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과 의의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4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공동체성의 상실, 교육기회의 불평등 등으로 야기된 평생교육의 정체성 위기를 전통적인 ‘사회교육’의 개념과 이념에 대한 역사적인 재고찰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회교육 사상의 기초를 놓았던 덴마크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이 우리나라 사회교육의 기원과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쳐 왔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사회교육은 주로 기독교 계열의 단체에 의해 일제하 농촌운동의 지도자 양성교육과 각종 농업학교 설립을 통해 전개되었으며, 해방이후에도 배민수, 이찬갑, 김용기 등을 통해 다각도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전개된 그룬트비히 계승 사회교육은 실용에 앞선 정신적인 가치의 추구, 실무적 능력과 사회적 실천의 중요성 강조, 관념적인 공동체성을 초월한 지역공동체와의 구체적인 관계 형성, 비정부 민간조직 차원의 자립적 운영 모델 제시라는 측면에서 특별한 의의를 갖지만, 학습자 주체성에 대한 존중 미흡, 제도적 차원으로서의 승화 실패, 그룬트비히 계승 사회교육조직 사이의 연계 부족 등에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의의와 한계를 종합해 볼 때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사회교육의 전통은 현대 사회교육이 목적의 측면에서 개인의 정신적 성장과 실용적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고, 방법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내용의 측면에서 평민의 언어와 문화에 기초한 교육내용을 강화하며, 현장의 측면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실천 과제를 제시한다 In Korea, nowadays there are special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long education caused by the loss of spirit of community and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rough a historical re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and idea of social education. As one of such efforts,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how Grundtvig’s educational idea which formed the world and produced a good and profound effect on Korean social education from the initial stage have developed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al education. In Korea, social education based on Grundtvig’s educational idea developed largely by Christian organizations through the training of leaders for rural movements and the founding of agricultural school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have evolved in many areas by Mino-Soo Bae, Chan-Gap Lee, Yong-Gi Kim, and etc.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e history of Korean social education based on Grundtvig’s educational idea presents special strong points such as the pursing of mental culture in advance of utility, the presenting of a model of NGO’s independence, But, it also has some weak points such as the insufficiency of respecting learner’s subjectivity, the failure of sublimation to the level of national system, and the insufficiency of close cooperation with the similar organizations, Synthesizing all points, we can draw some tasks such as the combination of mental culture and utility, the emphasizing of learner’s subjectivity, the enriching of people’s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strengthening of local community-oriented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Korean social education.

      • KCI등재

        맥동연소기술을 적용한 산업용 복사관 버너시스템의 특성 평가

        오혁진(Hyuk Jin Oh),조한창(Han Chang Cho),조길원(Kil Won Cho)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5 No.5

        맥동연소기술을 적용한 산업용 복사관버너의 연소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규모 (120,000 ㎉/h) 산업용 복사관버너 설비를 사용하여 실험실 및 현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제철부생가스를 사용하는 산업용 복사관버너의 3 가지 종류를 하나의 W 형 복사관이 장착된 실험설비에서 실험하였다. W 형 복사관이 다수 사용되는 대형 설비를 이용하여 장기운영 실험을 실시하였다. 맥동연소기술을 적용한 기실험설비들을 대상으로 성능향상 및 배가스조절 측면에서 다양한 실험조건으로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맥동연소기술의 적용가능성 평가를 위해 NOx 저감 및 효율향상을 분석하였다. 맥동연소기술의 적용결과 에너지 절감, 복사관 수명 향상 및 생산성 향상 등이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고의 성능 및 배가스 조절을 얻기 위한 최적의 운전조건이 각 버너별로 결정되었다.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radiant tube (RT) burners with forced oscillating combustion technology are investigated using a real-scale (125,000 ㎉/h) industrial RT burner facility in both laboratory and field tests. Three different types of industrial RT burners using a by-product gas from the iron-and-steelmaking process are examined in a laboratory facility equipped with a W-type RT. During the field tests, an industrial RT burner is characterized in a large facility equipped with multiple RTs. Their performance and emission controls are investigated under diverse operating conditions. The feasibility of the forced oscillating combustion technology is evaluated by the extent of NOx reduction and the efficiency improvement. These improvements are able to save energy, extend the RT lifetime, and enhance productivity. The operating conditions that achieve the best performance and emission control for each RT burner are determined.

      • 다양한 산업용 열설비 대상 맥동연소 적용 통한 NOx 저감 및 에너지 절감 연구

        오혁진(Hyuk Jin Oh),조한창(Han Chang Cho)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9 No.11

        It is introduced about application results of an oscillating combustion technique in industrial fields. The technique is employed to reduce NOx emission and save fuel consumption. The oscillating system is designed relatively simple and economical, which consists of a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unit. The oscillating system is installed in direct heating facilities such as ladle preheaters and a reheating furnace. Each heating facility requires different oscillating conditions, of cours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oscillating combustion technique is very useful to reduce NOx emission and save fuel consumption in heating facilities. However, the results strongly depend on operation conditions and combustion loadings of facilities. The effects of oscillating combustion can be maximized in normal operation but reduced in unexpected operation or large turn down operation. Thus, an automatic control of oscillating conditions will be required to cover these unsteady operations in the future.

      • Armchair형 단일 벽 탄소 나노튜브의 유효 구조 물성치

        오혁진(Hyukjin Oh),이우식(Usik Lee)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11

        This paper proposes an energy-equivalence based continuum beam model to predict the effective structural properties for th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The proposed continuum modeling approach is applied to the armchair SWCNTs to compute their effective structural rigidities and mass inertia properties. It is found that the SWCNTs have quite large transverse shear rigidity, but with negligible structural coupling rigidities.

      • 맥동연소기술을 적용한 산업용 복사관 버너시스템의 특성 평가 : NO<SUB>x</SUB> 저감 및 성능 향상

        오혁진(Hyuk Jin Oh),조한창(Han Chang Cho),조길원(Kil Won Cho)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radiant tube (RT) burners applied forced oscillating combustion technology are studied using a real-scale (125,000 ㎉/h) industrial RT burner facility in both laboratory and field tests. Three different types of industrial RT burners using a by-product gas in iron-and-steelmaking process are examined in the laboratory facility equipped with a single W-type RT. During the field tests, an industrial RT burner is characterized in the large facility equipped with multiple single-type RTs. Their performance and emission controls are investigated in diverse operating conditions. The feasibility of the forced oscillating combustion technology is eventually evaluated by the degree of NO<SUB>x</SUB> reductions and efficiency improvement. These improvements are able to save the energy, extend the RT lifetime and enhance the productivity. The most favorable operating conditions for achieving the best performance and emission control are determined in both tests for each RT burner.

      • KCI등재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오혁진(Oh Hyuk-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현실적으로 그 의미가 다차원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학습공동체 개념을 일관성을 가진 다차원적인 구조로 정리하고 각 차원의 학습공동체에 가해지는 제약요인들을 분석하며, 이를 극복하고 우리 삶의 전 영역에 학습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원리를 학습공동체의 공통된 기본 원리에 비추어 제시하였다.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은 학문적인 면에서 학습공동체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안목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천적인 면에서 각 차원별 학습공동체 구현의 가능성과 제약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전 영역을 학습공동체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보다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현대사회에서 학습공동체는 학습동아리, 학습조직, 평생학습도시의 형태로 다차원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 차원의 학습공동체는 근본적으로 집단적인 학습을 통한 구성원의 성장과 공동체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을 추구하고 있음과 동시에 학습공동체를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용하려는 권력에 의해 왜곡된다. 현대사회의 각 영역에서 학습공동체가 보다 올바르게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공동체의 본질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각 차원별 제약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경계와 극복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tries to classify the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in multi-dimensional structure with a core principle, to analyse the constrains in each dimensions, and to present the common principles for realizing the value of learning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is considered as a ideal form of learning group which people pursue in contemporary learning society. But in reality, the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has being extended to multi-dimension, s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it. In addition, someone have doubts about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principle of learning community in more extended new dimension. In current times, the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is developing multi-dimensionally in the form of Iearning circle, Iearning organization and life long learning city or local learning community, and in reality each learning community has its own particular possibilities and constrains simultaneously. Learning communities of all dimensions seek after the growth of community members and the fostering of community sense by collective learning activity, but are distorted by the power agents who have no interest in the genuine values of learning communities but use them only as instruments to get their own special and private values.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learning communities of all dimensions, we must make efforts to be alert to and overcome the constrains of them at all dimensions.

      • KCI등재

        개념 정의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학과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오혁진(Oh, Hyuk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4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진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학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 혼란의 원인에는 ‘평생교육’ 개념의 모호성과 더불어 유관용어인 ‘사회교육’과의 복잡한 관계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평생교육학’이나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기초용어인 ‘평생교육’과 ‘사회교육’을 개념의 세 가지 정의방식인 기술적 정의, 조작적 정의, 강령적 정의로 분류한 후 각각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평생교육’의 경우 세 가지 정의방식에 의한 개념 모두 독자적이고 차별화되며 객관적인 학문의 성립을 위한 기초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학습의 관점에서 교육학을 재구성하려는 새로운 접근방식은 평생교육의 기술적 정의에 기초해 있으나 평생교육학과는 별개의 학문인 ‘평생학습학’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회교육의 조작적 정의에 기초할 때 응용학문으로서의 ‘사회교육학’이 성립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현장과 대상, 모학문적 관점에 의해 다양한 하위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평생교육학’은 ‘평생교육’ 개념의 슬로건적 성격으로 인해 사실상 ‘평생학습학’과 ‘사회교육학’을 포괄하고 있기에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또한 진정한 ‘평생교육학’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통합하기 위한 별개의 응용학문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거의 역사적 전통을 계승한 사회교육학의 회복과 발전도 요구된다. In spite of specially increasing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there is also deep anxiety about identity crisis of the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One essential cause of this crisis is the vagueness of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its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relevant concept of 'social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ies of the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we must examine their basic concepts, i.e.,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with the criteria of three types of general definitions - descriptive definition, stipulative definition, and programmatic definition. In the case of 'lifelong education', it seems that all types of definitions are not suitable to establish independent, unique and objective science. And it is desirable that we designate the new theoretical approach which is trying to reconstruct educational logics in the view point of 'learning' as 'the science of lifelong learning'. And we can establish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on the basis of stipulative definition of 'social education'. Also, we can devide it into many sub-areas according to specific fields, objects and viewpoints of various sciences in the background. The present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includes actually 'the science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together owing to its nature of slogan. So, we must discern between the two things, and it is desirable that we recognize the real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as another specific applied science to integrate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 KCI등재

        1990년대 말 평생교육법 제정 과정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 개념 혼란의 기원과 논리 검토

        오혁진(Oh, Hyuk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1990년대 말 ‘사회교육법’의 폐지와 ‘평생교육법’의 제정은 우리나라 학계와 현장에서 ‘사회교육’용어가 쇠퇴하고 ‘평생교육’ 용어가 이를 대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법 제정 당시 교육개혁위원회는 법 시안 작성차원에서 교육기본법과 같은 수준의 ‘평생학습법’을 제정하는 대신 교육기본법 하에 ‘사회교육법’을 ‘평생학습법’으로 확대 제정하는 방안을 채택하였고, 그 과정에서 법의 명칭과 내용 중에서 ‘사회교육’ 용어를 ‘평생교육’ 용어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다른 교육관계법과의 일관성을 추구하려는 정부 내 입장으로 인해 ‘평생학습법’의 명칭은 최종적으로 ‘평생교육법’으로 변경되었고 법의 영역과 위상도 위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 ‘평생학습법’을 통해 모든 교육을 포괄하는 명분도, 구 사회교육 영역을 모두 아우르는 법을 제정하는 실리도 제대로 얻지 못한 채, 이름을 ‘평생교육법’으로 바꾸고 법의 내용에서 ‘사회교육’을 ‘평생교육’으로 바꿈으로써 개념상의 혼란을 일으키게 되었던 것이다. 이는 당시 ‘평생학습’을 향한 확장적 관점과 ‘사회교육’에 대한 배제적 관점이 잘못 적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학계와 현장에서 정체성의 혼란이 일어나게 된 법적 배경이 된 것은 물론, 우리나라 ‘사회교육’의 오랜 역사적 전통과의 암묵적인 단절에 기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정체성의 혼란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사회교육’ 용어를 되살려 학문적으로 ‘평생학습학’과 ‘사회교육학’을 별도로 정립하고, 법적으로 ‘평생학습법’과 ‘사회교육법’ 등을 별도로 제정하여 그 위상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e end of 1990s, the abrogation of Social(Adult) Education Act and the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became the important momentum of declining of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and prosperity of the term 'lifelong education'. This thesis attempts to verify the historical rightness of dominant position of the term 'lifelong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discussions about the name of newly revising law and its position in the system of educational laws. At that time,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al Reform choose a second best plan to expand and change the 'Social(Adult) Education Act' to 'Lifelong Learning Act' unde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replace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with the term 'lifelong education'. But, because of government's will to maintain the consistency with other educational laws, the name of 'Lifelong Learning Act' was modified to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area and status of the law was also reduced largely in the end. As a result, we could not get not only a justification to make a mother law which include all area of education in the name of 'Lifelong Learning Act', but also actual profit to expand the area of 'Social(Adult) Education Act' sufficiently. On the contrary, owing to replacing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with the term 'lifelong education', the conceptual confusion happened between the narrow sense and wide sense of lifelong education. It was a result of excessive applying of extensive perspective toward the term 'lifelong education' and exclusive perspective on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That became the legal background of conceptual confusion i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and made tacit gap with the long tradition of 'social(adult) education'.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term 'social(adult) education' first of all. And we must establish separately 'science of lifelong learning' and 'science of social(adult) education' academically, and also 'Lifelong Learning Act' and 'Social(Adult) Education Act' legally.

      • KCI등재

        허병섭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2

        전 생애에 걸쳐 사회교육 차원에서 빈민운동, 지역사회개발, 지역목회, 생태운동을 추진했던 허병섭의 삶과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는 현대사회 사회교육의 정체성 회복과 사회교육자의 전문성 재검토를 위한 하나의 초석이 된다. 그는 1970년대부터 수도권 특수지역 선교위원회, 동월교회, 건축일꾼 두레, 무주 귀농활동을 통해 민중의 의식함양 및 경제적 자립, 생태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에 앞장섰다. 그는 사회교육 차원에서 기독교적 인간해방과 생태적 삶의 원리, 민주주의적 공동체, 주민주도적인 지역사회개발을 지향하였으며 사회교육의 대안교육적 가치, 사회운동의 수단이 아닌 사람중심의 교육적 가치, 노동의 전인교육적 가치를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학습자의 삶에 대한 깊은 통찰과 교류, 학습자의 주체성을 존중하는 대화와 토론, 교육내용으로서의 민중문화의 내면화, 민중교육과 생태교육의 연결을 사회교육의 실천 원리로 삼았다. 허병섭의 생애와 교육사상은 교육과 사회의 관계라는 차원에서 교육제도화를 위한 선도적 교육실천의 의의, 사회변화에 대한 비판적 낙관론의 타당성, 사회운동 과정에서의 교육적 가치추구의 의미와 방법 등을 확인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그의 교육사상은 학습자를 위한 헌신과 교류, 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현실에 대한 사회과학적 안목, 학습자의 실존적 요구에 대한 종합적 응답 능력이 현대의 사회교육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전문성임을 보여준다. A study on the educational thought of Huh, Byung-Sup who devoted his whole life to perform the works of poor relief, community development, local pastoral duty and ecological movement through adult education can be a basis for recovering the identity of adult education and reexamining the professionality of adult educator. Since the 1970s, he tried people’s consciousness-raising and economic independence and formation of ecological community through the adult education at Seoul metropolitan community organization, Dong-Wol Church, Doore-Cooperative for daily constructional worker and alternative school in Muju area. He pursued Christian human emancipation, ecological life style, democratical community and residents-driven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adult education, an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adult education as a alternative education, the intrinsic educational logic beyond logic of social movement in adult education and the whole-person educational value of ecological labour. And some principles such as encountering and understanding learners in their lives, respecting learners’ dialogue and discussion, considering popular culture as very important contents and interlinking popular education with ecological education were used for the practice of adult education. His life and educational thought pres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s for confirming the contribution of leading educator’s activity for educational institutionalization, the validity of critical optimism for social change and the importance of pursuing educational value in the process of social movement. And his educational thought instructs that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kills and abilities which current adult educators must prepare are commitment and interaction for learners, critical thinking about educational situation and the ability to response comprehensively to learners’ existentia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