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비보호좌회전(PPLT) 교차로에서의 공격적 운전행태 연구

        오도형,장태연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3

        연구는 보호/비보호좌회전(PPLT) 교차로에서 공격적 운전행태의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군산시를 대상으로 한다. 로지스틱 회귀모형 결과 운전자의 나이와 운전경력이 증가할수록비첨두시간대, 동승자가 없는 경우, 운전경력이 많은 경우, 승용차, 남성 등이 대향차량에 영향을 주는 공격적 운전행태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PLT 교차로상에서 비보호 좌회전시 대향차량까지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공격적 운전행태를 보이게 되는데 공격적 행태를 보인 운전자 속성과 대향차량까지 거리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나이와 동행자수의 증가, 첨두시간대는 근거리에 위치해 있는 대향차량에 대해 영향을 주는 반면에, 남성 및 운전경력이 높을수록 중거리 및 장거리 대향차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용차 보다는 RV 및 대형차량이 거리가 먼 대향차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컸다.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ggressive driving behavior in the protected/permissive left turn(PPLT) intersections in Gunsan City. As a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creasing of driver’s age and driving experience, non-peak time, no company, sedan and male have a tendency to behave aggressive driving to the opposite vehicles. When the vehicles try to turn the unprotected left in the PPLT intersection, the opposite vehicle drivers recognize them at the aggressive driving behavior if the distance to opposite vehicles is not en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er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to the opposite vehicles is analyzed under aggressive driving behavior. increasing of age and company, peak time tend to influence the short distance opposite vehicles while male and higher driving experience the middle and long distance. Sedan has the aggressive possibility to shorter distance opposite vehicles rather than others.

      • KCI등재

        보호/비보호 좌회전 신호운영(PPLT) 만족도 분석

        장태연,오도형 한국ITS학회 2015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운전자들의 보호/비보호 좌회전(PPLT: Protected/Permitted and Left-Turn) 신호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도로이용자의 다양한 요인(개인속성, 운전태도, PPLT의 기대심리 등)이 PPLT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 축하였다. 모형구축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Q값, RMR, GIF, AGIF, NFI 모두 적합도기준(Critical value)에 만족되었으며, PPLT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사회경력과 운전경력이 비교적 길고 교통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남성의 선호도가 상대적 으로 높고, 사고 경험이 없는 운전자인의 경우 PPLT 운영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PLT에 대한 만족도는 PPLT 운영으로 인한 교통안전 및 교통운영 증진, 환경개선 등의 기대가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PPLT 운영은 교통사고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는 도심에 우선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PLT의 도입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PPLT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효과가 함양될 수 있도록 효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drivers’ satisfaction over protected and permissive left- turn (PPLT) traffic signal oper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drivers’ factors (e.g., personal characteristics, driving attitude, expectation to PPLT, etc.) on the PPLT preference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the analysis is satisfied with the critical values, such as Q value, RMR, GIF, AGIF, and NFI. The study reveals that PPLT preference increases in case of driver who is male with long social carrier related to transportation affaire and long driving experience without traffic accident involvement. Moreover, PPLT preference increases as the expectation of PPLT to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traffic operation, and traffic environment increas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PPLT should be preferentially operated in urban area of less traffic accidents and the promotion of PPLT be actively conducted for positive effectiveness.

      • KCI등재

        비신호 교차로에서 횡단 기다림 시간 및 시도횟수에 관한 보행행태 연구

        장태연,오도형,Jang, Tae Youn,Oh, Do-Hyoung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본 논문은 무신호 교차로에서 보행자의 횡단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보행행태는 교차로 주변의 환경과 횡단의 기준, 안전에 대한 예견, 순간적인 판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정신적 스트레스의 결과이다. 이러한 복합적 스트레스는 개인의 속성, 교통여건, 환경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교차로를 운영하는데 있어 보행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현장과 설문 조사를 통하여 보행자가 비신호 교차로를 횡단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는 다양한 결정변수를 기초로 하여 횡단시도 횟수, 기다림 시간 및 보행횡단 만족도 등에 대한 횡단행태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횡단시도횟수에 대한 각 요소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x^2$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횡단을 위한 기다림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위험률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보행자의 보행 횡단 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직 간접 효과도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effecting on pedestrian crossing behavior in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 Pedestrian crossing behavior is the results of mental stres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environment perception, avoiding accidents, halting collision, and instant crossing decision. It is necessary to make walkable intersection in cities through relieving this stress influenced by personality, traffic condition, and roadway environment. The purpose of study is empirically to examine the crossing behavior such as crossing satisfaction, crossing trial frequency and waiting time based on various factors effecting on crossing intersection by video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x^2$-test is appl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ossing trial frequency according to each factor. Also, the hazard rate model is established to find the factors effecting on waiting time for crossing. Finall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edestrian crossing satisfaction are presented as the results of LISR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