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장려세제(EITC)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염경윤,전병욱 통계청 2014 통계연구 Vol.19 No.2

        Based on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data,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arnedincome tax credit ("EITC" hereafter) on labor supp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the amount of EITC hardly increases labor supply with whole household data, while itsignificantly increases labor supply with reduced likely-to-receive household data. Althoughthose conflicting results are assumed to result from diluting effect of household data which isnot related with EITC, EITC's own labor supply effect might not be as enough as expected. As a result, EITC's positive substitution effect should be enlarged through expanding itsphase-in range, raising its maximum benefits, and so on. Moreover, probable crowding outbetween EITC and basic life guarantee system and conflicting effects of EITC in differentincome range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본 연구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자료를 이용해서 근로장려세제(EITC, Earned Income Tax Credit)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전체가구를 대상으로는 근로장려금이 노동공급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EITC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가구로 대상을 한정할 경우에는 노동공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EITC와 비교적 무관한 대다수 가구로 인한 희석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제도 자체의 노동공급 증가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해서 저소득층의 노동공급과 근로소득을 증가시키기 위한 EITC의 취지를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점증구간의 확대나 최대급여액의 상향조정 등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초생활보장제도로 인해 EITC의 효과가 작아지거나 EITC의 효과가 소득구간별로 상충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 연구

        염경윤,박기백 한국관세학회 2020 관세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seek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export utilization rate of Korea-Canada FTA. For strict analysis of export utilization rate of FTA, this study uses the data of Canada government(Department of Finance, Canada) which was obtained through the FTA customs implementation meetings between Korea and Canada when the main author participated in this meeting as a representative of Korea. According to this data, the export utilization rate of Korea-Canada FTA is lower than the figures which were estimated by Korea Customs Service(KCS). The FTA export utilization rate of around 40% products was almost 0% according to this data. This means that there is a room to improve in terms of export utilization of Korea-Canada FTA by policy support. The empirical result of using export FTA utilization rate as an dependent variable shows that the export amount is mainly affecting FTA export utilization rate while the FTA preference margin and rules of origin restrictiveness index don’t affect FTA utilization rate. The empirical result of using log value of FTA export as an dependent variable is simila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exists fixed cost to utilize FTA like establishment of rules of origin management system and employment of personnel. These results also show the possibility that many firms actually don’t invest in this area even though this investment is a prerequisite for FTA utilization. In particular,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may hesitate to invest in this compared to big companies. In this regard, the policy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may be required to enhance overall FTA export utilization. However, further empirical researches on FTA utilization rate by firm size are required to confirm this policy implication because this study is not based on firm level data. 본 연구는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 정확한 FTA 수출활용률 분석을 위해 제1저자가 2019년 기획재정부 자유무역협정관세이행과장으로 근무시 캐나다 정부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하였다. 캐나다 정부 자료에 의한 한국의 對캐나다 FTA 수출활용률은 관세청 발표치(추정에 의해 산출) 보다 낮았으며, 품목별로 40% 가량의 FTA 수출활용률이 0에 가까운모습을 나타내는 등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한-캐나다 FTA 수출활용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기본모형을 실증분석한 결과, FTA 특혜마진, 원산지기준 준수비용은 특별한 영향이 없지만, 품목별 캐나다의 對한국 수입액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론은 FTA 수입금액 로그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변형모형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활용률(FTA 활용수입액)이 0보다 큰 자료만을 실증분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는 원산지관리시스템 구축, 원산지관리 인력 채용 등 FTA 활용을 위한 고정비 투입이 FTA 활용률 결정의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고정비 투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FTA 활용을 위한 고정비 투입 부담으로 FTA 활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FTA 활용률 제고를 위한 고정비 투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기업 단위 자료를 토대로 한 기업 규모별 분석은 아니어서 이러한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업 규모별 FTA 수출활용률에 대한 실증분석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의 對캐나다 수출실효관세율 요인분해

        염경윤(Kyung-Yun Yeom),박기백(Ki-Baeg Park) 한국관세학회 2020 관세학회지 Vol.21 No.4

        It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Free Trade Agreement (FTA) to determine whether the tariff rate decreased as expected and whether additional concessions sh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make this determination by applying a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effective tariff rate (ETR) which shows the actual tariff burden. Specifically, the Shapley decomposition can be applied to studying changes in ETR as both marginality and consistency requirements for the decomposition method are met. Marginality is the property showing the marginal contribution of each factor. Consistency is the property in which the sum of contributions of all factors matches the overall decomposition target value. Moreover, this paper uses a mean value theorem to develop a new tool, namely total differential decomposition (TDD). TDD also meets both the marginality and consistency. This paper also proposed the decomposition formula of ETR in terms of industry, sector, agreement tax rate and FTA utilization. Based on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ETR for Korean exports to Canada before and after Korea-Canada FTA entered into force, this paper concludes that ETR declined due to the reduction of Korea-Canada FTA agreement tax rate as expected. While the paper determines that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concessions,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FTA utilization rate in the case of some items. Since ETR decomposition analysis can clearly identify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FTA implementation process, it would be beneficial to apply decomposition analysis to other FTAs as well and expand data exchanges with partner countries, which are essential for decompositi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