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연구

        원주연(Won Juyo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영어전용강의의 수업 및 교수자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개선요구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 였고, 심층면담을 통해 보다 심도 있는 의견을 수렴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 자료는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영어전용강의 수강 사유로 필수 교과 및 절대평가를 들었고, 수업 내용의 깊이, 충실성, 수업 진도, 방식 등에 있어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영어전용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의 열정, 효과적 영어 사용, 상호작용, 질문 유도 및 피드백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일부의 한국어 혼용 및 일방적 수업진행 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영어전용강의 수강을 통해 영어 활용 기회가 증가했고, 이를 통해 영어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으로는 한국어 사용 제한, 영어전용강의 개설 수 증가, 상호작용 증대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 대학에서 영어전용강의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eign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mediated instruction in Korea. One hundred eighty three foreign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inquiring how they perceived the classes, the materials use, the professors, and asking for improvement suggestion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llect more detailed qualitative data about English-mediated classes from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chose to take English-mediated classes because they were obligatory and they followed the criterion-referenced type evaluation. The participating foreign students expressed various opinions about many aspects of the class including the depth and the quality. The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instructors’ passion, effective use of English, interactions, question elicitations, and feedback. Yet some instructors’ use of the Korean language with English and teacher-centered manners were recognized as negative side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English-mediated classes provided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and thus their English abilities improved. It was suggested that the use of Korean during the class be limited, the number of English-mediated classes increase, and more interactions with their professors happen. The results of the study cast some important implications.

      • KCI등재

        국내 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연구

        원주연(Won, Juyoen),성귀복(Seong, Guibok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한국에서 학사학위 과정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 중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학업적 저성취 원인,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인식, 극복 노력 및 지원 요구사항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학사경고를 경험한 외국인 유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저성취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원인 인식,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지원 요구사항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수집한 양적 연구 자료는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심층 면담을 거쳐 수집한 자료는 전사하여 질적 연구방법론 중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외국인들은 학업적응 영역, 학업적 영역, 개인내적 영역, 환경적 영역의 순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원인의 인식에는 14가지의 하위 요인과 인지적, 정의적, 외부적 요인 등 3가지의 상위요인이 추출되었다. 첫째, 인지적 요인에는 내용 이해와 학습 참여의 어려움, 학습 계획 설정 및 시간 관리의 미비, 과제 수행 및 시험 준비 미숙, 출결 관리 미비 등이 포함되었고, 정의적 요인은낮은 학습 동기 및 학사경고 극복 의지, 문제해결에 대한 소극적 태도,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들에 대한 감정적 요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적 요인에는 수업 난이도 급증, 정보 부족, 교육과정의 차이 등의 요소가 포함되었다. 또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학사경고 극복을 위하여 기울인 여러 가지 다면적인 노력과, 개선을 위하여 제안한 요구사항들도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점차 늘어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적 어려움에 대한 다각적 이해와 이를 통한 실질적지원 방향 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academic probation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undergraduate programs at a Korean university. It includes causes of their academic underachievment, their perceptions of the experience, their efforts to overcome it, and their requests for help. A survey and extensive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0 foreign students.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auses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underachievement lied in the order of their academic maladjustment, academic features, individuals’ internal reasons, and environmental reason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found 3 major components and 14 sub-components about how the foreign students perceived their academic probation experience. The cognitive component included lack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poor management of study plans and time, and poor performance in assignments and exam preparation. The affective component included low motivation, passive attitude to problems, and negative emotions towards Korean professors and peers. The external component included increased difficulty of class, lack of information, and curriculum differences.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lso identified multifaceted efforts that the students made to overcome underachievement and their requests for help.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Won, Juyo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과 그들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방법 국내의 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입생 중 404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전체 변인 간, 변인들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종속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네 영역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과도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 신입생들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고 대학 생활에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진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방안을 마련하고, 신입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djustment to colleg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Methods Four hundred and four university freshmen taking general courses at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ests for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ere administ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area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effect of the factors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was 29.7%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academic self-efficacy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that can explain 27.2%.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mote our understanding of university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provide databases for related future research, and ca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were found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 KCI등재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신입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Won, Juyoen),성귀복(Seong, Guibok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대학 예비 신입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 및 인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 한 4년제 대학 수시합격자인 예비 대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예비 신입생들은 인문학 특강, 학교 생활 적응 특강 및 멘토링, 의사소통영어, 문제해결형 컴퓨팅적 사고 및 SW 코딩 수업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연구 참여자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양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학생들의 보다 심층적인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서술형으로 기술한 결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여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사전 및 사후 검사 응답을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검사의 평균은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문제해결능력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 영역별 결과에서는 의사소통능력 검사의 자기제시능력과 목표설정능력에서, 문제해결능력 검사의 대안개발능력과 계획실행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 후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와 프로그램 별 만족도를 묻는 설문에서는 모든 문항에서 높은 만족도가 확인되었다. 결과보고서의 질적 분석 결과, 의사소통능력 영역에서 상대방에 대한 배려심이 생겨났고,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의사소통 방식에 관심과 흥미가 생겨났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문제해결능력 영역에서는 문제를 바라보는 객관적 시각이 생성되고, 그로 인해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다른 학생들과의 공동 작업에 흥미를 느꼈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들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re-college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ir perceptions toward the program. Fif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ducted for five days in total. The pre-college program consisted of communicative English classe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software coding classes based on problem-solving activities, special lectures on humanities and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a mentoring program. During the program, students were engaged in small group activities.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administered on th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Paired samples t-test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ents’ overall communicative competence. Two of the five subcategories i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survey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their final report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program provided them with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they felt interested and confident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that their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improv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pedag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Won, Juyoen),성귀복(Seong, Guibok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감 능력, 그릿(grit), 대학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그들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국내의 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네 가지 영역에 대한 검사를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그릿 및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 그릿과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그릿과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의 전체가 심리적 안녕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44.0%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대학생활적응이 33.8%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대학생활적응과 그릿 등의 유효 요인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psychological well-being, their correlations, and the effects of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on th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205 university students taking general courses at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ests were administ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mpathy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their grit and adjustment to college followed, and their well-being score was the low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found that adjustment to colle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grit and adjustment to college, and gri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effect of all of the three factors altogether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44.0%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adjustment to college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that can explain 33.8%. The results of the study promote our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dispositional empathy, grit, adjustment to colle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rovide baseline data fo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nd ca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factors like adjustment to college and grit that were found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