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에 대한 시대 배경적 검토

        자현스님(염중섭)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1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은 유교가 안정된 조선 중기에 벌어진 특이한 사건이다. 이를 이해하는 관점으로 ‘문정왕후의 강력한 권력에 의한 불교 진작(振作)’과 ‘보우(普雨)라는 걸출한 승려의 활약’의 두 가지가 대두된 바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조선의 안정기에 벌어진 불교의 중흥을 납득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이 가능할 수 있었던 시대 배경을 부각해, 보다 합리적인 해법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불교 중흥이 가능할 수 있었던 시대 배경으로 주목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조선의 불교 억압 및 정책 실패로 승려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부분. 둘째는 명종의 집권에 따른 권력구조의 재편과정에서 사림(士林)이 몰락(을묘사화)하고, 문정왕후의 세력이 강화된다는 점이다. 여기에 명종의 유약한 성격도 일조를 하게 된다. 즉 ‘제도적인 문제에 따른 해결책의 요청’이라는 시대적 과제. 그리고 ‘사림의 몰락과 유교의 분열’이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이 가능하게 하는 복합적 구조를 완성한 것이다. 끝으로 보우의 역할은 알려진 것보다 제한적이었다는 점. 또 당시 승려의 수준 저하와 능동적인 개선 의지의 미비로 인해, 중흥 기간이 15년이나 지속되었음에도 숭유억불의 반전 계기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도 보다 분명히 하였다. The revival of Buddhism by Queen Munjeong is a unique event that took place during the mid-Joseon period, when Confucianism was stably established. Scholars used to understand this in two points: ‘Buddhist booming by Queen Munjeong’s powerful power’ and ‘The works of an outstanding monk named Bowoo(普雨)’. However, they cannot fully explain the revival of Buddhism that occurred during the stab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derive more rational reasons by highlight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such a situation was possible.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background of the era when such a revival of Buddhism was possible. The first one is that the number of monks exploded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and policy failures at that time in Joseon. The second is that,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power structure after enthronement of Myeongjong, Confucius scholar groups(士林) collapsed (Eul-myo Sahwa) and the power of Queen Munjeong was strengthened. Myeongjong’s weak personality also played a part there. In other words, the task of the times as ‘the request for solutions according to institutional problems’ and the ‘fall of Confucius scholar groups and the division of Confucianism’ completed the complex structure that made Queen Munjeong’s Buddhist revival possible. Finally, this paper shows that Bow’s role was rather limited than known. In addition, it makes more clear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for the reversal due to the low level of the monks at that time and the lack of active will for improvement even though the period of revival lasted 15 years.

      • KCI등재

        <戒箴>의 분석을 통한 漢岩의 禪戒一致적 관점

        염중섭(자현)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3 No.-

        <戒箴>은 한암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서 벽에 붙여 놓은 글이다. 이는 유교전통의 箴문화를 계승한 불교적인 가치이다. 그러나 한암은 일제강점기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계율과 선불교의 정신이 무너지던 시기에,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종정의 위치에서 <戒箴>을 불교잡지에 2차례나 발표한다. 이는 자 신을 바로 하는 것을 넘어서 한국불교를 올바르게 계몽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箴의 활용은, 스스로만을 바로 하는 유교의 箴문화를 넘어서는 불교의 대승적인 가치이다. <戒箴>은 크게 3범주로 구성된다. 그것은 禪定⋅持戒⋅不放逸이다. 이 중 셋째의 불방일은 ‘지속적인 노력’의 의미이므로, 앞선 선정과 지계에 모두 영 향을 미치는 보조적인 가치라고 하겠다. 즉 <戒箴>은 선정과 지계라는 두 가지를 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한암의 청정한 禪風인 禪戒一致 적인 양상을 잘 나타내주고 있어 주목된다. 선불교의 본래완성을 강조하는 깨달음주의는, 사회의 상대적인 가치인 윤 리부분에 있어서 문제를 파생할 수 있다. 그러나 <戒箴>의 선계일치 주장은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다종교가 경쟁하고 종 교에 있어서도 윤리가 강조되는 현대사회에서, <戒箴>은 한국불교가 나아가 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한암의 <戒 箴>은 시대를 초월해서 현재에도 필요한 연구적인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Gyejam(戒箴)> is the words that Hanam attached to the wall for self-discipline. It was a Buddhist value that succeeded the Jam(箴) culture of Confucian tradition. During the colonial ruling of Japan when Gyeyul and ideas of Zen Buddhism were decaying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Hanam as the Jeongjong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set forth his <Gyejam> two times in the Buddhist journal. He had intention not only to correct himself but also to enlighten Korean Buddhism. This kind of Jam’s usage had the Mahayana value of Buddhism beyond the Jam culture of Confucianism. <Gyejam> includes roughly 3 categories. There are Seonjeong(禪定)⋅ Jigye(持戒)⋅Bulbangil(不放逸). Among them, the third Bulbangil has the meaning of ‘incessant endeavor.’ So, it can be said to be a subsidiary value that influences both of former values: Seonjeong and Jigye. Thus, <Gyejam> is composed of two axes as Seonjeong and Jigye. It is noteworthy, for it shows well Hanam’s clear Zen tendency as Seon/Gye Identity. The enlightenment idea of Zen Buddhism that emphasizes the original completion can make some problem in the ethical part which is the relative value of this society. But the assertion in <Gyejam> as Seon/Gye Identity is peculiar in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 effectively. Especially in the modern society where multi religions are competing with each other and the ethics is emphasized even in the religion, it can be said that <Gyejam> is suggesting the way to go for Korean Buddhism. Thus, Hanam’s <Gyejam> secures the validity to study even in the present days.

      • KCI등재

        多寶塔의 경전적인 건립시점 고찰 - 多寶塔과 法華思想의 의미구현을 중심으로 -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9 No.-

        다보탑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異形石塔인 동시에 「見寶塔品」에 입각한 세계유일의 석탑이다. 그러나 다보탑의 이형성 때문에 다보탑의 이해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경전적인 의궤에 입각한 고찰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다보탑의 내포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다보탑의 건립시점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인식을 확보하게 한다. 다보탑과 관련하여 건립시점 파악이 가능한 부분은 탑의 위치이다. 이의 해석을 석가탑의 塔區石인 8方金剛座와 연결해서 이해해 볼 때, 비로소 우리는 석가탑과 다보탑이 표현하고 있는 건립시점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확보해 보게 된다. 이를 통해서 파악된 시점은 석가모니가 分身佛을 소집하고, 이로 인하여 娑婆世界가 그 자체로 佛國土가 된 때라고 하겠다. 이 외에도 석가탑과 다보탑의 건립시점에 대한 파악은 불국사의 전체적인 건축구조를 통해서도 해석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불국사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인 ‘佛國’과 석가탑과 다보탑의 건립시점에 따른 연관성에 관해서도 검토해 보게 된다. 이는 불국사의 건축적인 일반론과 석가탑과 다보탑의 건립시점이라는 특수성의 일치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석가탑과 다보탑의 건립시점에 관해서 우리는 보다 분명한 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불국사는 ‘불국’이라는 불교적인 理想境界를 통해서 현상적인 차별을 그 자체로 무차별로 승화하려는 의도에서 건축된 통일신라의 美學적 표현이다. 우리는 석가탑과 다보탑의 건립시점을 밝힘으로 인해서 기존에 검토된 華嚴佛國과 더불어 法華佛國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 분명한 인식을 도출해 보게 된다. 이는 본고의 의의가 석가탑과 다보탑의 건립시점의 비정에서 그치지 않고, 불국사의 전체적인 건축의도 파악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측면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Dabotab is a typical exotic stone tower of Korea and the unique stone pagoda in the world based on 「Gyeonbotabpum」. But, because of its exotic character, the understanding of Dabotab is not so simple. Therefore, the consideration about it on the basis of scriptural rites has an important meaning. Through this, we can comprehend the implication of Dabotab more clearly. Furthermore, this process can give us clearer concept on the establishment time of Dabotab. The hint for the comprehension of its establishment point lies in the position of the tower. When its interpretation is connected with 8-direction Geumgang sites the tower stones of Seokgatab, we can secure the clear concept on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and Dabotab. The point found through it was when Sakyamuni summoned his alter-ego Buddhas and thus the Sabhā world itself became the Buddhist Land. Beside it, in some aspect,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and Dabotab can be comprehended through the whole architectural structure of Bulguksa. So, this paper is to check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 Dabotab and 'the Buddhist Land' the ideal value that Bulguksa was pursuing. It is to review the agreement between the special feature for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 Dabotab and the general architectural theory of Bulguksa. With this, we can get to clearer understanding on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 Dabotab. Bulguksa was an aesthetic expression of Unified Sila built to sublimate the phenomenological discrimination into the substantial indiscrimination through the Buddhist ideal realm of 'Buddhist Land'. By clarifying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 Dabotab, we can derive the plain recognition about the fact that there were not only the formerly-considered Avatamska Buddhist Land but also the Lotus Buddhist Land. This paper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not just settles the establishment point of Seokgatab & Dabotab but presents the whole architectural intention of Bulguksa.

      • KCI등재

        『화엄사사적(華嚴寺事蹟)』 창건기록의 타당성 분석 - 황룡사를 통한 자장(慈藏)의 영향 가능성을 중심으로

        염중섭(자현)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4 No.-

        왜란(倭亂)의 병화(兵火)로 소실된 화엄사는 1630년 중관해안(中觀海眼)에게 『화엄사사적』의 편찬을 요청한다. 이 책은 1636년 완성된다. 그런데 중관(中觀)은 『화엄사사적』의 편찬에서, 당시 화엄사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매우 혼란스럽게 기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후 ‘창건자인 연기(烟起)의 연대’와 ‘화엄사의 개창(開創) 연대’ 등 다양한 문제들이 파생된다. 그러던 것이 1978년 〈백지묵서화엄경(白紙墨書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창건자와 개창 문제가 일단락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기가 8C 황룡사에 존재했던 자장계통의 화엄사상을 전지한 인물임을 밝혀보았다. 이를 통해 『화엄사사적』에서, 화엄사와 관련해 자장이 요청되는 이유를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또 『화엄사사적』에서 강조되는 도선(道詵)에 대한 측면도 아울러 정리하였다. 이상을 통해, 『화엄사사적』에서 가장 문제 있는 기록인 자장과 도선의 문제가 일정 부분 해소된다. 또 최초로 자장계통의 화엄사상이 8C 황룡사에 존재했다는 점을 제기했다. 이는 의상계통과는 다른 화엄사상에 대한 정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이러한 자장계통과 의상계통이 화엄사에서 시대에 따라 경쟁하고 충돌했다는 점도 밝혀보았다. Restoring the buildings which were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Imjin year, Hwaeomsa Temple asked Junggwan Haean(中觀海眼) to compile Hwaeomsa Sajeok (History of Hwaeomsa) in 1630. This book was completed in 1636. By the way, while compiling the history book, Junggwan recorded diverse stories being told about Hwaeomsa at that time very confusingly. This has resulted in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date of founder Yeongi(烟起),” and “the foundation date of Hwaeomsa Temple.” However, with the discovery of 〈Baekji Mukseo Hwaeomgyeong(白紙墨書華嚴經)〉 in 1978, the issue of the founder and foundation date was ended. Thus, the problem of Jajang and Doseon,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record in Hwaeomsa Sajeok , was partially resolved. In addition, it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Hwaeom ideology of Jajang line existed in Hwangnyongsa Temple in 8C. This is notable in that it was a comment on the Hwaeom ideology different from Euisang line. It also revealed that these Jajang and Euisang lines had competed and clashed at Hwaeomsa Temple over time.

      • KCI등재

        『정암사사적(淨巖寺事蹟)』에 등장하는 정암사 창건기록 검토 Ⅱ

        염중섭(자현)(Youm, Jung-Seop(Ven. Ja-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3

        정암사는 통도사 및 오대산 중대와 더불어 불사리를 모신 대표적인 사찰이다. 그럼에도 정암사와 관련된 1차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일연(一然)과 민지(閔漬)의 자장관련 내용 속에는 이와 관련된 부분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조선후기인 1778년의 기록이기는 하지만 성우(性愚)가 편찬한 『정암사사적』은 정암사의 특징과 문제의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는 『정암사사적』에서만 확인되는 ‘서해용왕설’과 ‘수마노탑’에 대한 부분을 검토하고, 이와 같은 주장이 수록되는 이유에 관해 밝혀본 것이다. 먼저 서해용왕설과 관련해서는, 이것이 중국오대산의 태화지(太和池) 용(龍)을 개변한 정암사적인 특수성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또 정암사 측에서 이와 같은 개변을 시도하는 이유가, 신앙의 중심이 되는 수마노탑의 신성함을 서해용왕과 관련해서 확보하려는 의도 때문이라는 것을 변증했다. 즉 수마노탑의 위상강화 과정에서, 태화지 용이 서해용왕으로 개변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마노탑과 관련해서는, 수마노탑이 위치하는 장소가 자장이 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해서 태백산에서 찾은 갈반지임을 명확히 했다. 또 이와 함께 정암사가 위치하고 있는 곳은 갈반지의 아래쪽이라는 것을, 정암사의 옛 이름인 ‘석남원(石南院)’과 ‘[하]살나([下]薩那)’라는 명칭을 통해서 판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갈반지와 수마노탑, 그리고 정암사의 위치와 관계가 보다 명료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접근을 통해, 자료가 부족한 정암사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판단된다. Along with Tongdosa and Odaesan(Mt. Odae) Jungdae, Jungam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enshrining Buddha’s ashes. However, Il-yeon and Min Ji’s descriptions of Jajang, commonly referred to as the primary records of Jungamsa, do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is fact. In this light, the Jungamsa Records written by Seongwoo in 1778 serve as an important historical source of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of the temple. This study reviewed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and the parts on “Sumano-Stupa” that appear only in the 『Jungamsa Records』. The study discussed the rationale behind the records of these claims. With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this study clarified that a particularity of Jungamsa converted the dragon in Taehwaji(太和池) in Mt. Wutai, China. This study proved that the temple attempted this conversion to establish the sacredness of Sumano-Stupa as the center of religious faith in association with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In other words, the dragon in Taehwaji was converted into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in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status of Sumano-Stupa. Next, in regard to Sumano-Stupa, this study established that the location of Sumano-Stupa was Galbanji(葛蟠地), a site Jajang discovered in Mt. Taebak to witness Mañjuśrī. This study also associated the location of Jungamsa under Galbanji with the old names of the temple: Seoknamwon(石南院) and (Lower[下]) Salla(薩那). As a result, the locations of,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Galbanji, Sumano-Stupa, and Jungamsa, are clearer. Through the research approaches mentioned ab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in establishing a clearer position of Jungamsa, a historical temple with limited records.

      • KCI등재

        「五臺山西臺水精菴重創記」에 관한 내용분석과 의미 - 信仰體系의 변화와 于筒水를 중심으로 -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陽村 權近의 「記文」은 고려 말 五臺山의 信仰體系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말선초의 한양 천도 이후 한강의 시원 비정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헌이다. 오대산의 신앙체계는 慈藏의 文殊信仰에서 비롯되어 寶川의 종교체험에 의해 五臺信仰으로 변모한다. 그러나 고려의 어느 시점에 오게 되면 月精寺가 寶川의 華藏寺를 압도하는 總本寺가 되면서 五臺의 개별적인 특성에 의한 오대신앙의 총체적인 측면은 변모하게 된다. 「記文」에 나타나 보이는 水精菴의 신앙체계는, 보천에 의해서 확립된 阿彌陀를 중심으로 하는 大勢至信仰이 고려 말에 이르면, 아미타를 중심으로 하는 淨土信仰의 일반론으로 바뀌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는 오대의 각기 다른 차별적인 신앙체계가 「記文」이 작성되기 이전에 이미 붕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記文」의 이해를 통해서 우리는 오대산의 신앙체계 변화에 대한 하한선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오대산 신앙체계의 변화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수립해 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한강의 시원과 관련해서는 「記文」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于筒水의 명칭과 관련된 문제들을 정리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부분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통수가 수정암의 샘을 지칭하는 국집된 표현이 아니라, 五臺川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인지해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와 연관하여 오대천의 중심적인 상징은 金剛淵에 있다는 정리가 가능하게 된다. <Jungchanggi> written by Yangchon Gwon Geu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clue about the faith system of Odaesan in late Goryeo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ng in early Joseon. The faith system of Odaesan started from Jajang's Munsu faith and changed into Odae faith by Bocheon's religious experience. But, after Woljeo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Buddhism overwhelming Bocheon's Hwajangsa at a certain point of Goryeo Age, the overall aspect of Odae faith by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Odae came to change. The faith system of Sujeong-am in <Jungchanggi> shows that Mahā-sthāma-prāpta faith centering on Amita established by Bocheon was changed to general Pure-land faith centering on Amita in late Goryeo. It means that each particular faith system of Odae was already collapsed before <Jungchanggi> was written. That is, we can recognize the lower limit for the change of Odaesa faith system and establish a clearer standpoint about the change of Odaesan faith syste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Jungchanggi>. Next, for the origin of Han River, we can also settl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title of Utongsu through the analysis of <Jungchanggi>. And, in the process to solve this part, it turned out that Utongsu was not an expression of narrow sense designating the spring of Sujeong-am but designating the whole Odaesan. In relation with this, it became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central symbol of Odaecheon lied in Geumgangyeon.

      • KCI등재

        제바달다와 붓다의 나이 차이 고찰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제바달다는 붓다의 사촌동생으로 破僧事관련 기록들에는 붓다 만년 붓다의 연만한 나이를 이유로 교단을 물려줄 것을 요청했다고 기록되어 있는 인물인 동시에 佛傳들에서는 붓다의 왕궁시절 최대 경쟁자로 등장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런데 ‘붓다의 연만한 나이를 이유로 교단승계를 요청한다는 것’과 ‘붓다의 왕궁시절 경쟁했다’는 두 기록의 사이에는 두 사람의 나이 차이에 대한 전혀 다른 인식이 존재하고 있어 주목된다. 즉, 전자가 두 사람이 상당한 나이 차이를 가지는 인물이라는 점을 전제하고 있다면, 후자는 근접한 동년배임을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가지의 나이 차이에 관한 기록은 제바달다와 붓다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문제를 야기한다. 본고는 붓다와 제바달다의 나이 차이를 律藏과 佛傳들의 기록들을 통해서 1차로 정리하고, 이의 내포의미를 통한 2차적인 타당성 접근을 시도한 뒤, 마지막 결과로써 붓다와 제바달다의 실질적인 나이 차이를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破僧事관련 기록들과 불전의 기록들에서 나타나 보이는 제바달다의 나이 차이 문제가 ‘실제적인 측면’과 ‘종교적인 측면’의 관점 차이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붓다와 제바달다의 실질적인 나이 차이는 대략 23 ~ 24세 정도가 된다는 것을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된다. 제바달다가 붓다와 왕궁시절에 경쟁하였다는 것도 破僧伽의 원인을 구하기 위한 불전의 防禦機制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파승사의 기록이 불전의 기록에 앞서며, 보다 높은 타당성을 확보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불전의 경쟁기록은 종교적인 상징성의 관점에서 수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접근이라고 하겠다. 즉, 두 가지의 제바달다 나이에 관한 상이한 기록은 결국 파승사라는 동일한 측면을 내원으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엄밀히 말해서 양자는 유리된 각각의 기록이 아닌 ‘실제’와 ‘의미’의 차이에 의한 두 가지 층차의 서로 다른 입각점의 기록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vadatta is Buddha's younger cousin. In relation with saṃgha-bheda, he was recorded to have asked the Buddha to hand over the religious association to him due to Buddha's old age in his later days. At the same time, Buddhist classics recorded that he was Buddha's greatest rival in his palace days. But, between the two records on 'he asked to hand over the religious association due to Buddha's old age' and 'he competed with the Buddha during his palace days,' there are totally different recognitions about the difference of their ages. That is, the former one presupposes that the two men had a considerable age difference, and the latter one presupposes that they had similar ages. These two kinds of records about the age difference raise a problem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Devadatta and the Buddha. In this paper, the age difference of Devadatta and the Buddha is arranged first through the records in Vinaya-piṭaka and Buddhist classics. And, through the implication in it, the secondary feasibility approach is attempted. Then, as the final result, the real age difference of Devadatta and the Buddha is investigated. Through this, we can comprehend that the age difference problem of Devadatta and the Buddha shown in the records of Vinaya-piṭaka and Buddhist classics ha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view point between the 'realistic aspect' and the 'religious aspect' and that the real age difference between Devadatta and the Buddha was about 23~24. When considering that the story of competition between Devadatta and the Buddha during the palace days was a defensive device of Buddhist classics to get the cause of saṃgha-bheda event, we can see that the records on the saṃgha-bheda event precedes the records of Buddhist classics and has the higher feasibility. Therefore,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ccept the record of Buddhist classics about the competition in the view point of religious symbolism. That is, as the different records on the age difference between Devadatta and the Buddha was originated from the same aspect of saṃgha-bheda event, strictly speaking they are not the two separated records but one record of two different view points in two strata due to the difference of 'reality' and 'significance.'

      • KCI등재

        佛敎塔의 구조와 탑돌이에 대한 고찰 - 불교탑돌이의 형성배경과 동아시아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탑돌이는 靈山齋·水陸齋·燃燈祭와 더불어, 한국불교의 무형문화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불교문화이다. 그럼에도 탑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된 것이 없다. 현대는 문화가 힘이 되는 사회이다. 그러므로 탑돌이에 관한 연구는 오늘날 매우 중요하고도 절실한 시대과제라고 하겠다. 탑돌이는 탑에 대한 예경방식이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반드시 탑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져야만 한다. 불교탑은 불교 발생이전의 인도배경문화에서 비롯된 것이, 불교적인 관점의 변용을 거쳐 수용된 것이다. 붓다는 인도탑과는 달리 불 교탑에 있어서 建塔의 대상을 尊崇의 대상으로만 제한하고, 탑의 위치를 4거리 중앙에 두며 장엄의 비중을 확대한다. 이는 인도탑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탑돌이와 같은 예경의식이 강조될 수 있는 측면이, 불교탑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탑에 대한 예경방식인 탑돌이는, 유목문화에서 오른쪽으로 돌면서 존중을 표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탑돌이 역시, 불교 이전의 선행하던 가치를 불교가 수용한 것이다. 그러나 인도탑의 건립대상은 반드시 기릴만한 대상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인도탑에는 항상 탑돌이와 같은 예경의식이 수반되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불교탑과 같은 경우는 건탑대상을 제한함으로 인하여, 모든 불교탑이 예경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모든 불교탑에는 탑돌이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불교 안에서, 탑돌이문화가 활발하게 발전된다는 것 을 의미한다. 인도불교의 탑과 탑돌이는, 동아시아로의 불교 동점과 더불어 중국문화권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그 결과 탑은 중국 전통의 明堂건축과 관련된 형태로 변모하고, 탑돌이 역시 辟邪의 색채를 입은 燃燈탑돌이가 주류가 된다. 그러나 연 등탑돌이는 燈이라는 속성상 밤에만 제한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탑돌이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측면일 뿐 ‘탑돌이 =연등탑돌이’가 되는 것은 아니다. Tabdori(go-round Pagoda) is a world-wide Buddhist culture and a typical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Korean Buddhism along with Yeongsanje(靈山齋), Suryugje(水陸齋) and Yeondeungje(燃燈祭). Despite the fact, the studies on Tabdori are very scanty. The modern age is the society where the culture becomes a power. Therefore, the study on Tabdori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of this age. Tabdori is a method to show the respect and honor toward the pagoda.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n the pagoda or Buddhist tower should be made first before the study. Buddhist tower was originated from the Indian culture even before the beginning of Buddhism. It was accepted by Buddhism after the modificationaccording to the Buddhist perspectives. Unlike the cases of Indian towers, Buddha limited the objects for construction of Buddhist tower to those of respect and honor, expanding the weight of grandeur by setting the tower at the center of a cross road. It means that the Buddhist tower has relatively greater respects to emphasize the respect and honor rituals like Tabdori than Indian tower. Tabdori as a respect and honor ritual toward the tower came from the custom to express the respect by turning around to the right in the nomadic culture. This Tabdori was also a pre-Buddhism custom that was accepted by Buddhism. In case of Indian tower, it was not built only for the objects of respect and honor. This means that Indian tower did not accompany the rites of respect and honor such as Tabdori at all times. But, in case of Buddhist tower, the objects for its construction were limited and therefore all the Buddhist towers became the object of respect and honor. This means that Tabdori can be made for all Buddhist towers. This kind of change promoted the active development of Tabdori culture in Buddhism. Tower of Indian Buddhism and Tabdori suffered great changes in the Chinese cultural zone when the Buddhism was propagated to East Asia. In the process, the pagoda came to be connected with traditional Myeo-ngdang (lucky site) construction in China, and the Yeondeung(燃燈, lantern) Tabdori with the light of evil repelling became the main trend of Tabdori. But, as the Yeondeung Tabdori can be made only at night thanks to the character of lantern, Yeondeung Tabdori cannot be identified with Tabdori itself but is just included in the scope of Tabdori.

      • KCI등재

        한강의 시원 정립에 관한 불교적인 영향 고찰

        염중섭 자현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5 No.-

        본고는 전통적인 한강의 시원인식의 특징에 관해 모색해 본 것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한강의 시원으로 제기되는 곳인 于筒水와 金剛淵은 공히 文殊聖地인 五臺山 月精寺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우통수에 대한 최초의 기록 역시 월정사와 관련된『三國遺事 에 등장하고 있으며, 금강연과 같은 경우는 명칭에서부터 지극히 불교적이다. 이와 같은 측면은 한강의 시원에 대한 인식 성립에 있어서 불교적인 영향을 인지해 볼 수가 있도록 해 주는 기본적인 측면들이다. 한강의 시원 인식에 있어서의 불교적인 영향을 고찰함에 있어서, 먼저 제Ⅱ장에서는 한강의 전통적인 시원인식에 대한 문헌적인 측면을 정리하였다. 제Ⅱ장을 기초로 제Ⅲ장에서는 우통수와 금강연의 불교적인 관계성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본 제Ⅲ장에서는 우통수와 금강연의 특수성에 관해서도 정리하였는데, 이는 제Ⅳ장의 아뇩달지와 비교를 시도하기 위한 기본적인 측면이라고 하겠다. 마지막 제Ⅳ장을 통해서 우통수와 금강연에 대한 관점들이 인도 4大 江의 시원지로 인식되는 阿耨達池의 구조와 내용적인 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보았다. 이는 인도 강의 시원인식이 불교를 통해서 우리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주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이상의 접근을 통해 우통수와 금강연은 단순히 위치와 명칭에 있어서만 불교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그 내용적인 부분 역시도 불교와 깊은 상관관계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 보았다. 이는 앞으로의 한강 시원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 불교가 결코 유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는 오랜 세월을 우리민족과 함께하면서 공동의 문화를 형성해 왔다. 이와 같은 측면을 우리는 한강의 시원에 대한 인식에도 불교적인 영향이 녹아 있다는 점을 통해서 다시 한 번 더 확인해 볼 수가 있게 된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e traditional origins of the Han River are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the precinct of Waljeongsa Temple of Odaesan Mt., a Munsu Holy Land. And the first record on the Utongsu comes in the <Samguk Yusa>(Remained History of Three Kingdoms) in relation with the Waljeongsa. The name of the Geumgangyeon is very Buddhist. These are the basic points that we can find the Buddhis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recognition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Buddhist influence on the origin recognition of the Han River,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was first surveyed from the documents in Chapter 2. Based on Chapter II, Chapter III deals with the Buddhist relation between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Along with it, Chapter III also explain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It is a basic research to compare them with the Anavatapta in Chapter IV. Finally, Chapter IV deals with the high correlation in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between the viewpoint on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and that on the Anavatapta which i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4 great rivers in India. It clearly shows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recognition about the Indian rivers on our society. Through this approach, it was explained that the Utongsu and the Geumgangyeon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 Buddhism not only in their names but also in their contents. It means that the Buddhism cannot be alienated from the problem about the origin of the Han River. The Buddhism has formed the common culture along with our people for a long time. It can be confirmed once again through this that the Buddhist influence is melted in our recognition on the origin of the Han River.

      • KCI등재

        4차 산업 시대 한국불교의 출가문제와 미래적 대안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0

        3차 산업에서 4차 산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불교는 탈종교화 등에 따른 출가자 수 급감이라는 극심한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4차 산업 시대의 본격적인 전개가 출가문제와 관련해 더 큰 문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4차 산업 시대에 한국불교, 그중에서도 조계종의 타당성을 출가문제와 결부 지어 검토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4차 산업 시대의 특징을 정리하고, 조계종의 시대적 타당성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결과로 확인되는 것은 4차 산업 시대에 인간소외와 행복추구가 보다 극명해질 것이며, 수행과 인간 행복을 기반으로 하는 조계종의 필연성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특히 남종선(南宗禪)을 계승한 조계종의 수행론은 현실과 유리된 명상이 아닌 현실을 긍정하는 수행의 완성을 주장한다. 이는 현실의 변화가 조계종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즉 조계종은 4차 산업 시대의 빠른 변화를 수용하면서 변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4차 산업 시대의 출가와 관련된 해법으로, 본고에서는 세계적인 추세인 명상에 대한 요청과 이와 연관된 마음의 출가 부분을 제시했다. 육체적인 출가에 사회와의 단절이라는 인식이 존재한다면, 명상과 행복추구와 관련된 마음의 출가는 현대인이 선호하는 측면에 다름 아니다. 그러므로 마음의 출가를 통해 조계종의 외연을 확대하고, 이를 통한 육체적인 출가구조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는 조계종이 4차 산업 시대에 주류의 위상을 확보하는 핵심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In this transition era moving from the 3rd industry to the 4th industry, Korean Buddhism is facing a severe crisis of sudden drop in the number of those who leave their houses to be priests due to de-religiousization.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era will result in a rational and massive change due to the super-intelligence and the super-connection. This means that there may be a bigger problem in relation to the house-leaving.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Korean Buddhism, especially the Jogye Order, in the 4th industrial era, in conjunction with the issue of being a Buddhist priest.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age are first summariz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Jogye Order in this period is examin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human alienation and pursuit of happiness will become more clear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and the Jogye Order will be more necessary, for it is based on the discipline and human happiness. Especially, the discipline theory of Jogye Order that inherited the Namjongseon(南宗禪) insists on the fulfillment of the discipline that admits the reality rather than the meditation separated from the reality. This means that the change of reality does not conflict with the Jogye Order. In other words, the Jogye Order can accommodate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age and can transform itself according to the change. Finally, as a solution to the fourth industrialization era, this paper proposes the request for meditation that has become a global trend and the house-leaving of mind in relation to it. If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physical house-leaving is the disconnection from society, the mental house-leaving related to the meditation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 no different to what modern people pref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utline of the Jogye Order through the mental house-leaving, and to reestablish the structure of physical house-leaving through it. It is noteworthy that Jogye Order can be the key to secure the mainstream status in the 4th industrial era in this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