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자 직접지원 고용보조금의 고용 효과성 분석

        오민홍 ( Min Hong Oh ),서옥순 ( Ok Sun Se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4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된 정부의 빈 일자리 고용알선사업 및 취업장려 수당의 정책성과를 분석하여, 구직자에게 직접 지급되는 고용보조금이 구직자의 눈높이 미스매치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평가하였다. 구직자의 눈높이 미스매치 문제는 다른 취업취약계층에 비해 청년층에게 주로 집중된다는 점에서 취업자에게 직접 지원되는 고용보조금은 청년층에게 유효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평가의 적절성을 담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가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비교집단을 추출하기 위해 취업장려금 DB와 워크넷 DB를 연결하여 1-to-1 매칭과 PSM 매칭을 동시에 활용하여 집단간 유사성을 극대화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자에게 지급된 취업장려수당은 그간 구직자들이 입직하기 꺼렸던 빈 일자리, 소위 나쁜 일자리로의 입직을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쟁적인 노동시장뿐만 아니라 수요독점적인 노동시장에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직자의 눈높이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서 신규취업자에게 지급하는 고용보조금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빈 일자리사업의 취업장려수당은 특히 고학력자가 집중된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nalyses the employment subsidy program to job vacancies that is hardly filled with job seekers. The employment subsidy program had implemented in 2009 and undertaken until 2011 in order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Once a job seeker decide to work for the vacant job, the government provide employment subsidy to that job seekers but not to employers. The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employment subsidy in 2009 and those in previous years was that the wage subsidy in 2009 had been given to job seekers but not to employers. In order to get better outcomes, we make use of Work-net DB as well as the Korean Employment Subsidies DB. Merging these two DB enables us to sort out comparison group that has almost same characteristics with the treatment group. Furthermore, this paper also use 1-to-1 matching technic and PSM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1-to-1 matching technic has significant advantages to overcome unbalance problem of sample size for each group. Our results show that the employment subsidies to employees enhance job matches, making job seekers who were reluctant to work for the vacant job to match with such jobs. Especially, it is noticeable that job seekers accepted 107.2m won for a job, which is compared to 121.3m won of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our result seem to fit better when the labor market is of monopsonic structure. These outcome suggests that employment subsidies to job seekers would be a decent policy measure to cure job mismatches that caused by asymmetric expectation on work conditions. Under these findings, employment subsidies implemented in 2009 seem to work better for young workers who have higher schooling attainment and thus higher reservation wages, compared with other cohorts.

      • KCI등재

        생애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대 구분 연구: 경제․사회적 관점을 중심으로

        오민홍 ( Min-hong Oh ),고재성 ( Jae-sung Go ),장서영 ( Suh-young Jang ),오찬호 ( Chan-ho Oh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4 질서경제저널 Vol.17 No.4

        이 연구는 성인에 대한 효율적인 생애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제 및 사회적 측면에서 성인을 세대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세대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고용서비스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대 구분을 위한 쟁점들과 방법을 고찰하였고, 경제적 측면에서 세대를 구분하고, 사회적 측면에서 세대별 특징을 세밀화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한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인 고용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제적 및 사회적 관점에서 성인 세대를 구분한 결과 연령에 따라 1929세대, 3038세대, 3947세대, 4857세대, 5864세대, 6574세대의 6개 세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구분된 각 세대의 특징들을 살펴보면 1929세대는 입직기에 해당되며, 취업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3038세대는 초기 경력기로 높은 취업자 비중과 임금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3947세대는 중기 경력기에 해당되며 임금수준이 최고단계에 이르고, 4857세대는 퇴직 준비기에 해당되며 취업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임금수준도 하락하는 특징을 보인다. 5864세대는 본격적인 퇴직기에 해당되며 고용주 및 자영업자 비중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이며, 6574세대는 퇴직 후기에 해당되고 취업자 비중 하락세가 감소하고 임금수준은 하락하는 특징을 보인다. 셋째, 각 세대별 특성에 부합하는 고용서비스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dult generations efficiently suited to the public employment service (PES) and to fit the PES to each generations. To do so, this study firstly tried to grasp the effective methodologies to define the generations and from the socio-economic point of view to concretiz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generations could be divided socio- economically by 6 categories: 1929, 3038, 3947, 4857, 5864, and 6574 generations. Specifically 1929 could be characterized with its increased proportion in employment rate, 3038 as a higher job-attachment rate and increasing wage rates, and 3947 with its highest wage rate known as prime aged group in the life cycle. On the other hand, the 4857 generation could be define with decreases in its employment rates and wages rates. Likewise further decreases in employment rate and in self employment rate for its 5864 and 6574 generations. Specifically 6574 generation shows its lowest employment and wage rate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best suitable PES to each generation with further discussions. For instance, the 1929 generation, the most able population with respect to their education attainment level but the worst in their employment performances, seems to be assisted in the area of establishing their career path and fluenet job information for sooner job attachment. They also need further government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ir job securities. Second,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focus more on balances between work and house chores for the 3038 generation. This is because female workers or job seekers in this generation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traditional gender role of housework. Third, the 3947 generation shows the best employment performances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so that adequate career development would be help-ful to boost current productivities and future career securities. Fourth, it could not be difficult to observe a decreases in wage level and frequent retirement for the 4857 and the 5864 generations. Considering the actual retirement age of 68.1, these generations are still necessary to get supported in the area of outplacement services. Finally, the 6574 generation, the last generation of one's lifetime profile in the labor market, seems out of the labor market. However, it is frequently reported that many retirees in this generation are still suffering from poverty caused by lower coverage of national pension plan and more. Therefore, it would be suitable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money transfers or job such as social works to these economically disabled groups. Although this pilot study provides an policy intuition to boost its effectiveness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it is still debatable in defining each generations with regard to the methodology.

      • KCI등재
      • KCI등재

        부산지역 외국인 근로자 고용실태에 관한 연구

        오민홍 ( Min Hong Oh ),( Xixi Bu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3

        본 연구는 2017년 조사된 부산일자리종합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외국인 근로자 실태와 함께 이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의 고용성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지역 자치구군은 입지 및 경제발전과정에 따라 산업구조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외국인 고용의 업종별, 지역별 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외국인 고용 여부 및 공석 여부별로 사업체 유형을 분류하여 이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첫 째,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는 외국인 근로자가 내국인 비정규직에 비해 생산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내국인 비정규직에 비해 높은 수준의 임금을 제시하고 있다. 둘 째,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사업체에 비해 내국인 근로자에 대해서도 보다 높은 임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외국인 근로자가 내국인 근로자의 보완적 생산요소로 역할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다만 문제는 기업의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 고용 관행이 정부가 고용허가제를 도입한 의도와는 다른 것으로 평가된다는 점이다. 한편, 외국인 근로자 고용 결정요인은 업종, 사업체 규모, 노조 유무, 매출액 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고용이 가장 활발한 업종은 제조업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체 중 무노조 상태의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업체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체 비중은 무려 55.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외국인 근로자 고용의 직접요인으로 평가되는 사업체의 공석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외국인 고용결정요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국인을 채용한 사업체와 그렇지 않은 사업체 간 매출액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외국인 고용이 비용절감을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것이라는 기대는 사실이 아님을 시사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활용이 사업체의 경영성과에 긍정적 기여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선호하는 경향성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여, 내국인 근로자의 일자리 확보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s the employment structure of foreign workers in Busan and its impact on performances of firms that hire those foreign workers, using Busan Job Survey. First of all,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reign workers vary upon the industrial structure by subregion, Si, Gun, and Gu in Busan. Based on the criteria of foreigner employment and establishment type, we devide firms by 4 categories and explore thos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ir practice of foreign worker employment. Firms with foreign workers evaluate that foreign workers tend to be more productive over native non-regular workers, thus pay more to the foreigners. Furthermore, firms hiring foreign workers pay higher wages than firms not hiring foreign. These findings support the view that firms with foreign workers are more profitab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 and foreign worker would be complementary each other, boosting productivity of the firm. However, these phenomenon seems to out of the intention of the Work Permit System that allows to hire foreign workers only in certain sectors and firms not being able to find native workers in it. The results of logit and decision tree model to find determinants of firms’ hiring foreign workers revealed that industry, firm size, union and sales volume a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whether a firm hires foreign worker.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with higher sales volume and no union tend to hire more foreign workers. However, job vacancies does not seem to have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firms’ decision to hire foreign workers. In the sense that the Work Permit System in Korea only allow firms with vacancies to hire foreign workers, this is a important check point whether the system works properly. Finally,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re are variances in firms’ performances by hiring foreign workers.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utilized 1-to-1 matching and PSM together.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controlling firms’ characteristics between firms with and without foreign workers. Based on our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policy measure for firms to hire more native workers if the practice of firms’ hiring foreign workers dose not related with their job vacancies and sales volume.

      • KCI등재

        겐트시스템이 우리나라 자영업자 고용보험에 주는 시사점

        오민홍 ( Min Hong Oh ),정남기 ( Namki Chu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0 질서경제저널 Vol.23 No.3

        이 연구는 자영업자 고용보험 임의가입제도를 운용하고 있는 북유럽 국가인 덴마크, 스웨덴의 사례연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자영업자 고용보험의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위 북유럽권 국가들은 임의가입형 자영업자 고용보험과 실업부조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데, 임의가입형은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발전하여, 노동조합 및 협회 등을 중심으로 여러 종류의 실업보험기금이 민간위주로 운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소위 겐트시스템(Ghent system)으로 불리는 고용보험제도의 기금은 민간이 운용하지만 정부가 정한 법의 테두리 안에서 운용되고 있다. 실업급여의 상당부분을 정부의 재정으로 충당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에 대한 재원은 정부가 원천징수하는 소득의 5-8%에 해당하는 노동시장세(payroll tax)이므로 소득재분배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겐트시스템 하의 고용보험제도는 보험료는 낮고, 수급조건은 좋아 가입률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자영업자의 소득기준은 세무서에 신고된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덴마크와 스웨덴의 자영업자 고용보험의 조건은 자영업자들에게 매우 우호적인데, 이는 정부의 막대한 재정투입에 기인한 것이다. 그리고 북유럽 국가들은 자영업자 임의가입 고용보험 제도를 운용하고 있음에도 실업부조의 형태로 자영업자들을 이중으로 지원하고 있다. 고용보험 임의가입 자영업자의 수급기간이 만료되거나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이 경우, 실업부조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업부조제도가 없는 우리나라의 경우 고용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는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몇 가지 정책제안을 담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social safety nets for the self-employed in the Nordic countries of Denmark and Sweden. These countries operate voluntarybased unemployment insurance for the self-employed as well as unemployment assistance at the same time. The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for the self-employed is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Union and thus there exist various types of unemployment insurance funds across the trade unions. Although the system is operated by the unions, it i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regulation. The unemployment insurance operated by the unions is called ‘Ghent system.’ The unemployment benefits under Ghent system is mostly financed by the government budget which collected through the payroll taxes. Since the payroll taxes is collected from income, the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s in the Nordic contries are designed as a measure of income redistribution. The tax rate is about 5-8%. Under the circumstances, the system has been characterized as lower insurance premium, generous eligibility criteria, and relatively higher participation rates. Like wage workers, the income of the self-employed is based on the amount of income reported to the tax office. The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s in Denmark and Sweden are very favorable to the self-employed in the sense that the massive financial input financed from the government. On top of this generous insurance systems, these Nordic countries operates insurance assistance system as well. Thus the self-employed who end up the payment period of insurance benefits or who do not even participated in the system could be supported by the unemployment assistance system. Compared with these Nordic countries, the self-employed in Korea where most of them is not covered by the unemployment insurance and without unemployment assistance system is in blind spots when they go out of busines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o eliminate the blind spots.

      • KCI등재

        청년 신규취업자의 노동시장차별에 관한 연구

        오민홍 ( Min-hong Oh ),윤혜린 ( Hye Rin Yun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4 질서경제저널 Vol.17 No.2

        본 논문은 노동시장의 오랜 사회현상인 성별 임금격차와 직종분리현상을 청년 신규취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임금격차 중 약 45.5%가 자질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상적으로 차별이라고 볼 수 있는 보상격차 및 상호작용에 의한 격차는 약 54.5%로 나타났다. 주요스펙은 임금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고, 특정 직종의 여성비중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직종분리의 정도는 완화되고 있었으나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던컨지수를 살펴본 결과 여전히 직종 중분류기준 40 이상의 지수를 나타냈다. 또한 성 집중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대부분 사무직 및 서비스 직종에 집중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성별 임금격차와 직종분리 정도는 여전히 큰 수준이었고, 본 연구결과에서 여성비중이 큰 직종에서 전체적인 임금이 낮게 나타났던 현상은 성별 임금격차와 직종분리현상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wage-differentials and job segregation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It is a common phenomenon across countries where earnings for female workers are lower than those of males. Such wage differentials are mainly caused by two factors: differences in productivity or discrimination. As socio-economic environments become friendly to women, those wage differentials are narrowed down slowly. The other evidence that women's performance in the labor market is poor relative to men is job segregation.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would be resulted from self-selection or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recruitment and promo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magnitude of gender performance gap in the labor market, this study makes use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hereafter GOMS)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data set contains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in school to work transition and other information such as family background. It is revealed that 45.5 percent of gender wage gap i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ir productivities. However, the remained differences would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compensation, so-called discrimination in the context of this thesis. In addition, this study estimates Duncan Dissimilarity Index and Concentration Index to measure degree of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using the Survey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As expected, the gender segregation become alleviated since 2000. However, female workers are concentrated in the occupations related with services and clerks whereas male workers in managerial and professional occupations. These patterns imply that the segregation is a significant element of gender wage gaps.

      • KCI등재

        경제기반이론을 활용한 부산지역 일자리 성과 분석

        오민홍(Min-Hong Oh),강준규(Jun Gyu K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일자리종합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부산지역 일자리 성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2016년 처음 조사된 부산 일자리종합실태조사는 사업체 단위의 조사로서, 기업 일자리 및 인력수급현황 등을 파악하고 있어 지역의 일자리 실태와 함께 고용문제를 고찰할 수 있는 조사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일자리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자리의 양적, 질적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양적 고용성과 분석 결과, 수확체감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출액의 확대는 질적 고용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나 사업체 규모가 커진다고 해서 고용의 질적 성과가 개선되지는 않았다. 또한 경기 개선 여부는 고용의 양적, 질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동수요가 단기적 경기개선 여부보다는 중장기적 경기전망에 따라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고용성과의 결정요인으로 매출액은 질적 고용성과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업체 규모는 질적 고용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기반이론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고용성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산의 고용승수는 대전 다음으로 높은 수준으로서, 부산지역 주요 업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같은 긍정적 외부충격이 지역의 고용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mployment performances in Busan, using 2016 Busan job survey data, the new data set collect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to analyze in depth employment condition. The results show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size and its growth rate, which indicates the existence of diminishing returns in employment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establishment’s sales growth seems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er’s wage and their employment type. However, employment size of the establishments do not have any statistical impact onto firm’s employment performances qualitatively. In addition, the short-term improvement in business cycle is not correlated with employment size neither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uggesting firm’s hiring practice is followed by long-term perspectives.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indicates that sales volume increases employment performance qualitatively, but the establishment’s size negatively affects the performances.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economic base theory show that employment multiplier of Busan is the second highest among the 8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e result implies that employment performances in Busan would be better-off if positive external effect such as the governmental support is implemented.

      • KCI등재후보

        지역노동시장 종합지수 개발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오민홍 ( Min-hong Oh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1 질서경제저널 Vol.14 No.4

        본 연구는 지역 맞춤형 고용정책수립 및 평가의 필요성에 따라 지역노동시장의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서 지역노동시장 종합지수를 개발하고, 개발된 종합지수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동시장 종합지수는 노동시장이라는 단일 시장에 대한 활성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역노동시장 종합지수로서 지역노동시장의 경기를 파악 가능케 하고, 더 나아가 해당 지역노동시장의 경기예측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노동시장 종합지수를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먼저 통계청의 전국단위 경기동행 종합지수와 노동시장 종합지수를 작성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지수의 순환변동치 분석결과, 노동시장은 전체시장에 비해 선행성을 가지고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력이 최종생산물시장의 파생상품으로서 경기후행성을 가지고 있다는 기존의 주장과는 상반된 결과로서 기업은 최종생산물에 대한 수요예측을 기초로 노동수요를 사전적으로 조정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순환변동치의 비교에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이 2006년 이후 고용없는 성장(jobless recovery)이 구조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제의 심각성은 지역노동시장 종합지수의 순환변동치 분석결과에서 나타나는데, 2006년 이후 구조화된 고용없는 성장은 지역별로 차등적으로 나타나면서 지역 간 고용성과 격차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지역노동시장 종합지수를 이용하여 16개 광역시도의 노동시장 경기를 파악한 결과, 타 지역에 비해 경기도의 경기가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울산과 경남지역은 경기상승률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a composite index of the regional labor market that gives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across the regions. As a business cycle indicator mainly focused on the labor market, the composite index is useful in determining current conditions and predict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labor markets. Within a situation where information on regional labor markets is so scarce, it would be possible that the composite index gives us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performance across regions and enable us to forecast. The constructed composite index of the regional labor market has been employe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Developed with the NBER method, the composite index has been compared with the coincidence index of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NSO). The results show that the labor market seems to lead the NSO coincidence index whose relationship has been acknowledged inversely. Such a phenomenon could be speculated in a way that firms make decisions on hiring (or firing) worker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economic fluctu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jobless recovery seems to be structuralized since 2006. What is serious is that such jobless recoveries occur asymmetrically across regions and in turn expand regional disparity. Finally, this paper analyzes how big the performance gaps in the regional labor markets are: Gyeonggi province seems prosperous during the sample period, 1998 to 2009. Meanwhile, Ulsan metropolitan city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have been in focus as faster business upturns.

      • KCI등재

        지역간 노동시장 성과격차에 관한 연구

        오민홍 ( Min-hong Oh ),서옥순 ( Ok-sun Se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5 질서경제저널 Vol.18 No.4

        본 연구는 지역간 고용성과 격차를 유발한 원인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간 고용성과 격차의 주요 요인으로 산업구조와 그에 따른 인적자본의 불균등한 분포 등이 거론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노동수요 및 공급 구조에 대해 검토하고, 이들 지역이 일자리 창출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어떠한 단기 및 중·장기적 정책개입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먼저 우리는 지역간 고용성과 격차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으로 임금 곡선을 추정하였다. 실업률과 임금 수준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의 양적 고용성과가 높을수록 질적 고용 성과도 향상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간 노동 시장 성과격차가 확산될 수 있다는 것으로서 격차해소를 위해 정부의 시급한 정책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지역간 고용격차를 유발하는 원인을 살펴보았다. 지역간 고용격차의 대부분이 산업구조의 집중도에 의해 설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산업구조의 집중도는 지역별로 노동자의 숙련도 분포를 비대칭적으로 만들고, 이 때문에 지역간 고용 및 임금 수준에서의 차이가 유발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주요 전략산업에 대한 지자체 간의 유치경쟁은 지역노동시장의 개선을 위해서도 당연한 정책적 노력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le factors that cause differences in labor market performances across regions. It is well known that the factor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and its human capital accumulation affect labor market performances so far.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vious literature, we investigate structures of both labor demand and supply in each region and discuss on the short and long-run strategies that the local governments need to implement. We first estimates the wage curve which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unemployment rate and wage level. The estimated results indicate that interregional labor market performances are spreading out rather than being convergent. That is, qualitative measures such as wage level gets better as quantitative performances in the labor market improve over time. These findings suggest urgent governmental interruption into the labor market in order to reduce the inter-regional distortion. Next, we scrutinize the possible causes leading to such regional gaps and figure out that most of the differentials across regions could be explained by the industrial concentration or its specialization. These facts means that differences in industrial specialization induce asymmetric distribution of workers’ skill level and then leads to differentials both in employment and wage level. Due to these reasons, the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so far compete to attract strategic industries that might improve the regional labor market performances.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s supplement various productivityboosting policies like vacational training and other public employment services besides such an effort to attract the industries. Therefore, these policy actions would result in the positive feedback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of the regional labor markets.

      • KCI등재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남기성,오민홍,홍현균,Nam, Ki-Seong,Oh, Min-Hong,Hong, Hyun-Guyn 한국통계학회 2008 응용통계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기존의 순위만 고려하는 집중도를 보완하여 기대빈도를 이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 NOHI(Nam-Oh-Hong Index)를 제안하고, 이를 지역별 직업별 종사자 수에 적용함으로써 지역별 특화 직종 분포에 활용하는데 있다. 지역 간 특화정도를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입지계수(LQ)의 경우, 해당산업의 지역 내 비중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 내 특성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 및 직종의 지역간 지역내 특화도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은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은 기계 재료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relative specialization index, the Nam-Oh-Hong Index(NOHI) and to investigate region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specialization using the newly developed index. Compared with Location Quotient(LQ), the advantages of the index is that the NOHI enables comparison between inter-regional and intra-regional concentration of employment possible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e specialization analyses show that Seoul is specialized in management, book-keeping and office related occupations, whereas Busan in machine and material related occup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