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바라본 운동장 없는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경험과 대처행동 탐색

        양태양(Taeyang Yang),이규일(Gyuil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장 없는 학교에 다니는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경험과 대처행동을 신체활동 측면에서 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운동장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갑작스런 공사로 운동장이 사라진 P 중학교를 사례학교로 선정하였다. P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6명(남 3명, 여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해당 학교 체육교사를 보조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방형 설문지, 초점화된 그룹 면담, 개별 면담, 교사 일지 등으로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텍스트 분석 기법(전사, 코딩, 주제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학교생활 경험은 ‘수족관 속 물고기’, ‘출구 없는 미로’, ‘컵 속에 물과 기름’으로 범주화되었고, 학생들의 대처행동은 ‘개척하기’, ‘배회하기’, ‘일탈하기’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운동장 없는 학교에서의 학생 경험이 신체활동 부재 문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및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학생들의 대처행동이 교칙 위반으로까지 야기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운동장의 의미를 신체활동의 공간, 해방의 공간, 사회적 접착 공간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hool life experiences and coping behavior 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 school without a playground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layground. P middle school where the playground disappeared due to sudden construction was selected as a case school. Six male and female students (3 males and 3 females) who were in P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of the school was selected as an auxiliary research participant.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focused group interviews, individual interviews, and teacher journa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ext analysis techniques(transcription, coding, and topical analysis). As a result, school lif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fish in the aquarium", "maze without exit", "water and oil in the cup", and students" coping behaviors were "pioneering", "wandering" and "deviating". Analyzed.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 experience in a school without a playground was not limited to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but rather to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and students" coping behaviors resulted in violations of the rules. Lastly, the meaning of the school playground was proposed a s a space for physical activity, a space for liberation, and a s pace f or social bonding.

      • KCI등재

        시기(체육수업 있는 날, 체육수업 없는 날, 주말)에 따른 남녀 중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수준과 특성 분석

        이규일(GyuIl Lee),양태양(TaeYang Ya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7일 동안 신체활동을 측정해, 시기(체육수업 있는 날, 체육수업 없는 날, 주말)에 따른 중학교 남녀 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수준과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132명(남-74명, 여-58명)이었으며, Actigraph에서 개발한 3차원 가속도계(GT3X 모델)를 활용해 7일간 일상생활 신체활동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체활동 분석 프로그램인 Actilife v.6.11.9을 활용해 일일단위의 강도별 신체활동(좌식활동, 저강도, MVPA)을 추출하였다. 신체활동 강도 분류를 위해 Evenson et al. (2008)의 기준(cut-points)을 활용하였으며, SPSS 20.0 통계프로그램에 입력해 기술통계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남녀 중학생들의 일상생활 신체활동은 좌식활동 1246분(남: 1225분, 여: 1275분), 저강도 활동 150분(남: 164분, 여: 131분), MVPA 42분(남: 50분, 여: 33분)으로 나타났고, WHO(2018)의 청소년 신체활동 기준(일일 MVPA 60분 이상)의 충족률은 평균 27.3% (남: 34.9%, 여: 17.1%)로 확인되었다. 시기와 성에 따른 이원분산분석 결과, 모든 강도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등교 여부에 따라 좌식활동과 저강도 활동의 차이가 나타났고, MVPA 시간은 체육수업 여부에 따라 나타났다. 학교는 좌식활동 감소(-7.3%)와 저강도 활동 증진(+16.3%)에, 체육수업은 MVPA 증진(+16.5%)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대안과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for 7 days using a 3-axis accelerometer,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ime(weekend, school days with and without PE classes) and s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middle school students (male-74, female-58), and one week physical activity levels of participants were measured by Actigraph 3-axis accelerometers(GT3X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ferred to a PC using Actilife v.6.11.9, and the intensity of the daily physical activity were categorized using the cut-points suggested by Evenson et al. (2008). For research purpose, week-based data and day-based data were filtered, and descriptive analysis, Two-Way ANOVA, and Turkey post-hoc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weekly physical activit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s composed of 1246 minutes of sedentary activity (male: 1225 minutes, female: 1275 minutes), 150 minutes of light activity (male: 164 minutes, female: 131 minutes), 42 minutes of MVPA (Male: 50 minutes, female: 33 minutes), and only 27.3% (male: 34.9%, female: 17.1%)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s met with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suggested by WHO(2018). As a result of a Two-Way ANOVA according to time and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dentary and light activiti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attend schoo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VPA time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addition, Physical activity effects were confirmed in school (sedentary activity: -7.3%, light activity: 16.3%)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MVPA: 16.5%)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all times. Finally,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and the subject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