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

        양옥식,최성곤,최준균,Yang, Ok-Sik,Choi, Seong-Gon,Choi, Jun-Kyu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12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연결과 QoS 지원을 위해 네트웍 기반의 Low Latency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주 기능은 서버와 단말로 구성되며, 서버는 네트웍의 상황과 사용자의 선호도들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최선의 타겟 네트웍을 미리 평가하고 결정하여 두며, 단말은 서버에 의해 결정된 무선망과 링크 연결 뿐만 아니라 CoA로 사용할 IP 주소를 미리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유선망에서 예고없이 연결이 해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오버가 요구되면 서버는 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층의 핸드오버 트리거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받은 서버는 직접 게이트웨이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proposes low latency handover procedure for seamless connectivity and QoS support between wired (e.g. Ethernet) and wireless (e.g. WLAN, WiBro(802.16-compatible), CDMA) networks by the mobile-assisted and server-initiated handover strategy. It is assumed that the server decides the best target network considering network status and user preferences. In this procedure, a mobile terminal associates with the wireless link decided at the server in advance and receives CoA as well. When handover occurs without the prediction in wired networks, the server performs fast binding update using physical handover trigger through the 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 As a result, a mobile terminal does not need to perform L2 and L3 handover during handover so that this procedure decreases handover latency and loss.

      • KCI등재

        BcN 환경에서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

        양옥식,최성곤,최준균,Yang, Ok-Sik,Choi, Seong-Gon,Choi, Jun-K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6

        이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연결과 QoS 지원을 위해 Mobile-Assisted 및 Server-Initiated 핸드오버 방법을 이용하는 Low Latency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주 기능은 서버와 단말로 구성되며, 서버는 네트웍의 상황과 사용자의 선호도들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최선의 타겟 네트웍을 미리 평가하고 결정하여 두며, 단말은 서버에 의해 결정된 무선망과 링크 연결뿐만 아니라 CoA로 사용할 IP 주소를 미리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만약 유선망에서 예고없이 연결이 해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오버가 요구되면 서버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층의 핸드오버 트리거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받은 서버는 직접 게이트웨이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proposes low latency handover procedure for seamless connectivity and QoS support between wired (e.g. Ethernet) and wireless (e.g. WLAN, WiBro(802.16-compatible), CDMA) networks by the mobile-assisted and server-initiated handover strategy. It is assumed that the server decides the best target network considering network status and user preferences. In this algorithm a mobile terminal associates with the wireless link decided at the server In advance and receives CoA as well. When handover occurs without the prediction in wired networks, the server performs fast binding update using physical handover trigger through the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 As a result, a mobile terminal does not need to perform L2 and L3 handover during handover so that this procedure decreases handover latency and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