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상학적, 농업학적,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가뭄 분석

        원광재,정은성,Won, Kwang Jai,Chung, Eun-Sung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6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기간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가뭄을 분석하였다. 가뭄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사용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로는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I(Standar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변수로 하는 SPEI(Standar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모의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학적 가뭄지수인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적용하였다. 산정 결과, 극한 및 평균 가뭄의 평균에서 2015년과 2014년이 가장 가뭄에 취약함이 확인되었다. 빈도분석에 따른 가뭄의 변동성은 서로 다른 형태를 보였다. 또한 상관분석에서 극한 가뭄 및 평균 가뭄은 PDSI를 제외한 SPI, SPEI, SDI 가뭄지수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각 가뭄지수는 서로 다른 극한가뭄의 시기 및 강도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분석시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ssessed drought of Cheongmicheon watershed from 1985 to 2015 according to duration. In order to quantify drought, we use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based on precipitation and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SPEI) based o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were applied as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and Stream Drought Index(SDI) based on simulation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model were applied as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As a result, in case average of extreme and averaged drought, 2014 and 2015 have the most vulnerable in all drought indices. Variation of drought showed different trend with regard to analysis of frequency. Also, the extreme and averaged drought have high correlation between drought indices excluding between PDSIs. However, each drought index showed different occurrence year and severity of drought Therefore, drought indic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analysis drought.

      • KCI등재

        SPEI와 RDI를 이용한 한강유역 가뭄의 특징 분석

        원광재,정은성,이보람,성장현,Won, Kwang Jai,Chung, Eun-Sung,Lee, Bo-Ram,Sung, Jang Hyun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3

        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는 보편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심도를 정량화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RDI (Reconnaissance Drought Index)는 가뭄의 피해를 받고 있는 지역에 활용도가 높은 가뭄지수이지만 이를 이용한 국내 적용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hornthwatie, Hargreaves, Blaney-Criddle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와 RDI를 비교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한강 유역에 대한 가뭄 정량화 및 특징 비교를 위해 기상청 관할 16개 지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경우 최근 들어 급격히 극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는 지점들이 증가하였다. 두 가뭄지수 사이에 상관정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가뭄의 심도 및 극한가뭄의 발생 연도 사이에는 일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 심도와 발생 시기의 정량화를 위해 RDI 또한 활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considering evapotranspiration and precipitation is generally used to quantify the drought severity. Also, Reconnaissance Drought Index (RDI)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arid regions which is suffering severe droughts, but drought analysis in association with RDI has been the focus of few studies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wo meterological drought indices based o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using Thornthwaite, Hargreaves, and Blaney-Criddle evaportranspiration calculation methods. Meteorological data of sixteen weather stations which are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re used to quantify drought and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drought for the Han River Basin from 1992 to 2015. As a result, in case of Han River Basin, severe drought sharply increased in recent years. 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relatively high between the SPEIs and RDIs, the drought severity and year of severe drought are partially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RDI will be also measured to quantify severity and occurrence year of drought.

      • KCI등재

        합천지역 하천의 유역규모별 토지이용과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 분석

        이효범 ( Hyo-beom Lee ),이경훈 ( Kyoung-hoon Rhee ),원광재 ( Kwang-jai Won ),문병석 ( Byoung-seok Moo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합천군에 위치한 지방하천 가야천과 소하천 16개소에 대한 토지이용 특성과 하천별 수질변화를 검토하였다. 토지이용 및 수질에 대한 검토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 항목간 상관관계 분석과 토지이용 점유율에 따른 수질 항목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중소규모 하천의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질항목 간 상관도의 경우, 면적 100 ㎢ 이상인 지방하천 가야천 유역에서 +0.8 이상으로 높았던 반면, 소유역에서는 BOD5 기준의 COD 와 T-N 상관도를 제외하곤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토지 이용 점유율과 수질항목간 상관도의 경우, 유역규모가 100 ㎢ 이상인 지방하천 가야천 유역에서 논·밭 -0.9 이상, 그리고 시가지·임야 +0.8 이상으로 높았으며, 10 ㎢ 이하 소하천 유역에선 지역별로 가야천 유역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고 다양한 분포특성을 보여주었다. 소규모 하천의 경우, 오염원의 유입통제가 어렵고 산재한 비점오염원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보다 큰 규모 하천에 비해 오염의 희석효과가 낮아 외부요인 즉 토지이용 이외의 다양한 변수에 의한 수질변화 때문에, 다양한 상관관계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s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the change of water qualities about Gayacheon River and 16 small rivers located in Hapcheon. The purpose of the present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cision - making process of watershed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 sized rivers through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ies. Gayacheon River with a drainage area greater than 100 km<sup>2</sup> shows +0.8 for a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water qualities. On the other hand, the small rivers show the low correlation except for the T-N correlation based on BOD<sub>5</sub> and COD. Also, Gayacheon River represented as the large basin in the study show -0.9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ies, and the river basins for the medium size present more than +0.8 for the correlation. Small river basins with a drainage area smaller than 10 km<sup>2</sup> show the low correlation and differe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small basins to control water contamination of a non-point source and to dilute contaminated water derived from different conditions including the land use and the water quality change. These differences create the various cor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