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및 개인 특성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왕정원(Jung Won Wang),정찬기(Chan Gi Jung),심관용(Gwan Yong S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0 지방교육경영 Vol.23 No.1

        대학진학은 우리나라에서 신분상승의 수단으로 여겨져 높은 대학진학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학 입학정책은 민감한 국민적 관심사이며, 정부는 대학정책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어왔고 대학입시정책의 잦은 변화를 야기해왔다. 이러한 대학 입학전형의 변화는 대학들이 우수 인재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하고 있다. 우수 인재들을 확보한 대학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는 취업률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들이 대학 입학전형에 따라 우수인재를 확보하였을 때, 개인배경, 대학에서의 경험, 교수학습만족도, 대학지원제도 만족도 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시전형으로 들어온 학생보다 수능위주전형으로 들어온 학생이 취업해 있는 경우의 비율이 높았다. 교수학습만족도 특성에서는 교수진의 능력 및 열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서비스 부분에서는 학생에 대한 진로관련 상담 및 지원제도가 좋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평점의 경우 평점이 높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결과 값이 도출되었으나, 그 차이는 퍼센트로 나타났다. 개인특성 중 유의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취업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대학특성에서의 유의한 결과는 지방권 대학들이 수도권보다, 사립대학이 국·공립대학들에 비해 취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계열 별로는 인문계열에 비해 사회계열, 예체능계열, 의학계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llege admission is considered a means of raising one's status in Korea, so it has a high college entrance rate. The university admission policy has been a sensitive national concern, and the government has suffered continuous difficulties in university policy and has caused frequent changes in college admission policy. This change in college admission is causing universities to put a lot of effort into securing talented people. One of the indicators for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ies with outstanding talent is the employment rat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university on employment, such as college admission transfer, personal background, experience in university, satisfaction with teach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application system. As a result, students who entered the college entrance exam were 0.657 times lower than those who entered the college entrance exam at a significant level of 0.01 in terms of the impact of employment. Among the variables for teaching satisfaction, the faculty's ability and enthusiasm were found to be 0.919 times lower than those for those who did not at a significant level of 0.05 level. Among college application system satisfaction, career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s were found to be 1.217 times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those who did not have the support system at a significant level of 0.01 level. Among college environment satisfaction, education support facilities are 0.926 times less likely to get a job than those that are not at a significant level. Students with high graduation grades were 0.995 times less likely to get a job at a significant level of 0.01 than those who di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shown that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adverse the chances of getting a job.As a result of school location and university type, the local area was more likely to get a job than the metropolitan area. Private universities are more likely to get jobs than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In the major category, the social and medical sectors were less likely to get a job than the humanities, while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higher.

      • KCI등재

        대학생 학업부진 및 극복 영향 요인 분석

        왕정원(Wang, Jung Won),이선숙(Lee, Sun Sook),이길재(Lee, Gil Jae)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7~9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생 학업부진과 극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전국단위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각 대학의 평점기준에 따라 평점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응답자들의 성적 백분율 점수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세 유형을 분류하였다: 대학 입학 후 지속적으로 20% 이상의 학점 백분위를 보인 집단(준거집단), 입학 후 1년 중 1회라도 20% 미만의 학점 백분위를 보인 집단(학업부진 집단), 20% 미만이었다가 다음 해에 이에서 벗어난 집단(학업부진 극복집단). 세 유형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환경 변인 등의 독립변인을 투입하여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변인에서 대학 입학 성적, 수강포기 및 철회경험,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태도, 대학생활 만족도가 학업부진 및 극복에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성별, 전공 만족도, 입학유형은 개인 요인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가정 요인은 생활수준과 학부모의 학력으로 두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환경 요인 중 대학생활 적응도는 학업부진 지속집단과 극복집단 모두에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대학소재지는 학업부진 지속집단에 유의하였 고, 대학 유형, 교우관계와 학과계열 및 학교유형은 학업부진 극복집단에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 외 환경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학생의 학업부진은 대학 졸업 이후 사회 생활에서의 성공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 제언을 하였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overcoming of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7th to 9th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In order to utilize national data, three following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respondents grade percentage scores by converting their ratings to 100 points according to each university s rating criteria: : a group that continuously showed a percentage of credits of 20% or more after entering college (the reference group), a group that showed a percentage of credits of less than 20% at least once a year after enrollment (the group with continuing underachie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the continuing group), a group with less than 20% credit at first, then escaped from it the following year (the group overcoming underachie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the overcoming group). So as to empirically analyze diverse variables affecting the three types of college students, multinomial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by introducing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llege entrance grades, experience of giving up and withdrawing classes, learning attitudes toward learn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underachievement and overcoming in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gender, major satisfaction, and admission type were not as significant compared with other individual variables. Second, both family variables of family’s standard of living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served as a significant factor for both the continuing group and the overcoming group of underachie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was significant for the continuing group, while the university type, companionship, department type, and university type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overcoming group. Other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the underachie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may affect their success in their social life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부모의 진로 기대와 자녀의 진로 결정의 일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선숙(Lee, Sun Sook),왕정원(Wang, Jung Won)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부모가 자녀의 진로에 대해 갖는 기대는 자녀의 진로 결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둘이 일치하느냐 불일치하느냐에 따라 상호간 관계와 자녀의 실제 진로에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모의 진로 기대가 자녀의 진로 결정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그리고 이러한 일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2005년에 중학교 1학년에 입학하여 2010년에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하고 대입이나 취업 등의 진로 선택 단계에 도달한 학생 6,908명과 동수의 학부모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반수 이상의 사례에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진로 기대와 자녀의 진로 결정이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학생과 관련한 변수 중에서 학생 성별과 학생 출생 순위, 학생진로활동참여의 세 가지 변수가 모두 종속변수인 일치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와 관련한 변수 중에서는 학부모 학력, 가계 월소득, 사교육 여부, 학부모 정서적 지원, 학부모 진학 활동참여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부모 성별과 학부모의 교육적 지원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학부모의 진학활동 참여, 학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자녀의 사교육 지원 등은 학생과 학부모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태도로서 보다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와 진학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있을 경우 이러한 일치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부모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진로를 지원하고 자녀의 선택에 수용과 격려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직접적인 교육적 개입보다 유의미한 방향으로 자녀의 진로 결정과의 일치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녀의 진로에 대한 지지와 격려와 같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Parents’ career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have close relations with the children’s career decision and there can b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mutual relationship and children’s actual care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for agreement between them.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o what extent parents’ career expectation agree with children’s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for agreement between them empirically. The respondents of 6,908 students who entered middle schools in 2005 and became the seniors in 2010 on their way to get ready for the stage of choosing their career such as college entrance or employment and the same number of their parents’ have been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parents’ career expectation and children’s career decision have appeared as agreed in more than half of the cases.;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l the three independent student variables of gender, birth order and involvement in career activities have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dependent variable, difference for agreement. As for the independent parent variables, educational level, monthly house income, involving children in private education, emotional support and involvement in career activities have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gender and educational support have not appeared significantly influential. Variables such as both of students and parents’ involvement in career activities, parents’ emotional support and involving children in private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more active intervention and attitude toward future career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and it can be analyzed to have more significant influence rel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