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와의 관계에서 교사 자긍심의 매개 효과 분석

        안지혜 ( Ahn¸ Jeehye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교사 자긍심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본 설문조사에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서울과 경기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현직유아교사 254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 교사 자긍심은 양호한 수준이며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및 근무시간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 교사 자긍심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자기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자긍심이 이들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 자율성, 전문성과 관련하여 오늘날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임파워먼트가 어떻게 교사의 자기개발 욕구로 이어지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서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교사 자긍심의 가치를 입증하였다는 것이다. 본 결과를 토대로 우리사회에서 교사 자긍심을 향상시킬수 있는 근무여건 개선 및 교육의 대상자가 아닌 학습공동체의 주체로서 교사교육의 방향 전환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ediated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s a variable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self-development desire. Subjects to be studied were 254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 for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ho would like to voluntarily take part in this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self-development desire, and self-esteem were observed to be good and a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s they work for and how long they work.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self-development desire, and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was observe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self-development desi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swers how the empowerment, to which growing attention being paid today, leads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evelopment desire and that it proved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in terms of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s that would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nd switching teacher education strategies as the main agent of learning community are proposed.

      •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해가는 돌봄의 의미

        안지혜(JeeHye Ahn)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2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보는 돌봄은 어떠한지 드러내고 그들이 구성해가는 돌봄의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예비보육교사들이 돌봄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작성한 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해가는 돌봄의 의미는 ‘감정적 접근에서 포괄적 이해를 포함하는 돌봄’, ‘일방적인 돌봄에서 관계 안에서 얽힘으로의 돌봄’, ‘사회적 약자로서의 돌봄대상자에서 모든 것이 돌봄의 대상인 돌봄’, ‘보호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닌 돌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돌봄을 이해함에 있어 돌보는 자와 돌봄을 당하는 자, 돌봄과 교육 등의 여전히 존재하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고, 돌봄의 주체로서 보육교사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그들의 자기돌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돌봄은 더 이상 여성의 일이 아니라고 할 때 남자보육교사의 자연스러운 유입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돌봄의 주체에 대한 논의에서 소외되어졌던 예비보육교사에 주목하여 그들의 관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교사양성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journals written b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what the meaning of caring constituted b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caring is ‘Caring that includ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rom an emotional approach’, ‘Caring from one-sided care to entanglement in relationships’, ‘Caring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caring for everything’, and ‘Caring with educational value from prote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still-existing dichotomous thinking, such as carers and being cared for, and care and education. Beyond understanding childcare teachers as the subject of caring, we looked at the need for self-care. It was also discussed that male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flow into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ho have been neglected in the discussion on the subject of car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mpos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공정성, 유아권리인식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공정성, 유아권리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 및 전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측정모형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공정성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에 의한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공정성, 유아권리인식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는 공정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의 공정성은 유아권리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정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권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이 중요해지는 오늘날, 예비유아교사의 공정성이 유아권리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임을 입증하고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윤리적 자질로서 공정성의 가치를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공정성의 내용이 포함된 유아권리인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fairness, and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airness in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life satisfaction on children s rights percep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62 pre-school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yeonggi and Jeonnam.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fair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Second, lif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irness, and no effect was found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It was found that the fair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fairnes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life satisfaction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at the fair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 is a determining factor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and illuminates the value of fairness as an ethical quality that an early childhood teacher must poss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including fairness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코로나19를 살아내는 유아의 삶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살아내는 유아의 삶을 들여다보고 유아가 체험한 현상 속에 담겨진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코로나 시기에 어린이집 재원 중인 유아들과 이들의 생각을 지근거리에서 읽어낼 수 있는 교사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교사 2인과의 심층면담 자료, 유아들의 이야기와 그림표상 자료를 수집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 코로나 상황에서 유아가 체험한 내용과 그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첫째, 체험된 시간으로는 ‘달라진 일상’, ‘낯선 것이 적응되어지는 시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드러났고, 둘째, 체험된 공간으로는 ‘경계지워진 공간’, ‘마주봄이 아니라 나란히나란히’, ‘어린이집은 하나의 탈출구’로 드러났다. 셋째, 체험된 감각으로는 ‘나의 일부가 된 마스크’, ‘심리적 방역이 필요해’이며, 마지막으로 체험된 관계로는 ‘관계의 단절’, ‘예민해진 부모’, ‘다시 돌아보게 되는 가정의 역할’, ‘새로운 기회’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자칫 간과되기 쉬운 유아의 삶을 주목하고 유아의 코로나 19 체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코로나 19를 통해 드러난 유아의 유능함과 우리사회 돌봄 가치의 현주소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이후에도 유아 삶의 변화 양상에 주목할 것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ives of young children surviving COVID-19 and specify and comprehend the essence conveyed in the phenomena they have experienced. Methods For the purpose, I selected young children who a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despite COVID-19 and two teachers who can read their minds. I collected resour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 s stories and images for a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COVID-19 and the significance, I ha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lived time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daily life’, ‘adaptation to unfamiliar things’, and ‘unpredicted situations’. Second, lived space can be classified into ‘borderless spaces’, ‘side-by-side, not face-to-face’, and ‘child care is an escape exit’. Third, lived body is ‘mask is a part of me now’ and ‘I need psychological quarantine.’ Last, lived relationship is ‘isolation of relationships’, ‘sensitive parents’, ‘redefinition of role of family’, and ‘new opportunitie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current study is that it focused o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that may easily be overlooked in the pandemic situation and examined the essential meaning of young children s experience with COVID-19 on the in-depth level. I discussed the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revealed through COVID-19 and the current value of care in the Korean society and suggested further studies on the change of lives of young children after COVID-19.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방성옥(Bang, SungOk),안지혜(Ahn, JeeHye)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1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소진, 조직몰입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지역의 보육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 특성과 각 변인 간 관계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내면적 행동은 조직몰입의 모든 하위요인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는 조직몰입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소진 하위요인 중 성취감 감소는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소진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한 개인적 차원의 지원과 근무환경 개선 등의 사회적 차원의 지원을 통해 조직몰입을 꾀하고 조직몰입을 위한 현실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ing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358 childcare teachers in the area of J. The data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were based on the SPSS WIN 25.0 program,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measure influen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ner behavior,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teacher s emotional labor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ordinat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tional burn-out and dehumaniza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hildcare teacher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ubrodinat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duction of accomplishment, which is subordinate factor of psychological burn-ou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mmersion and normative immers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 showed significant affect on organization immersion. These research results, as the basic information, supports to find practical measurement for organizational immersion through the personal level support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 and the social level supports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최하나(HaNa Choi),안지혜(JeeHye Ahn)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2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명의식, 회복탄력성, 심리적소진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 지역의 보육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특성과 각 변인 간 관계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은 심리적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회복탄력성 또한 심리적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은 심리적소진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을 증진시켜 심리적소진을 감소를 위한 개인적 차원의 노력과 사회적 차원의 지원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resili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218 childcare teachers in the area of J.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PSS WIN 2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call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resilience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posi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calling and resilience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seek individual efforts and social support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