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과치료시 러버댐의 사용에 대한 환자의 인식도 조사

        염지완(Jiwan Yum),곽상원(Sang Won Kwak),이효진(Hyojin Lee),김현철(Hyeon-Cheol K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5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3 No.11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done to evaluate the patients’ perception on the use of Rubber Dam (RD) for the tooth isol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Total 106 questionnaire were gathe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tients’ gender, age, previous experience of RD. The 96% of total patients reported no experience of RD in their previous treatment. The first advantage of RD was selected as the protection of irrigant and medication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disadvantage was selected as saliva gathering during treatment. 98% of patients want to use RD for the next treatment and 99% remarked that the RD is essential for the dental treatment. Based on the surveyed data, majority of the patients highly satisfied with the RD use and they want to use RD and may consider the use of RD for the selection of dental clinic.

      • 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corrosiv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NiTi rotary files

        Yum, Ji-Wan,Park, Jeong-Kil,Hur, Bock,Kim, Hyeon-Cheol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4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식 환경하에서 니켈티타늄 파일에 대한 부식 경향을 전기화학적 검사와 시각적 검사를 이용해 비교 평가하였다. 각 45개의 21 ㎜ ProTaper Universal S2와 21 ㎜ #25/0.06의 Hero642 file을 기계적 하중 여부, 저장 용액 (증류수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 온도(22℃ 및 55℃), 파일 종류에 따라 18개의 그룹(n = 5)으로 나누었다. 40개의 발거 치아 근관을 성형한 후 18시간 동안 저장 용액에 조건에 따라 보관하였다. 부식 산물의 생성 여부나 변색 등을 관찰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각 시편을 다양한 배율에서 관찰하였으며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기로 성분 분석을 하였다. 전기화학적분극시험을 통하여 새 파일과 근관 성형에 사용한 파일의 부식저항성을 검사하였다. 본 실험 조건하에서는 저장 용액의 종류와 보관 온도가 니켈 티타늄 파일의 부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종 금속이 존재하는 경우 갈바닉 부식의 영향으로 인해니켈 티타늄 파일의 부식 경향이 증가할 수도 있음을 보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corrosion tendency using two kinds of NiTi files in th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 the visual examination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ProTaper Universal S2, 21 ㎜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and Hero 642, 0.06 tapers, size 25, 21 ㎜ (Micromega, Besancon, France) rotary instruments were tested. The instrum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ghteen groups (n = 5) by the immersion temperature, the type of solution, the brand of NiTi rotary instrument and the presence of mechanical loading. Each file was examined at various magnification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EOL, Akishima, Tokyo, Japan)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microanalysis (EDX). EDX was used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the endodontic file alloy in corroded and noncorroded area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unused and used NiTi files after repeated uses in the human teeth was evaluated electrochemically by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 using a potentiostat (Applied Corrosion Monitoring, Cark-in-Cartmel, UK). Solution temperature and chloride ion concentration may affect on passivity of NiTi files.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he corrosion resistance is slightly increased after clinical use.

      • KCI등재

        EFFECT OF AN INTERMEDIATE BONDING RESIN AND FLOWABLE RESIN ON THE COMPATIBILITY OF TWO-STEP TOTAL ETCHING ADHESIVES WITH A SELF-CURING COMPOSITE RESIN

        Choi, Sook-Kung,Yum, Ji-Wan,Kim, Hyeon-Cheol,Hur, Bock,Park, Jeong-Kil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5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an activator, intermediate bonding resin and low-viscosity flowable resin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a self-curing composite resin used with two-step total etching adhesives. Twenty extracted permanent molars were used. The teeth were assigned randomly to nine groups (n=10) according to the adhesive system and application of additional methods (activator, intermediate adhesive, flowable resin). The bonding agents and additional applications of each group were applied to the dentin surfaces. Self-curing composite resin buildups were made for each tooth to form a core, 5mm in height. The restored teeth were then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h before sectioning.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all specimens was examined. The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one-way ANOVA and a Scheffe's test. The application of an intermediate bonding resin (Optibond FL adhesive) and low-viscosity flowable resin (Tetric N-flow) produced higher bond strength than that with the activator in all groups. Regardless of the method selected, Optibond solo plus produced the lowest to dentin. The failure modes of the tested dentin bonding agents were mostly adhesive failure but there were some cases showed cohesive failure in the resin. 이 연구의 목적은 자가 중합복합 레진과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의 친화성에 대한 중간 접착제와흐름성 레진의 효과를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통해 비교하는 것이었다. 20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해 접착제와 부가적인 적용(활성제, 중간 접착제, 흐름성 레진)에 따라 XP bond 그룹 (XA, XB, XF 그룹), Prime & Bond NT 그룹 (NA, NB, NF 그룹), Optibond solo plus 그룹 (OA, OB OX 그룹)으로 나누었다. 접착제 적용 후 활성제, 중간 접착제, 흐름성 레진을 각각 적용하고 상부에 자가 중합 레진을 축성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 후 각 그룹당 1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모든 시편의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그룹에서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적용은 활성제 적용보다 더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2. 선택된 방법에 관계없이, Optibond solo plus 그룹은 가장 낮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3. 파절 양상은 대부분 접착성 파절을 보였고 일부 레진 내에서 응집성 파절을 보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부터,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적용이 낮은 pH를 가지는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와 자가 중합복합 레진의 상아질 접착에 더 효과적이라 예상된다.

      • KCI등재

        Comparison of push-out bond strength of post according to cement application methods

        김서령,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6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ush-out bond strengths of resin cement/fiber post systems to post space dentin using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of resin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technique used to place the cement into root canal: using lentulo-spiral instrument (group Lentulo), applying the cement onto the post surface (group Direct), and injecting the material using a specific elongation tip (group Elongation tip). After shaping and filling of the root canal, post space was drilled using Rely-X post drill. Rely-X fiber post was seated using Rely-X Unicem and resin cement was light polymerized. The root specimens were embedded in an acrylic resin and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 axis using a low-speed saw. Three slices per each root containing cross-sections of coronal, middle and apical part of the bonded fiber posts were obtained by sectioning. The push-out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Specimens after bond failure were examined using operating microscope to evaluate the failure modes. Results: Push-out bond strengths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the root regions. Group using the elongation ti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other ways. Most failures occurred at the cement/dentin interface or in a mixed mode. Conclusions: The use of an elongation tip seems to reduce the number of imperfections within the selfadhesive cement interface compared to the techniques such as direct applying with the post and lentulospiral technique.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시멘트의 포스트 공간 내 적용 방법에 따른 포스트의 push-out접착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0개의 발거된 하악소구치를 사용하여 시멘트의 적용 방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lentulo-spiral을 이용하여 포스트 공간 내에 레진 시멘트를 적용하는 그룹 (group Lentulo), 직접 포스트 표면에 레진 시멘트를 도포하는 그룹 (group Direct), elongation tip을 이용하여 포스트 공간 내에 레진 시멘트를 적용하는 그룹 (group Elongation tip)으로 나누었다. 근관을 성형, 충전한 뒤 Rely-X post drill을 사용하여 포스트 공간을 형성하였고, Rely-X fiber post를 Rely-X Unicem 적용하여 광중합 하였다.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 하고 저속 절단기로 치아 장축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하나의 치아에서 치관부, 중앙, 근단부의 세 개의 시편을 얻었다. 절단한 시편을 Universal Testing Machine으로 push-out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 실패가 일어난 시편을 수술용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그 실패 양상을 결정하였다. 결과: 치근의 위치에 따른 push-out 접착 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용의 elongation tip을 사용한 그룹이 가장 높은 push-out 접착 강도를 나타냈다. 결론: 레진 시멘트를 포스트에 직접 적용하거나 lentulo-spiral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elongation tip을 사용하는 것이 self-adhesive 계면의 결함을 줄이고 근관치료한 치아의 수복 성공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치근단 역충전용 포틀랜드 시멘트 신복합재료의 물리적 성질 고찰

        이상진,조옥인,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Lee, Sang-Jin,Cho, Ok-In,Yum, Ji-Wan,Park, Jeong-Kil,Hur, Bock,Kim, Hyeon-Cheol 대한치과보존학회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6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근단 역충전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MTA, MTA와 AH-plus 혼합물 (AMTA), 그리고 실험적 개발재료인 Portland cement-Epoxy resin composite (EPPC)의 미세 누출 및 물리적인 성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 치아 49개를 근관 성형하고 gutta-percha와 sealer로 충전하였다. 각 치아의 치근을 근단부 3 mm에서 절단하고 3 mm 깊이의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다. 15개씩 무작위로 분류한 치근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MTA, AMTA, EPPC로 충전하였고 네 개의 치근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군의 재료로 역충전이 완료된 모든 실험군을 젖은거즈로 덮고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 후 72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염색액에 담근 후, 치근단을 수직 절단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미세 누출을 평가하였다. Vicat apparatus를 사용하여 실험군 별로 경화시간을 측정하였으며, aluminum step wedge를 사용한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각 군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과 경화시간에 대해 각 군간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으로 유의수준 95%에서 평가하였다. 결과: AMTA와 EPPC는 MTA군에 비해 적은 미세누출량을 보였다 (p < 0.05). AMTA는 가장 높은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으며 개발 재료인 EPPC군은 5 mm aluminum 두께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다. MTA가 가장 긴 경화시간을 나타낸반면 EPPC군은 다른 군에 비해 초기경화와 최종경화 모두 가장 짧은 경화시간을 나타냈다 (p < 0.05). 결론: 이 연구 조건하에서, 신개발 재료인 EPPC는 치근단 역충전 재료로서 기존의 MTA보다 양호한 밀폐능력과 방사선 불투과성 및 짧은 경화시간 등의 역충전 재료로서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pical sealing 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MTA, MTA - AH-plus mixture (AMTA) and experimental Portland cement - Epoxy resin mixture (EPPC) for a development of a novel retro-filling material. Materials and Methods: Forty-nine extracted roots were instrumented and filled with gutta-percha. Apical root was resected at 3 mm and the retro-filling cavity was prepared for 3 mm depth. Roo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of 15 roots each. The retro-filling was done using MTA, AMTA, and EPPC as the groups divided. Four roots were used as control groups. After setting in humid condition for 24 hours, the roots were immersed in 1%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72 hours to test the apical leakage. After immersion, the roots were vertically sectioned and photos were taken to evaluate microleakage. Setting times were measured with Vicat apparatus and digital radiographs were taken to evaluate aluminum equivalent thickness using aluminum step wedge. The results of microleakage and setting time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using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comparison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95%. Results: AMTA and EPPC showed less microleakage than MTA group (p < 0.05). AMTA showed the highest radio-opacity than other groups and the novel EPPC showed 5 mm aluminum thickness radio-opacity. EPPC showed the shortest initial and final setting times than other groups while the MTA showed the longest (p < 0.05). Conclusions: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the novel composite using Portland cement-Epoxy resin mixture may useful for retro-filling with the properties of favorable leakage resistance, radio-opacity and short setti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