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가차량 통행에 대한 교량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허가차량 분류 체계 개발

        유상선(Sang Seon Yu),김경현(Kyunghyun Kim),백인열(Inyeol Paik),김지현(Ji Hy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이 연구에서는 분리불가능한 허가차량의 통행에 대한 교량의 안전성 평가 체계를 정립하여 제안하였다. 대상으로 하는 허가차량의 하중효과와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의 설계차량하중의 계수하중효과를 비교하여, 허가차량의 체계를 일상허가와 두 개의 특별허가로 분류하였다. 일상허가 및 특별허가 1에서는 일반차량과 동시 통행하도록 제안하였으며, 특별허가 2에서는 허가차량이 단독 통행하도록 제안하였다. 허가차량의 전후에 동시 통행하는 일반차량의 연행을 고려하기 위하여 도로교설계기준의 표준차로하중을 이용하여 허가 하중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허가 하중 모형을 적용하여 공용중인 프리스트레스트빔교 및 강박스교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도로교설계기준의 하중 · 저항계수를 이용하여 허가하중 및 설계차량하중의 내하율 계산을 수행하였다. 교량 거더의 휨 및 전단에 대한 내하율 검토 결과 모든 차량하중의 내하율이 크게 계산되어 통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허가하중 및 설계차량하중의 휨 및 전단에 대한 교량의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여 신뢰도관점에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로교설계기준의 하중 · 저항계수를 이용하여 허가하중에 대한 최소요구강도를 계산하였으며, 최소요구강도의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소 요구강도의 신뢰도해석 결과 대부분의 허가차량에 대하여 도로교설계기준의 목표신뢰도지수를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a bridge evaluation system for indivisible permit vehicles such as hydraulic cranes. The permit loads for the bridge evaluation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routine permit loads, special permit 1 loads, and special permit 2 loads. Routine permit and special permit 1 vehicles are allowed to cross a bridge with normal traffic. For these two permits, the standard lane model in the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was adopted to consider normal traffic in the same lane. Special permit 2 vehicles are assumed to cross a bridge without other traffic. Structural analyses of two prestressed-beam bridges and two steel box girder bridges were conducted for the proposed permit loads. The rating factors of the four bridges for all permit loads were calculated as sufficiently large values for the moment and shear force so that crossing the bridges can be permitted. A reliability assessment of the bridge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iability levels for the permit vehic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level of the minimum required strength obtained by the load-resistance factors yields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of the design code for the permit vehicles.

      • KCI등재

        제한 중량을 초과하는 기중기 차량 통행에 대한 콘크리트 교량의 안전성 평가

        이성재 ( Sung-jae Lee ),유상선 ( Sang Seon Yu ),박영환 ( Younghwan Park ),백인열 ( Inyeol Pai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4 No.6

        제한 중량을 초과하는 분리 불가능한 기중기 차량의 통행에 대한 교량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합리적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도입된 신뢰도기반 도로교설계기준 한계상태설계법 개발에 적용된 동일한 방법을 기중기 차량 활하중계수 보정에 적용한다. 콘크리트 교량을 대상으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기존 설계기준에 의한 소요강도와 현행 설계기준 및 AASHTO LRFD에 의한 소요강도를 비교하고 실교량 단면의 설계강도를 비교하였다. 비계수 활하중 효과를 비교하면, 기중기 활하중이 현행 설계기준의 활하중과 기존 설계기준의 활하중보다 더 컸다. 보정된 활하중계수를 적용한 소요강도를 비교하면, 기존 설계기준의 소요강도가 가장 크고 기중기 활하중 효과는 현행설계기준의 소요강도와 비슷하다. 기중기 통행 후보 노선 상의 실교량에 대한 안전성 평가 결과는 모든 교량에 대하여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목표신뢰도지수와 동일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실교량 강도는 기중기 통행에 필요한 소요강도보다 커서 대상 기중기 통행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된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tional method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bridges for the passage of inseparable crane vehicles exceeding the limit weight. In this study, the same method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cently introduced reliability-based highway bridge design code - limit state design method is applied to the calibration of the live load factor for the crane vehicle.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ncrete bridge and the required strengths of the previous design code, the current design code and AASHTO LRFD were compared. When comparing the unfactored live load effect, the live load of the cran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urrent and previous design code. When comparing the required strength by applying the calibrated live load factor, the previous design code demands the largest strength and the current design code and the crane live load effect yields similar value. The results of safety evaluation of the actual bridges on the candidate route for the crane passage secured the same reliability as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required by the design code and the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ctual bridge is calculated greater than the required strength for the passage of the crane, which confirms the safety for the passage of the cra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