polymer has 6:1, 8:1, and 10:1 of PBF: BM ratios. Each polymer and BPU constitutes self-healing elastomer with 1:1, 1:1.5, and 1:2 ratios. Properties and self-healing ability of these elastomers were investigated by thermal,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analysis. On average, 6:1 of PBF: BM ratio shows the outstanding self-healing efficiency and 1:2 of PBF-BM polymer: BPU ratio has the highest mechanical properties with maintain its self-healing ability.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BPU is a good reinforcement of the furan-based self-healing polymer with improving the self-healing ability and eco-friendly performance.

      • KCI등재

        정유재란 초기 전라도 방어의 실패 원인

        유연성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7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peace talks began in 1593. However, the peace negotiations ended in failure, and in 1597, the war recurred. Unlik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Japanese military set the occupation of Jeolla Province as a strategic purpose. Joseon judged that Japan would invade Joseon again through various intelligence sources. Joseon requested the Ming Dynasty to send troops in preparation for the Japanese invasion. The Ming Dynasty decided to send troops to Joseon in preparation for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Joseon also stationed troops around Gyeongsang Province, the main advance route of the Japanese military, to prepare for it. In addition, troops were stationed on the main roads of Namwon and Jeolla Province to prepare for defense according to the Japanese military's intrusion into the Jeolla Province. Accordingly, Yang Won(楊元), a vice commander dispatched from the Ming Dynasty, goes down to Namwon with 3,000 troops to prepare for the Japanese invasion. In July 1597, the Jeongyu War broke out, and the Japanese army headed to Jeolla Province. As the Japanese military headed to Jeolla Province, Commander Lee Bok-nam(李福男), who was in charge of defending the region, headed to Namwon with a small number of troops. Joseon and Ming armies who protected Jeolla Province gathered in Namwon, and Japanese troops also advanced to Namwon. In the three-day battle, the Ming and Joseon armies guarding Namwon were defeated. Afterwards, the Japanese army tried to capture Jeonju one after another and climb to Hanseong through Chungcheong Province, but was defeated by the Ming army in Jiksan and withdrew. Jeolla Province, which was not occupied ev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short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roke out. As such, there are five reasons why Joseon failed to defend Jeolla Province. The cause was analyzed through Kang-Hang(姜沆)'s Ganyangrok(看羊錄) and the war situation, which he had been to Japan as a prisoner. The first was frequent replacement of commanders. The second was the issue of mobilizing troops in the region and operating the fortress. The third was the absence of Sooryeong(守令, the role of a commander during the war) in each region of Jeolla Province. The fourth was the failure of defense strategies. The fifth was dependence on the Ming army and transfer of command. Due to this problem, the Jeolla Province during the Jeongyu War was occupied without responding properly to the Japanese invasion.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 1593년부터 강화회담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강화 교섭은 실패로 끝나게 되었고, 1597년에 전쟁이 재발하였다. 일본군은 임진왜란 때와는 다르게 전라도 지역 점령을 전략 목적으로 세웠다. 조선은 여러 첩보들을 통해 일본이 다시 조선을 침략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은 일본군의 재침에 대비하여 명나라에 병력 파견을 요청하였다. 명나라는 일본군의 침입에 대비하여 조선에 파병을 결정하고 병력을 파견하였다. 조선도 임진왜란 시기 일본군의 주요 진격로인 경상도 일대에 병력을 주둔시켜 대비하였다. 그리고 일본군의 전라도 지역의 침입 첩보에 따라 남원과 전라도 주요 길목에 병력을 주둔시켜 방어 준비를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명나라에서 파견 된 부총병(副總兵) 양원(楊元)이 병력 3천을 이끌고 남원에 내려가 성벽 보수에 들어가 일본군의 침입에 대비한다. 1597년 7월에 정유재란이 발발하였고, 일본군은 전라도로 향했다. 일본군의 침입에 대비해 경상도 일대에 주둔하고 있던 조선군은 대다수가 산성을 버리고 피신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군은 큰 저항 없이 전라도까지 빠르게 진격하였다. 일본군이 전라도 지역으로 향하면서 지역 방어를 담당했던 병사 이복남(李福男)은 소수의 병력을 이끌고 남원으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담양의 금성에 머물던 조방장 김경로(金敬老)와 합류하였다. 전라도를 지키던 조선군과 명나라군은 남원에 모였으며, 일본군도 남원으로 진격하였다. 3일간의 전투에서 남원을 지키던 명나라군과 조선군은 패배하였다. 이후 일본군은 전주를 연이어 함락시키고 충청도를 통해 한성으로 올라가려다 직산에서 명군에게 패배 한 뒤 철군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에도 점령당하지 않았던 전라도 지역은 정유재란이 발발하고 얼마 못가 일본군에 점령당했다. 이와 같이 조선이 전라도 지역의 방어에 실패한 원인은 5가지가 있다. 일본에 포로로 갔다 온 강항(姜沆)의 간양록(看羊錄) 과 전쟁 상황을 통해 그 원인을 분석했다. 첫 번째는 지휘관의 잦은 교체였다. 두 번째는 지역 내 병력 동원과 산성 운영의 문제였다. 세 번째는 전라도 각 부군현 수령의 부재였다. 네 번째는 방어 전략의 실패였다. 다섯 번째는 명나라군에 대한 의존과 지휘권의 이양이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정유재란 시기 전라도 지역은 일본군에 침입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채 점령당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