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시행과 사목적 제언

        유성현(Ryu Sunghyu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44 No.1

        “호스피스 ·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을 제도화 함으로써 환자의 자기결정을 존중하고 환자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함과 동시에 국민 모두가 인간적인 품위를 지키며 편안하게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제정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환자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적인 돌봄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법적으로 또 사회적으로 제도가 마련된 것이다. 2018 년 2월부터 환자는 연명의료결정법을 통해서 연명의료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법적으로 행사할 수 있게 되었고 법의 보호를 받고, 이 법이 정한 원칙에 따라서 환자와 환자 가족 그리고 의료인들은 문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문서는 법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아직 시행 1년이 채 안 되었지만, 사목자는 이러한 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하는 주체이다. 먼저 사목자는 연명의료결정법의 지침을 간략하게라도 설명할수 있는 소양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사목자는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연명 의료결정법이 명시한 범위 안에서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고 인격적인 유대 관계 안에서 서로의 권리를 존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목자는 의료인들로 하여금 인격적으로 환자를 대하고 존중하도록 하며,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환자가 인간적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인들을 격려해야 한다. 또한 사목자는 이 법과 관련된 교회의 가르침(안락사, 인간생명, 환자와 의료 인들을 위한 사목적 동반)을 바탕으로 의료인들과 환자, 환자 가족 간의 관계 에서 있을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그들과 함께 고민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그들의 판단을 돕고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도움과 사랑에 충실해야 한다. 아직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의료적이고 법적인 문제가 온전히 해소되 었다고 볼 수는 없다. 연명의료결정법의 보완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사목자는 가장 가까이에서 환자와 환자 가족, 그리고 의료인을 만나는 주체로서, 중환자와 임종자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과 규정을 바르게 인식하고 유연하게 사람들을 만나야 하며, 그들의 양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해야 한다. 동시에 사목자는 현실에서 갖는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와 가능성을 주지하는 관찰자가 되어야 한다.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 (hereafter “Law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s institutionalized for the purpose of respecting patient’s self-decision, assuring patient’s dignity and also maintaining people’s dignity and could finish his/her life peacefully. In other words, this law institution is prepared for the patient can be treated by personal care and medical treatment lawfully and socially until the end of the life. From February 2018, patient can exercise and be protected his/her self-decision on life-sustaining treatment by this law. According to this law, patient, their family and medical personnel write the Advance (Medical) Directives and this written document can be protected by the law. Less than 1 year has passed since this law enforcement, but the pastor is the subject who should know well about this law. Firstly, the pastor should have knowledge to briefly explain the guideline of this law at least. And the pastor should help patient and families to exercise their rights within specified range of this law, and respect each other’s right within personal relationship. Moreover, the pastor let the medical personnel respect the patient personally and encourage the medical personnel to take care of the patient personally until the end of life. The pastor should agonize the various problems which could arise between medical personnel, patient and families under the base of Church’s teaching related to this law (Euthanasia, Human Life, pastoral accompany for patient and medical personnel), assist their decisions in adequate way, and be faithful wholeheartedly to give them what they truly needed help and love. Until now, medical and lawful problems about this law seem to be not solved thoroughly. Continuous discussions about the supplement of the law are still going on. The pastor is the nearest subject to meet the patient, families and medical personnel, so he should aware the Church’s teaching and regulation on critical patient and dying person rightly, meet the people with pliability and play the role to awake their consciousnesses. And at the same time, the pastor should be the observer to understand the limit and possibility of this law in reality.

      • 부부의 선익(bonum coniugum)의 의미와 내용

        유성현(Ryu Sunghyu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과학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경제적 풍요와 삶의 질이 확대되어 가는 오늘이다. 그렇지만 동시에 점점 더 짙어지고 있는 인간성 상실의 그늘은 가볍게 생각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인간 존재의 본질적 가치보다는 효율성을 기준으로 인간의 존재가 평가되고, 삶의 조건과 환경에 따른 삶의 질에 더 관심을 두기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상실되어 가는 인간성을 회복하고 왜곡되어가는 인간 행위에 대한 도덕성을 막기 위해 남자와 여자가 만나는 부부 공동체를 가장 중요한 핵심 주체로 보았고, 그들에게 부부의 유대와 일치가 갖는 본질적 의미를 회복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사랑의 기쁨』(Amoris Laetitia)은 현대의 부부들을 위한, 매우 의미 있는 교황의 권고이다. 교황은 권위로 규범을 강조하거나, 부부가 갖는 문제를 단순히 말로만 비판하지 않는다. 오히려 부부들이 살아가는 혼인과 가정에 대한 깊은 존중과 이해와 책임감으로 그들을 대하고(『사랑의 기쁨』 35항 참조) 그들이 직면한 현실을 함께 바라보면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 마음에 힘을 주고 있다. 교황은 부부를 단순히 남자와 여자가 만나 함께 살아가는 1차원적 공동체로 바라보지 않는다. 그들은 이미 한 처음부터 하느님의 손에 의해서 창조되고 하느님의 원의로 형성된 공동체를 이루는 주체들이며, 현실의 위기와 한계를 넘어서서 부부의 참된 의미를 회복하고 사랑과 친교를 회복하기 위하여 부름을 받은 이들이다. 이 부르심은 경제적, 물질적 가치로 인간 본연의 가치를 상실하고 있는 현대에도 유효하다. 하느님께서는 오늘의 부부가 창조 때의 ‘좋음’을 완성하며 살아가기를 바라시고, 그래서 부부 공동체가 세상에 대한 하느님 사랑을 그리고 인간에 대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드러내는 표징이 되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교황은 특별히 사랑이라는 역동성 안에서 친교를 통해 완성하는 선으로 ‘부부의 선익(bonum coniugum)’의 이해를 강조하였다. 그것은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재인식이라 할 수 있다. 부부라는 작은 공동체가 담고 있는 인간적이고 영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할 때, 반성과 성찰이 의미가 있으며, 현실에서 그들이 갖는 위치를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그들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부부의 선익’이 담고 있는 부부애와 신의, 인격적 친교로 완성되는 일치, 배타적이며 어떤 외력으로 와해될 수 없는 부부 관계의 불가해소적 의미는, 교황의 말대로 “가장 아름답고 가장 크고 가장 매력적이면서 오늘을 위해 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사랑의 기쁨』58항)이다. In these days, scientific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ed and economic abundance and the quality of life are expanded. But,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of thickening humanity loss and its shade cannot be considered lightly. The reason is that human existence is evaluated by the standard of efficiency rather than its essential value; it is more concerned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life and environment. In this reality, Pope Francis focused on married couple community where a man and a woman met as to the most important core subject to restore the losing humanity and to protect the morality from distorting human acting. So, “The Joy of Love” is the meaningful Apostolic Exhortation for modern married couple. Pope did not emphasize the norms with his authority, and did not just criticize the married couple’s problems with words. Rather, Pope Francis treats them and family with the deepest respect,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cf. section 35 of “The Joy of Love”), looks at their facing reality, listens to their voices and encourages their minds. Pope Francis does not see the married couple as to one-dimensional community where a man and a woman met and live together. Married couple is the subjects who were created by God from the very beginning and formed community by God’s original intention. They are called to restore the true meaning of couple who overcomes the critical situations and limitations of reality, to restore the love and companionship. This calling is still effective in modern era where is losing the true value by economic and materialistic values. God is expecting to fulfill ‘the goodness’ of the Creation to current married couple. Because God wants the married couple to be a sign of revealing the Love of God to the world and the Love of Christ to all human beings. For this, Pope Francis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bonum coniugum’ as to the virtue that completes the love, the dynamic, through companionship. That is to be called new understanding about self-identity. When what the humane and spiritual meaning of the little community of married couple is understood,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have meanings. Because when they recognized their facing situations and problems, they could solve them autonomously. Conjugal love and fidelity in the good of the spouses, the unity completed by personal fellowship, the meaning of indissolubility of the marital status which cannot be collapsed by any exclusive external forces are “most beautiful, most excellent, most appealing and at the same time most necessary” as Pope Francis said in the section 58 of “The Joy of Love”.

      • 성평등(性平等) 정책의 문제점

        유성현(Ryu Sunghyu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49 No.1

        성평등(性平等) 정책은 중요하다. 남녀 차별을 극복하고 서로 존중하고 인격적으로 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 이데올로기적 사고가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 젠더는 기존 성(sex)에 대한 의도적인 거부이며, 특정 집단의 사고를 사회 공동체 내에 주입하려는 행동이다. ‘선진국에서도 사회적으로 젠더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이유로 젠더를 올바른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자연적인 것을 거부하고 각자가 의도한 바를 정당화하려는 행위는 폭력으로 변질할 위험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성(性) 문제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의 성(性)이 갖는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인격적으로 서로 대하지 못하기 때문이지 젠더적 인식을 하지 못해서는 아니다. 그런데도 「차별금지법」, 「인권 조례」, 「건강가정기본법」, 그리고 국가 주도의 여러 정책은 의도적으로 그 내용에 성별,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가족형태 등을 포함하려 하고, 젠더 이데올로기를 기초로 이를 정의하고 또 법으로 규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국가 정책 또한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이미 젠더가 중심이 되고 있다. 교회의 성찰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이유이다. 1970년대부터 교회는 문헌을 통해서 오늘의 이 상황을 경고해 왔고, 인격을 바탕으로 하는 성(性)교육을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침묵하고 모른 척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성(性) 문제에서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 법이 제정되고 정책이 마련되면, 교회의 모든 활동이 축소될 것이고, 그때는 말하고 싶어도 법과 제도에 묶여 말할 수 없게 된다. 시대적 양심의 역할을 적극 해야 할 때이다. The gender equality policy is important. This policy helps to overcome sexual discrimination, to respect and treat each other respectfully. But, ideological thinking should not be interfered in this policy. Gender is the intentional refusal to existing sex, and this is the action to implant particular thinking to society community. We should not see gender is right, because of ‘developed countries accepted gender.’ To deny the natural thing, and to justify the behavior what he/she intended runs the risk to be deteriorated to violence. In our country, the problem of gender is not because of not having gender awareness, but woman and man don’t understand the intrinsic meaning of each gender, and not facing each other personality-wise. Yet, “Anti Discrimination Law”, “Human Rights Ordinance”, “Framework Act of Healthy Families”, and the national lead policies tried to include intentionally gender, sex orientation, gender identity, types of families, and tried to define them under the base of gender ideology and also to regulate to the law. Gender also became the center of the national policy without our knowledge. This is why the Church’s reflection is urgently needed than ever. From 1970’s, the Church warned this situation through the Church documents, emphasized gender education based on personality. It is not the matter of ignoring on purpose or to keep the silent. On the gender problems, the Church is no exception. Once the Law is established and the policy is prepared, all the Church activities will be reduced, in those days, the Church cannot speak her mind out because it was already restricted by the Law and policy. It is time to do actively the role of periodic consciousness.

      • 혼인은 선물입니다

        유성현(Sunghyun Ryu)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3 누리와 말씀 Vol.53 No.1

        현대의 그리스도교 가정은 다양한 어려움과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인간의 성과 혼인 그리고 출산에 대한 왜곡된 이념 등이 계속해서 혼인과 가정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을 흔들고, 신앙과 삶을 분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990년대부터 계속된 혼인율과 출산율 감소는 이제는 심각한 사회적 교회적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때에 필요한 교회의 역할은 당면한 현실에 주목하고, 어려운 현실에도 축소될 수 없는 혼인 의미와 가치를 교육하는 것이며, 실제로 그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찾는 것이다. 혼인과 출산은 현실이다. 종교가 부부의 현실을 바라보지 못하고, 그들에게 이상적 삶만을 강조한다면, 혼인은 선물이기보다 감당하기 어려운 무거운 짐이 될 뿐이다. 현실적인 어려움에도 많은 이들이 선물로서의 혼인을 원하고 있다. 그러기에 교회의 역할은 분명하다. 혼인이 서로를 위한 인간적이고 영적인 선물이 되도록 젊은이와 부부 그리고 부모들을 돕는 것이다. Modern Christianity family faces manifold difficulties and crisis. Because, not only social-economic problems but also distorted thinkings about gender, marriage and childbirth keep on shaking the Church teachings on marriage and family, and seperate the faith from life. Thus, since 1990s, the decreasing of marital rates and birth rates became a serious problem to the Church and society. The needed role of the Church in this situation is to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at hand, to teach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marriage, which can’t be reduced even in difficult reality, and to find the real necessary help for them. Marriage and Birth are realities. If religion couldn’t look at the reality of couples and only emaphasize the ideal life to them, marriage would not be a gift but a irrepressible heavy burden. Even though, there are practical problems, many people still want marriage as a gift. So, the role of the Church is clear. That is to help young couples and parents as marriage is a humane and spiritual gift for each other.

      • 성평등(性平等) 교육과 가톨릭 교회

        유성현(Sunghyun Ryu)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1 No.1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 내용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위해서 교회는 성평등 교육 정책, 관련 법 그리고 학교 교과서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떤 성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그리스도인 자녀들이 젠더 교육에 얼마나 영향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교회는 성(sex)과 성(性)의 본질적 가치인 섹슈얼리티(sexuality) 전달에 대한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 그러는 가운데 사회는 젠더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 정책과 법안 그리고 학교 교육을 위한 계획을 마련하고 단계별로 젠더 인식이 아이들과 학생들에게 스며들도록 가르치고 있다. 성교육에 대한 교회와 사회의 태도가 너무나 다르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양과 질적인 차이는 급격하게 벌어지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가톨릭 역량은 점점더 축소되어 가고 있는 반면에 젠더 이데올로기는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교회 내의 몇몇 성직자와 수도자 중심으로 젠더를 용인하고 그들을 위한 미사나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서 젠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부터 강조된 성교육은 아직 시작도 하지 못했는데, 이미 젠더 교육은 교회 내에서도 점차 확산하고 있다. 교회가 강조했던 학제간 통합적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하는 단계별 성교육은 이미 많이 늦었다. 정부의 젠더 교육 정책은 시행착오를 넘어서서 발전과 확대로 나아가고 있는데, 교회는 아직 제대로 된 성교육을 진행조차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젠더는 이미 이슈나 쟁점의 차원을 넘어서 의식화되어 가고 있다. 늦었다고 생각되는 지금이 단계별 성교육 정책을 위한 시작을 할 때다.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carry on the study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its relating law and the text book for overall understanding on sex education contents in Korea. If not, the Church could not know what kind of sex education is made in our country, and how much the Christian children are influenced from the gender education. Meanwhile, the Church failed to perform the duty of transferring the sexuality, which is the intrinsic virtue of sex and gender. In the mean time, the society prepared the programs, education policy, legislative bill, education centering on gender, and taught children and students to permeate with gender awareness step by step. The attitude of the Church and society toward sex education are too different, and the gap between the sex education programs, in quality and quantity, widened rapidly. While the competence of Catholic Church in Korean society has been downsized gradually, on the other hand, the power and influence of gender ideology have been expanded. And even few priests and religious took the lead in accepting gender, celebrating the mass, and progressing gender education within their belonging communities. Although the sex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from the 2nd Vatican Council, has not been started yet, but the gender education has been spreaded out gradually in the Church. The phased sex education that the Church emphasized, which is based on interdisciplinary combined contents, is already too late. The reason is the gender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is moving to growth expansion over the trial and error, the Church even did not progress the proper sex education. Gender is already over the dimension of issue and dispute, became to be consciousness raising. The moment of getting late should be the start for phased sex education policy.

      • 인공유산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과 제언 - 인공유산 반대 선언문을 중심으로 -

        유성현 인천가톨릭대학교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3

        󰡔인공유산 반대 선언문󰡕(Quaestio de Abortu)은 1974년에 발표된 교황청 신 앙교리성 훈령이다. 이 선언문은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인공유산과 그 법적 자유화의 문제는 거의 모든 곳에서 격렬한 논쟁의 주제가 되어 왔다. 그것이 인간의 생명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에 이 논쟁은 그처럼 중대한 것이다. 인간의 생명은 근본적인 가치이며 보호받고 성장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 훈령의 첫 머리는 낙태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우려이며 인공유산과 더불어 만연된 낙태의 법적 자유화 요구에 대한 우려와 동시에 태아-배아의 ‘인간성’과 그 ‘생명’의 존엄성과 가치 그리고 인간학적 지위와 권리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70년대의 이러한 교회의 우려와 당부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사회에서 드러나는 낙태의 실제 모습을 고려하면, 예언자적 태도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문헌의 가름은 명료하다. 여성의 ‘자기 결정권’은 태아의 ‘생명권’에 우선할 수 없다. 인공유산은 곧 살인이며, 우생학적으로 생명의 여러 단계에 따른 어떠한 차별도 다른 차별과 마찬가지로 결코 정당화할 수 없다(12).배아는 인격적 인 간이며 수정부터 한 인간의 생명이 시작된다. 나아가 이 문헌은 비판으로 끝나 지 않는다. 문헌은 특별히 ‘역할’을 강조한다. 법의 역할, 의료의 역할, 가정과 미혼모를 위한 원조, 자녀 수당, 사생아의 법적 지위와 입양을 위한 타당한 주 선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 정책(23)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회가 할 수 있는 구체 적으로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여전히 많은 나라에서 낙태가 합법화되고 있고, 어떠한 조건 하에서는 합법 적으로 태아의 생명을 없앨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자기 결정권’으로 써 태아를 죽일 수 있는 권리는 그러나 살아있는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권 리일 뿐이며, 아직 태어나지 않은 사람들의 ‘생명권’과 그들의 ‘존재’ 그 자체를 외면하고 그들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차별적 권리이며 비양심적 권리 행사 일 뿐이다. ‘인간이 될 사람은 이미 인간이다.’(13)라는 존재론적 사실 때문에 배아의 부정은 곧 인간에 대한 본질적 부정이며, 자신에 대한 부정과 다르지 않다. 이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는 한 가지는 현실을 바라보는 교회의 본질적이고 객관적 인식과 일관된 가르침은 모든 이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이성적 당 위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 당위성은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는 그들이 정 직과 진실 속에 있는 양심에 한결같이 충실하도록(24) 도울 것이며, 더 많은 비 그리스도인에게는 그들이 인격적 주체로서, 자신을 반성하고, 배아-태아의 생 명을 보호하기 위한 자기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임(8)을 자각하 게 할 것이다. Dichiarazione sull’aborto procurato(Quaestio de Abortu) è il documento pubblicato dalla Congregazione per la Dottrina della Fede nel 1974. La prima voce di questa dichiarazione è: Il problema dell’aborto procurato e della sua eventuale liberalizzaione legale è diventato, un po’ dappertutto, tema di discussioni appassionate. Questi dibattiti sarebbero meno gravi, se non si trattasse della vita umana, valore primordiale che è necessario proteggere e promuovere(n.1). L’inizio di questa dichiarazione esprime la preoccupazione della Chiesa Cattolica riguardo alla serietà del problema dell’aborto procurato e alla richiesta della libertà legale che dà diritto all’aborto procurato. Questa dichiarazione mette anche in evidenza l’importanza della tutela della libertà dell’‘embrione-feto’ e del suo diritto in relazione alla sua umanità, dignità, allo status morale e al valore della sua vita. Se si guardano i dati statistici sull’aborto procurato nella nostra società, si può comprendere come, nella dichiarazione, questa preoccupazione e insegnamento della Chiesa Cattolica negli anni ’70 siano stati profetici per oggi. Le parole di questa dichiazazione sono chiare: (1) l’autodeterminazione della donna non può avere la precedenza sul diritto alla vita del feto, (2) l’aborto procurato è un omicidio, (3) in eugenetica, una discriminazione fondata sui diversi periodi della vita non è giustificata più di qualsiasi altra(n.12), (4) L’embrione è la persona umana e la sua vita inizia fin dalla fecondazione. Inoltre questa dichiarazione in particolare evidenzia il nostro compito pratico: la funzione della legge, il contributo del medico e una politica positiva per sussidi alle famiglie ed alle madri nubili, aiuti destinati ai bambini, statuto per i figli naturali e conveniente regolazione dell’adozione(n.23). E infine questa dichiarazione propone il possibile comportamento che la Chiesa Cattolica può adottare positivamente nella società. Come sempre in molte nazioni l’aborto procurato viene legalizzato e viene ammesso il diritto di rimuovere la vita del feto sotto qualsiasi condizione. In quanto ‘auto-determinazione’ il diritto che può uccidere il feto è il diritto solo per coloro che possono esercitare questo diritto. Il diritto all’aborto, quindi, è soltanto il diritto discriminatorio e l’atteggiamento senza coscienza che nega il diritto alla vita della persona che non è ancora nata e la sua esistenza stessa. A causa del fatto essenziale che è già un uomo colui che lo sarà(13), la negazione dello status personale dell’embrione è così quella della persona umana e non è diversa dalla negazione di se stesso. Una cosa che si può evincere da questa dichiarazione è che l’insegnamento coerente della Chiesa Cattolica e le sue considerazioni oggettive possono costituire un criterio razionale per tutti, non solo per i cattolici. Questo criterio razionale può aiutare le persone di oggi, affinché abbiano la costante fedeltà alla cosicenza mantenuta nella rettitudine e nella verità. Loro, in quanto soggetto personale, riflettono su se stessi attraverso l’insegnamento della Chiesa Cattolica sull’aborto, decidono dei loro atti per proteggere la vita dell’embrione e del fe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