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쿵푸팬더> 캐릭터의 욕망과 두려움 분석

        양세혁 ( Sehyeok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드림웍스애니메이션社의 <쿵푸팬더>는 독보적인 캐릭터와 대중적인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크게 성공 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쿵푸팬더> 캐릭터의 욕망 과 두려움 설정에 주목했는데, 이것을 캐릭터성을 형성하는 복합요소로서 탐구한 선행연구는 아직 미 진한 것으로 파악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욕망과 두려움에 의해 모든 선택과 행동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삶이 이 두 가지 요소의 지배를 받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 한 관점에서 <쿵푸팬더>의 캐릭터라이징 전략은 ``욕망+두려움``이라는 다차원적 요소를 적용하여 보다 유동적이며 입체적으로 캐릭터성을 강화하고, 성장담을 보다 완전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과 적으로 행동의 방향, 갈등의 발생, 사건의 연쇄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하면서 서사구조 형성의 완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쿵푸팬더>는 팬더 캐릭터의 스타성이 너무 월등해서 마치 원맨쇼처럼 느껴진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것을 욕망과 두려움 설정을 통해 주요 캐릭 터들의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보완하는 전략은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Kungfu Panda> by DreamWorks Animation was a highly successful movie based on a public narrative structure along with an original character. This stud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re and dread of the <Kungfu Panda> character, and it is supposed that previous research into the formation of them as complicated factors that form a character trait has not been satisfactory. In general, humans determine the direction of all their selection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desires and dreads; thus, life is assumed to be ruled by these two factors.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zing strategy of <Kungfu Panda> reinforces a character trait more flexibly in solid through the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factors, namely ``desire + dread``, and further completes a growth story. This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completion of the formation of a narrative structure while consequently serving as a cause for the direction of behavior, the occurrence of conflict, and serial incidents. <Kungfu Panda> has a limitation in that it may look like a one-man show owing to the very brilliant star quality of the panda character. It would be very useful to prepare a strategy to complement the identity of main characters in-dep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desire and dread.

      • KCI등재후보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 캐릭터의 정신역동적 성장 구조 - 욕망 왜곡의 변인으로서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

        양세혁 ( Sehyeok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4

        본 연구는 중심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통한 성장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쇄적인 심리 변화의 인과관계를 정신역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정신역동은 무의식적 동기나 의도에 의한 역학적인 투쟁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적 갈등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무의식적 상호작용에 의해 타협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작용하는 것이 ‘자아방어기제’이다. 이것의 원시적 속성은 두려움을 야기하는 현실의 문제를 왜곡함으로써 회피하거나 적응하려하는 자기기만적 대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어기제가 캐릭터의 근원적 욕망을 왜곡시키는 변인으로 작용하며, 캐릭터의 ‘성장’ 여부를 결정하는 정신역동 과정의 핵심이라는데 주목했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자아정체감 회복의 전형적 성장담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세 작품을 선택했다. 성장과 성장 실패의 대조로써 논리를 검증할 수 있도록‘주동’, ‘반동’ 캐릭터를 각각 하나 씩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방어기제 유형의 특성을 분석의 기준으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캐릭터의 정신역동은 ① 내재된 결핍에 의해 두려움이 발생하고, ② 방어기제의 작용에 의해 욕망이 왜곡되며, ③ 두려움의 극복을 통해 왜곡되었던 욕망이 회복되는 과정을 거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여, 정신역동적 성장의 구조란 원시적이고 미숙한 방어기제로부터 성숙한 사용으로의 전환을 통해, 스스로의 결핍을 직시하고 포용함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욕망과 연결시키려는 노력의 과정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내면적 변인을 분석하려는 시도의 난점은 캐릭터는 실체적 인간을 온전히 포괄할 수 없다는 점과, 작품 속 대사와 연기라는 정보의 한계였다. 이에, 관련된 타 학문과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보완할 수 있기를 제안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successive psych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growth through the internal conflicts of main characters in the aspects of psychodynamics. Psychodynamics refers to dynamic struggle resulted from unconscious motivation or intention. To protect oneself from that internal conflict, on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through unconscious interaction, and what works at this time is ‘self-defense mechanism’. The primitive attribute of this is self-deceptive coping to avoid problems in reality causing fear by distorting it or adjust oneself to i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defense mechanism works as a variable to distort the character’s ultimate desire and is the core process of psychodynamics to determine the character’s ‘growth’. For the research, first, this author selected three animation works containing the typical stories of growth to recover self-identity. To verify the logic with contrast between growth and growth failure, this researcher chose one ‘leading’ and one ‘reactionary’ character.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mechanism types were used as the criteria of analysis. Through thi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characters’ psychodynamics, ① fear arises due to their internalized deficit, ② their desire gets distorted by the functions of defense mechanism, and ③ their distorted desire gets to be recovered through overcoming fear. To sum up, this researcher has concluded that the structure of psychodynamic growth is the process of endeavoring to convert primitive and immature defense mechanism into mature one to look squarely at and embrace their own deficits and link it with their own ultimate desire. Lastly, it was hard to analyze the internal variables of those animation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could not manifest substantial humans holistically and all the information collected was lines in the works and their acting. Therefore, this author intends to end this research suggesting you to complement it afterwards through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 sciences.

      • KCI등재후보

        은유와 모순의 의미작용에 의한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 -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양세혁 ( Yang Sehye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 구성의 인과관계가 내적 결핍과 사건의 은유 작용에서 비롯된다는 관점에서 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아이러니는 외관과 현실이라는 두 의미차원 간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외관은 캐릭터에 대한 피상적인 인식 수준이며, 현실은 캐릭터의 선택으로 드러나는 실제적 진실을 말한다. 이러한 의미차원 간에 괴리가 발생하면 캐릭터는 딜레마에 빠져 갈등을 겪고 극적 긴장감은 고조된다. 이렇듯 아이러니는 인간 삶의 부조리를 다양하게 함의함으로써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캐릭터와 플롯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해내는 미국의 장편애니메이션 중에서 대표적 제작사인 디즈니, 픽사, 드림웍스의 작품을 선택하여 아이러니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캐릭터 아이러니는 ①`결핍`이 제시되고 ② 이를 `사건`이 압박하면서 ③`외관`에 모순되는 ④`현실`이 드러남으로써 구축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변인은 의미차원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따라 두 개의 대립항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즉, ①우연히 발생한 사건과 내재된 결핍이 의미차원에서 서로 일치하며 마치 결핍의 데 자뷔처럼 작용하는 `은유 작용`, ②외관과 현실의 의미차원이 서로 괴리되는 `모순 작용`이 그것이다. 은유 작용은 결핍을 함축하며 캐릭터의 핵심적 강박의식을 드러내고, 모순 작용은 아이러니 그 자체로서 캐릭터의 성장을 위한 핵심가치를 암시함과 동시에 주제의식을 전달하는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를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캐릭터 아이러니 구조를 심리 역동에 의한 의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작품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검증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초석으로서 본 연구가 향후 캐릭터라이징 분야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spective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of character irony stems from the metaphorical effect of inner deficiency and events and it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Irony refers to the discord between the two levels of meaning, appearance and reality. Appearance is the superficial recognition of characters and reality is the real truth revealed by the choice of characters.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se two, the characters are caught in dilemma and the dramatic tension increases. Irony implies the absurdity of human life in various ways and elicits sympathy of the audience so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setting characters and plot. So this study selected Disney, Pixar, and Dream Works, the representative American feature-length animation producers that depict character irony briefly and clearly, and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ron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character irony is formed through a process through which ① `deficiency` is presented, ②`events` put pressure on it, and ④`reality`, which is contradictory to ③`appearance`, is revealed. Also, the four variables could be structured as two opposite pairs according to the concord or discord in the dimension of meaning. That means ①`metaphorical effect` that accidental events and inner deficiency concord in the dimension of meaning and serve as deja vu of deficiency, and ②`contradictory effect` that the level of meaning of appearance and that of reality have a gap. Metaphorical effect implies deficiency and reveals the core obsession of characters, while contradictory effect is irony itself and implies the core value for the growth of characters and deduces the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that conveys the sense of subject. It is believed that studie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cation by psychological dynamics are in the initial stage. So there should be process to accumulate data of various works and verify and supplement them. As a stepping stone for such a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ignificant data in the area of characterizing.

      • KCI등재후보

        만화애니메이션의 창의적 표현과 실무 테크닉에 대한 효율적 병행교육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팀티칭 실습교과목을 중심으로-

        김일태 ( Iltae Kim ),양세혁 ( Sehyeok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대학에 만화애니메이션관련 학과가 개설된 후 15여년이 지난 오늘날, 산업현장과 교육기관에서는 현장에 부합하는 실무중심의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기술산 업분야에 대한 현장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교육은 아직도 다소의 괴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주지역 만화 와 애니메이션학과 학생의 현황, 만화애니메이션에 대한 산업체와 현장 실무자의 의견, 이론과 실습의 균형, 국내외 만화애니메이션관련학과의 교육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한 결과 창의적 표현과 현장실무테크닉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 이상적임을 파악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교육방법으로 ``팀티칭 교육과정`` 을 도출하게 되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demand of strengthening practice-oriented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actual fields in industrie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15 years after the opening of the departments of cartoons & animation at universities. However, despite such a demand for culture & technology industry fields, there have still been some gaps between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demand.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cartoons and students from the departments of animation in Gwangju area, the opinions of working level staff from industries for cartoon animation, the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domestic and foreign cartoon animation related departments. As a result, it found out that the educational methods of combining creative expression with on-site hands-on techniques were ideal and ``Team teaching educational curriculum`` was drawn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거울대칭 구조로 성격화된 현실과 반현실의 공간 - 영화 <조커>(2019) 분석을 중심으로 -

        류범열 ( Ryu Beomyeol ),양세혁 ( Yang Sehye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공간은 중요한 창작의 영역으로서 서사의 흐름과 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반영하도록 성격화되어 작품의 주제 의식을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이미지를 온전히 창작해야 하는 애니메이션의 경우, 모든 과정이 창작자의 완전한 통제에 놓이기 때문에 모든 공간이 특정한 성격을 가지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는 영화 <조커>의 공간이 마치 애니메이션처럼 치밀하게 통제하여 성격화된 점에 주목했다. 즉 데칼코마니처럼 좌우대칭 샷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공간의 깊이감이 강조된 점 등 일련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전체 공간 구성의 패턴은 무엇인가?’, ‘프로타고니스트 아서의 내적 갈등을 반영하기 위한 공간의 성격화 전략은 무엇인가?’ 라는 의문을 토대로 <조커>를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은 각 샷의 공간 전사본을 만들어 비선형적 재배치를 반복함으로써 낯선 시각으로 그 특징을 관찰하는 것에서 시작했다. 그 결과, 1) 공간 구성의 패턴은: ① 미드포인트를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의 수많은 샷이 전후가 반전되는 거울대칭처럼 아서와 조커의 상황으로서 각각 대척점에서 일치한다. ② 많은 좌우대칭 샷들은 거울대칭적으로 반사된 이미지로써 영화 전체의 거대한 거울대칭 구조를 구축하기 위하여 하나씩 적층된 것으로 여겨진다. 2) 공간의 전략은: ① 타자의 주관으로 규정된 아서의 현실 공간과, ② 조커의 주관으로 규정되어 현실에 대한 대척적 일치를 보이는 반현실 공간, ③ 가족해체의 비극이 거울 경계면으로 기능하는 공간으로 구분함으로써 거울대칭 구조로 성격화됨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의 한계는, 아서에서 조커로 전환되는 내면의 극적인 변화가 외부의 공간으로 투사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영화 속 제한된 정보만으로는 아서의 망상이 공간의 성격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검증하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후속 연구나 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films and animations, space is an important area of creation and has a character that reflects the flow of narrative and inner conflict of characters, contributing to reinforcing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 work.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imation, in which an image must be completely created, all spaces tend to have a specific character because the creator controls all the processes. This study noted that the spaces on the film < Joker > was carefully controlled and characterized like an animation. In other words, a series of features could be found, such as the high frequency of symmetric shots like Décalcomanie, and the emphasis on the depth of spa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ilm < Joker > based on the questions of ‘What are the patterns of the entire spatial composition?’, and ‘What are the strategies for characterizing space to reflect the inner conflict of the protagonist Arthur?’ The analysis began with observing the features from an unfamiliar perspective by repeating the nonlinear rearrangement by making transcriptions of each shot's space. 1) It could be seen that the patterns of spatial composition are: ① based on the midpoint, numerous shots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show the antipodal-congruence like a mirror-symmetry that reverses the front and rear like the situation of Arthur and Joker, ② Many symmetric shots are mirror-symmetrically reflected images, and are considered to be stacked one by one to build a huge mirror-symmetric structure throughout the film. 2) the strategies of space are: ① the real space of Arthur, defined by the subjectivity of the other, ② the anti-real space, which is defined by the subjectivity of the Joker, showing an antipodal-congruence with the reality, and ③ the tragedy of family dissolution is divided into a space that functions as a mirror boundary. As a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was characterized as a mirror-symmetric structu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verify the effect of Arthur's delusion on the characterization of space with only limited informations in the film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dramatic change of the inner being transformed from Arthur to Joker is projected onto spaces. This study awakened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solve the problems, and is expected to be an idea for follow-up research or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 KCI등재

        내사된 욕망을 반영하는 깨진 거울의 공간 - 영화 〈블랙 스완〉(2010)의 분석을 중심으로 -

        류범열 ( Ryu Beomyeol ),양세혁 ( Yang Sehye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1

        본 연구는 ‘내사된 욕망으로 성격화된 공간’ 주제의 후속 연구로서 영화 <블랙 스완>이 ‘깨진 거울 반영’으로 공간의 성격을 구축한 점에 주목했다. 높은 빈도로 묘사되는 거울들과 파편화된 반영의 양상이 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은유한다는 가정을 통해, ‘공간의 패턴’과 ‘프로타고니스트의 정신 역동을 공간으로 성격화한 전략’을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선형적으로 관찰되는 거울 반영의 특징을 주요 캐릭터들의 욕망이 교차하는 지점과 연결하여,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공간의 패턴은: ① 다양한 거울, 유리창, 그림, 환시 등에 의해 파편화되거나 일그러진, 마치 깨진 거울을 통해 반사된 세상을 보는듯한 관점을 제시했다. ② 깨진 거울의 반영 이미지는 주로 물리적 거울에 의한 반사로부터 점진적으로 환시와 같은 심리적 반사로 그 묘사의 양상이 변화했다. 2) 성격화 전략은: ① 프로타고니스트 니나의 엄마와 소속 발레단 단장의 서로 대척적인 욕망이 그녀에게 내사되는 공간 즉, 에리카의 공간과 르로이의 공간을 타자의 욕망에 지배당하는 깨진 거울의 반영 공간으로 구조화했다. ② 두 공간은 각각 침실과 수석무용수 분장실인 니나만의 하위 공간마저도 니나의 내적 은밀함을 전혀 보존하지 않는 완전한 ‘안티 돔’으로 작용한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블랙스완>은 깨진 거울 반영으로 성격화된 공간을 통해 프로타고니스트의 왜곡된 시점을 제공함으로써, 니나가 내사에 의해 스스로를 덫에 가둔 현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으며, 내사의 인지를 통해 대척점에서 서로 충돌하며 그녀를 억압하던 외부의 환경이 객관화됨을 암시한다는 것이다. 즉, 니나가 복부에 박힌 깨진 거울 조각을 꺼내는 은유적인 행위를 통해 그녀가 비로소 타자의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정신 역동의 과정을 성격화된 공간의 전략에 의하여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 Black Swan >(film 2010), as a follow- up study on the subject of ‘The Characterized Space by Introjected Desire’, built the characterized space by ‘reflection of shattered mirror’. Through the assumption that numerous mirrors and fragmented reflections depicted in high frequency are metaphors for the character's psychodynamic, the study tried to analyze ‘the pattern of characterized space’ and ‘the strategy of characterizing the psychodynamic of the protagonist as a space’. First, by connec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mirror reflections observed linearly with the point where the desires of the main characters intersect, the meaning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ttern of the characterized space was: ① It present a perspective as if seeing the world reflected in shattered mirror by creating fragmented or distorted images through various mirrors, windows, paintings and hallucinations. ② The reflection images of the shattered mirror is gradually replaced from the description of reflection mainly by physical mirrors to the description of psychological reflection such as hallucinations. 2) The strategy of the characterized space was: ① The spaces where Protagonist Nina's mother and the head of her ballet company's opposing desires are introjected to her, that is, Erica's space and Leroy's space were structured as the reflection space of shattered mirror dominated by the desires of others. ② Both spaces each contained the subspaces for Nina such as a bedroom and a principal’s dressing room, but her inner covertness was not preserved at all.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Black Swan > provided a distorted perspective of the protagonist through the characterized spaces by reflection of sahttered mirror. In this way, it visually expressed the phenomenon that Nina trapped herself by the introjection, and implies that the environment that oppressed her by clashing against each other at the opposite point was objectified through cognition of the introjec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metaphorical act of Nina pulling out the shattered mirror piece stuck in her abdomen, she was finally freed from the desires of the others, and that this process of psychodynamic was reinforced by the strategy of the characterize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