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조직 역할 확대 : 역능적 행위자성과 제도적 논리를 중심으로

        유두호(Dooho Yoo),유승주(Seungju Yo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역할 확대를 추동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늘어가는 사회적 난제(wicked problem)의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들에게 요구하는 책임과 역랑 또한 크게 증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역할 확대에 주목하여, 기업의 내적·외적 요인의 영향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도주의 조직론(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에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역능적 행위자성(empowered actorhood) 개념을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여, 제도적 논리(institutional logic) 변화의 흐름에 조응하는 조직의 행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증가된 자발적 행위자성은 기업의 역할을 확대 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 추구라는 제도적 논리의 변화에 조응하는 기업일수록 역할 확대를 시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추가적으로 영세한 조직이 많은 사회적 기업의 생태계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규모에 따른 분석을 시도한 결과, 조직규모가 10인 미만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여타 사회적 기업을 통해 발현되는 상대적 행위자성이 높을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이상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을 추구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행위자성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의 비대칭적인 상황 속에서 사회적 기업이 무리한 목표설정 보다는 기업 내부의 역량과 여건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실무적 함의와 함께 행위자성을 끌어올려 스스로의 역할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 설계와 상대적 행위자성이 발현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지위 확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driving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wicked problem,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s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challenges they dema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xpanding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whileattempting to capture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particular, it applies the concept of empowered actorhood,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institutional institutionalism, to Korean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explain the behavior of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the flow of changes in institutional logic.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actors became a leading factor in expanding the roles of fir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panies that pursue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are trying to expand their roles. This study can suggest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newly defining the concept of actors for application to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tudy h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ocial enterprises should set goals that conform to internal capabilities and conditions rather than excessive targets set in the context of asymmetric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need to design policies that enable enterprises to expand their roles and establish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정부 혁신의 방향과 범위 분석

        정솔 ( Sol Jeong ),주혜린 ( Hyelin Joo ),유승주 ( Seungju Yoo ),손선화 ( Sun Hwa Son ),엄영호 ( Young Ho Eom ),유나리 ( Nari Yoo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0 국가정책연구 Vol.34 No.4

        정부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직의 관리 과정과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에서 혁신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부 혁신이 어떤 방향과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미래 정부가 추구하는 상(像)으로 지능적, 민첩한, 글로벌 대응 정부의 세 가지 혁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UN의 정부기능분류를 활용하여 혁신의 기능적 범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1번가에 제시된 중앙 및 지방정부, 공사·공단 등 246개 기관의 514개 우수혁신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 방향은 민첩한 정부와 관련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기능은 일반 공공행정 및 사회 보호 분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향후 혁신 정책의 방향과 기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혁신의 내용이 정부의 조직과정 및 공공서비스의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vernment seeks innovation in both the product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organization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emerging social problem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scope of innovation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rough analyzing the innovation cases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is article uses "the image of the future government," which is developed by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to analyze where government innovation orient to,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government(COFOG) for categorizing the functional scope of the cases. The former index consists of intelligent government, agile government, and globally-minded government. The data are 514 best innovation practices in 246 government agencie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presented on Government Innovation 1st Avenue. The research found that most governmental organizations become agile government, and the innovations mostly occur in the field of general public service and social security. This study can help public managers to design the innovation in public policies, specifically regarding their directions and functional area. However, this analysis leaves questions about the actual effect of these innovations on the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