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삼차원 와선의 비정상 거동에 의한 원거리 음압의 수치해석

        유기완,이덕주,Ryu, Ki-Wahn,Lee, Duck-Joo 대한기계학회 1997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1 No.6

        Far field acoustic pressure from the evolution and interaction of three-dimensional vortex filament is calculated numerically. A vortex ring is a typical example of the three-dimensional vortex filament. An elliptic vortex ring emits a strong sound signal due to significant distortion and stretching of the vortec filament. The far field acoustic pressure is linearly dependent on the third time derivatives of the vortex positions. A numerical scheme of high resolution is employed to describe in detail the elliptic vortex ring motions which ar highly nonlinear. Descretized vortex filaments are interpolated by using a parametric blending function to remove a possible numerical instability. The distorted vortex filament, owing to the self-induced and the induced velocity from the other vortex segments, is redistributed at each time step.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scheme are validated by comparisons with the analytic solution of circular vortex ring interaction.

      • KCI등재
      • KCI등재

        항공기용 프로펠러에서의 두께 및 하중소음 예측

        유기완(Ki-Wahn Ryu) 한국항공우주학회 200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프로펠러 항공기에 사용 중인 둥근 팁 형상을 갖는 Hartzell 사 제작 프로펠러에 대해서 두께소음과 하중소음에 대한 예측을 시도하였다. 음향장 해석에 앞서서 프로펠러 표면상에 존재하는 압력분포는 자유후류 패널 방법과 비정상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음향장 해석을 위해서는 FW-H의 음향상사 법칙을 적용하였다. 주어진 프로펠러 형상과 운전 조건에 대한 소음 예측으로부터 두께소음은 프로펠러 회전면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이 서로 비슷한 면대칭 분포를 갖는 반면에, 하중소음은 프로펠러 후방의 소음이 전방에 비해서 더 크게 나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반적인 운전조건에서는 전반적으로 하중소음이 두께소음보다 지배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thickness and loading noise of the round-tip shaped Hartzell propeller currently used in the general aviation aircraft. Before implementing the noise analysis,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propeller was obtained by using the free wake panel method and unsteady Bernoulli's equation. The noise signal at observer posi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W-H equation. The noise prediction results for the propeller indicates that the thickness noise has s symmetric directivity pattern with respect to the tip path plane, while the noise due to loading shows higher noise directivity toward downstream than the upstream direction from the rotor plane. The loading noise is dominant rather than the thickness noise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

      • KCI등재

        피치각 변화에 따른 헬리콥터 로터에서의 두께 및 하중소음 방사

        유기완(Ki-Wahn Ryu) 한국항공우주학회 200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5 No.10

        정지비행시의 헬리콥터 로터 모형의 블레이드의 피치각 변화가 소음방사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공력 자료는 비정상 패널법과 경험후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0°에서 9°까지 등간격으로 1.5° 씩 피치각을 증가시키면서 블레이드 표면상의 공력 하중 분포를 얻어내었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낸 두께 소음은 피치각에 무관한 결과를 보였으나, 하중소음은 피치각이 1.5° 씩 증가할 때 마다 대략 3~4㏈A정도로 소음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정도의 증가분은 소음이 더 커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라 할 수 있다. 또한 하중소음의 방향성 결과로부터 블레이드의 윗면 보다는 아랫면에서의 소음의 세기가 더 크게 나옴을 알 수 있었다. Noises from the helicopter rotor model are calculated numerically at various pitch angles. The aerodynamic data are calculated by using prescribed wake model and unsteady panel method. The distribution of aerodynamic loads on the blade surface are obtained from 0° to 9° pitch angles with equiangular increments of 1.5°. Although thickness noise is not related to the change of pitch angles, loading noise level increases about 3~4㏈A every 1.5° increment of pitch angle. The additive noise level shows sufficient value to perceive the loudness. From the result of directivity pattern the sound level at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disc plane is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region.

      • KCI등재

        요 상태에서 NREL Phase VI 로터의 허브 중심 하중 예측

        유기완(Ki-Wahn Ryu) 한국항공우주학회 201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7 No.12

        본 연구에서는 요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의 수평축 풍력터빈 로터에 작용하는 시간에 따른 6분력 하중변동을 로터 허브에 중심을 둔 회전 및 비회전 좌표계에 대해서 수치해석 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한 모형은 설계 사양이 상세히 공개된 20 kW급의 NREL Phase VI 로터로 선택하였으며, 설계풍속 구간에 대해 요 및 전도 모멘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석을 위한 방법은 비정상 블레이드 요소이론을 적용하였으며, 그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6분력 하중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는 NREL의 FAST 프로그램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을 완료하였다. 하중 해석 결과를 토대로 요 작동 상태인 수평축 풍력터빈 시스템의 요 및 전도 모멘트는 요 부속 장치의 사양 결정 및 지지부위의 기초 설계를 위해 중요한 기본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ime series data of 6-component loads were computed for a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rotor in yawed operating conditions with both rotating and non-rotating coordinate systems fixed at a center of a rotor hub. In this study, a well-known 20 kW class of the NREL Phase VI rotor was used for a model wind turbine, and this paper focuses on the yaw moments and over-turning moments for the operating wind speed range between 6 to 25 m/s. Unsteady blade element momentum theorem was adopted to get the aerodynamic loads acting on the wind turbine rotor. Computed 6-component loads using the developed UBEM code were compared with those using the NREL FAST program. From the computed results, both yaw and over-turning moments would be basic inputs to determine not only the specification of yawing mechanism but also the design condition of found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축소형 UH-1H 로터에서의 광역소음과 이산소음의 비교

        유기완(Ki-Wahn Ryu) 한국항공우주학회 200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UH-1H 헬리콥터의 축소 로터에 대한 두께소음과 하중소음, 그리고 와류흘림에 의한 광역소음을 각각 수치계산을 통해 얻어내고, 그 크기를 비교하였다. 로터의 후류형상은 Kocurek과 Tangler의 지정후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팁 마하수 M<SUB>T</SUB>의 범위는 0.2, 0.4, 0.8로 나누어서 유동장 계산과 그에 따른 소음해석을 시도하였다. 팁 마흐수 M<SUB>T</SUB> = 0.8에서 와류 흘림에 의한 광역 소음은 가청주파수 대역 및 A-가중함수를 고려하였을 때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특성을 갖는 두께소음이나 하중소음에 비해 작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역소음은 가청주파수를 벗어난 초음파 영역에서 대부분의 음압을 방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SUB>T</SUB>를 0.4 이하로 하였을 때에는 광역소음이 저주파수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이산소음에 비해 더 소음레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속 회전하는 헬리콥터 로터의 경우에는 광역소음의 고려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The thickness, loading, and broadband noise generated from the trailing edge of the UH-1H main rotor are numerically compared each other. The Kocureck and Tangier's prescribed wake model is adopted to represent the wake geometry during the hovering motion. Three tip Mach numbers of M<SUB>T</SUB> = 0.2, 0.4, and 0.8, are sele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fferent tip Mach numbers. At M<SUB>T</SUB> = 0.8, in considering the A-weighting and audible frequency band, the random noise is smaller than the tonal noises such as the thickness and the loading noise which have the low frequency characteristics. Especially most of the random noise frequency spread on the ultrasound region. On the other hand, below M<SUB>T</SUB> = 0.4, the band of random noise moves to the audible frequency region, and the random noise becomes larger than the tonal noise. It turns out that the random noise analysis of the rotor should be necessary at low speed operating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