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20 코로나 시대의 연극의 한 가지 풍경 : 언택트 속 컨택트를 위한 연극적 고민들

        양찬미 ( Yang Chan Mi ),남지수 ( Nam Ji Soo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 초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속에 공연예술계는 극장을 폐쇄하거나 온라인/스트리밍 공연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공적 지원 역시 이러한 형태에 집중되어 있었다. 전자는 공연계 전체를 무기력하게 만들었고, 후자의 경우 대부분이 영세한 극단인 연극현실 속에서 공공기금으로 운영되지 않는 극장들은 쉽게 계획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언택트의 상황 속 컨택트의 갈증이 더욱 커져갔고, 이에 따라 연극인들은 이러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며 안전하게 현장에서 배우와 관객 사이, 관객과 관객 사이 거리를 유지한 채 공연을 할 수 있는 연극적 고민을 수행하기에 이른다. 2020년 한 해 선보인 여러 공연들의 실험적 시도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컨택트를 전제로 한 대면 연극 및 공연예술축제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그저 관객만 마스크를 쓰고 좌석 간 거리를 두는 것보다 어떻게 하면 더 안전하게 연기하고 관람할 수 있는지 여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언택트를 지향하는 코로나 시대, 여전히 컨택트의 연극성을 모색하는 몇 가지 연극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Under the Covid-19 pandemic of the year of 2020, Korean theatre practitioners have struggled to stage the works keeping with the rules of social distancing between the stage and audience. Many theatrical works have enthusiastically experimented the form and style to make more safe theatrical environment, not just keep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seats and wearing a mask as a very basic guideline. In this aspec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some experimental theatrical examples to grope the so-called 'contact theatricality' under the untact social atmosphere.

      • 코로나 시대 연극의 새로운 생존방식과 연극성 :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로 공연하기

        남지수 ( Nam Ji Soo ),양찬미 ( Yang Chan M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출현 이후 연극과 미디어 매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연극 제작과 유통 측면에서 매체의존도가 더욱 높아진 이 시대의 국내외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연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동시대적 연극현상의 한 줄기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전염병 시기를 겪으며 미디어 매체를 새롭게 활용하는 연극성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제작과 유통에 있어서 연극의 방향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how contemporary Korean theatres deal with the Covid 19 pandemic particularly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atre and media. Theatre tends to show a growth on the media-dependency as a form or content under, and it seems a sort of way to achieve a breakthrough in the event not within the control of human power: Is it another survival for theatre to keep practicing or is it a experiment of new theatric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