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동요 상실에 따른 소리꾼의 역할 변화

        유명희(Yoo, Myeong-Heui)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4 民俗硏究 Vol.0 No.28

        민요의 기능 중 하나는 정서를 순화하는 것이다. 소리를 하면서 가슴에 응어리진 속상함이나 혹은 즐거운 신명을 모두 풀어낸다. 소리가 주는 미학이다. 어떤 소리꾼이 어떤 소리를 잘하는지는 그 소리꾼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글에서는 소리꾼의 생애와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여 소리꾼 유형에 대표적으로 두 제보자를 설정하여 그들의 삶을 비교·대조하였다. 한명은 어릴 때 들었던 소리가 좋아서 음반과 라디오를 들으며 연습하고 삶의 어려운 과정들을 이겨내기 위해 갈고 닦은 소리꾼이디. 다른 한 명은 집안대대로 소리를 잘하는 집안으로 어려서부터 농악대에서 무동을 하며 잘하는 소리를 농사를 지으며 연마한 소리꾼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집단노동요의 현장이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을을 대표하는 공동노동의 현장에서 소리를 하는 공적소리꾼도 사라지고 있다. 그들이 소리를 할 현장은 이미 사라지고 없다. 다만 그 자리를 노동현장과 상관없이 소리 자체를 즐기는 소리꾼들이 지역소리의 대표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을 하며 부르는 노동요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경기민요를 비롯한 외지 소리가 차지하고 있다. 외지에서 들어온 소리를 부르는 이들도 노동현장과는 거리가 먼 소리꾼들이다. 그들은 축제의 현장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회 등으로 함께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노동요가 사라진 사회에서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소리꾼의 위상이 마을의 공동노동을 담당하는 사람에서 지역의 민속문화를 전달하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One of the functions of folk songs is to refine emotion. People release stress and they get excited through songs. This is the very role of songs. What songs a singer sings well depends on the life of the singer. This study deals with the interrelation between singers and their life by comparing the life of two singers. One is a singer who practiced singing after listening to records and radio when a child and tried to get over difficulties in his life through songs. The other one is a singer who was born into a singing family of pedigree, sang as a boy in nongak and has devoted his life to singing. Labor songs disappeared in the modern society. This results in losing of public singers in a collective field in a village. Therefore there is no open place for them to sing any more. Instead, the singers establish themselves as the representatives of local folk songs, enjoying the songs themselves regardless of working farm. Labor songs are replaced with Gyeonggi ballad sung by singers who are not related with working farm. They are working as members of the society of folk song. This is an expected phenomenon in the modern society. The role of singers has changed from a person in charge of farming to one who passes down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 KCI등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유명희(Yoo, Myeong-Heui)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1 No.-

        홍천 지역은 동서로 긴 장방형 모양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면적이 큰 군이다. 지리적으로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심에 있으므로 강원도 내에서 여러 문화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민요는 지역성과 민중성을 담보하여 다른 어떠한 장르보다 지역 간의 변별력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홍천 지역의 자연, 인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민요의 존재 양상이 산간 지역과 들 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글에서는 홍천 지역과 주변 지역의 민요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하여 홍천 지역 민요의 특징과 분포 양상을 살핀 후 먼저 산간 지역과 주변 지역의 민요 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홍천 지역과 주변 지역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았다. 〈논매는소리〉는 지역 구분의 지표가 되는 민요이기 때문이다.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는 〈방아소리〉, 〈아라리〉 등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논농사에서 일조량과 물조절은 수확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또한 홍천군 내면과 같이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는 물의 온도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해발 고도가 높을수록 서리와 추위가 일찍 오고 늦게 사라지기 때문에 냉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연지리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홍천 산간 지역 〈논매는소리〉의 존재 여부가 결정되었다. 또한 홍천 산간 지역 주변지역의 〈논매는소리〉 분포 양상을 함께 고려할 때, 각 마을들은 가장 인접한 곳의 소리에 영향을 받거나 생활권을 함께한 지역의 소리에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Hong Cheon, one of the largest guns of being shaped rectangles, runs east and west. Geographically, Hong Cheon is in the center of Gangwon-do and of several cultural areas as well. Thus traditional folk songs show different peculiarities between regions because those songs includ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life. The aspect of folk songs in Hong Cheon is divided into those of mountain area and field area according to human geography. It is meaningful to divide regions of folk songs by investigating the aspect of regional influences between Hong Cheon and neighboring areas. By analyzing the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this paper deals with the influences to have on Hong Cheon and neighboring areas. This song can be a landmark of the regions. The 〈Nonmaeneunsori〉(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n Hong Cheon is represented into 〈Bang-a sori〉 and 〈Arari〉. The amount of sunlight and w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good harvest in rice farming.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sunlight, the temperature of water is critical in Naemyun located at a high altitude because water temp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an elevation. Considering the songs of neighboring areas, 〈Nonmaeneunsori〉 in the mountain region of Hong Cheon is obvious that villages shared their songs one another and had been heavily influenced by nearby areas. It is significant to explai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onmaeneun-sori〉 and modes of farming by sea level even though data for investigation is insufficient.

      • KCI등재

        기획논문-주제 : 지역 민속연희와 공연문화유산 ; 아리랑 공연 단체의 성격과 민요 전승의 방향

        유명희 ( Myeong Heui Yo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아리랑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민요로서 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 민요 중 후렴구에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가 들어가는 노래를 모두 포함하였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이후 아리랑에 관심이 다양한 방향으로 번져 가고 있다. 특히 아리랑을 주제로 하는 공연이 개최되었는데 아리랑의 다양한 층위를 잘 보여주는 무대들이었다. 아리랑 공연의 단체들은 대개 보존회라는 조직이 참여하는데 단체의 성격에 따라 공식적인 무형문화재 보존회, 문화재는 아니지만 지역의 향토민요보존회, 지역의 향토민요를 부르는 전문소리꾼 중심의 보존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아리랑 공연을 살펴보면 지역의 자생소리인 향토민요를 전문소리꾼이 공연에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지역의 자생소리가 있고 지역의 향토민요보존회팀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상황은 계속 되었다. 전문소리꾼이 공연을 주최한 경우에는 더 심하였다. 아리랑은 층위가 다양한 소리이다. 향토민요 아리랑은 기층민의 정서와 삶이 녹아 있고 그것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공연단체는 향토민요보존회이다. 공동체사회에 대한 회복을 민요가 견인할 수 있도록 향토민요를 부르고 전승하는 사람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나아가 향토민요를 지키는 방법, 그러면서 향토민요소리꾼과 전문소리꾼의 조화로운 전승에 대한 길도 찾아야 할 것이다. Arirang is the most popular folksong in Korea which was designated as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n December 5, 2012. Its application for UNESCO listing includes all versions of Arirang of ending with the words "Arirang, Arirang, Arariyo" in South Korea. After being designated as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rirang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nd its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enhanced continuously as well. Many Arirang performances, in particular, has been holding nationwideArirang which represents our ethnic sentiment shows diverse forms and contents. The characters of the performance teams are various as the layers of Arirang are also different. The team is usually divided into two teams, local folksong team and a professional team. Problem I takes place when local folksongs are performed by Korean classical folk music team. Local folksongs contain sentiment and life of normal people. Therefore, local folksong teams should get onto the stage and sing local arirang. If they are given many chances to perform they can contribute to restore community order in rural area. Arirang is a song of life itself and gives energy to get over hardships in life. Even though most of the folksongs are not handed down from prior generations, it is important for local folksongs to be performed on the stage as they are the sources of the ordinary people``s life. Local Arirang should keep their root strong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and serve to leading community life and its villager``s happiness.

      • 홍천 지역 <소모는 소리>의 분류와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유명희 ( Yoo Myeong-heui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6 No.-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간에 동서로 긴 장방형의 모양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로 산간지역과 들지역의 특징을 통해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민요권역을 나눌 수 있다. <소모는소리>는 강원 지역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강원 지역의 대표적 민요 중 하나이다. 강원 지역은 한 마리 소로 끄는 ‘호리’도 있지만 두 마리의 소가 쟁기를 끄는 ‘겨리’를 이용한 경우가 많으며 이는 타도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강원 지역의 특징이다. <소모는소리>는 메나리토리의 전형적인 동부민요의 특성을 가지므로 곡조로는 다양한 <소모는소리>의 종류를 구분하기 어렵다. 노랫말 속에 소를 부리는 상황을 나타내는 바우, 방뎅이, 덤불, 마루 등의 핵심어를 통해서 구분할 수 있다. 홍천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소모는소리>는 2021년 ‘겨리농경문화’로 강원도 제33호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앞으로 생활 속의 전승과 소리꾼의 역량 걍화 등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적 가치를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이끌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The Hongcheon area is located in the middle of Gangwon-do in a rectangular shape from east to west, so due to its geopolitical location, the folk song area can be divid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ous area and the field area. “Somoneun-Sor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the Gangwon region and is a folk song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gwon region well. In the Gangwon area, there is also a “hori” drawn by one cow, but two cows often used a “kyeori” drawn by a plow,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Gangwon area,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provinces. Since “Somoneun-Sori”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Eastern folk song of Menaritori,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Somoneun-Sori” with the tune. This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key words such as “bau(rock)”, “bangdaengi(hip)”, “deomble(bushes)”, and “maru(floor)”, which indicate the situation of making cattle in the lyrics. “Somoneun-Sori”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Hongcheon area, was designated as Gangwon-do's 33r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s “Gyeori Agricultural Culture” in 2021.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be led in a sustainable direction through transmission in life and the competence of the si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