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노년기 성인들의 컴퓨터 게임이용과 심리사회적 발달 관계에 대한 연구

        안정신(An, Jeong-Shi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3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들의 컴퓨터 게임이용 현황과 심리사회적 발달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 경남 지역에 사는 50세 이상의 중노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이 이용과 자기존중감, 생성감, 심리적 복지감, 자녀관계, 그리고 손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중노년기 성인들은 다양한 게임의 매력을 느끼고 게임이용이 삶의 다양한 영역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여 게임이용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성인들은 이용하지 않는 성인들에 비해 더 높은 자기존중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게임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자녀관계와 손자녀관계가 좋고, 생성감도 높으며, 심리적 복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여가활용의 일환으로 컴퓨터 게임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시사점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game use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in mid-to later adulthood, this study included 486 adults over 50 years old with computer game use, self-esteem, genera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grandchildren. Results showed that the adults in mid to later adulthood using computer game reported diverse attractiv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game and game helped their daily life in diverse dimensions. Second, the adults using computer game reported higher self-esteem than the one not using it. Finally, the adults who perceived the computer game more positive reported better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grandchildren, higher generativity, and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eveloping of adult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 game as a way of recre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취업모의 양가감정과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다중역할 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안정신 ( Jeong Shin An ),최명애 ( Myeong Ae Choe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f Korean working mothers for children and their future desire for child birth. This study examined multiple-role effica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for their children and future desire for child birth by Korean working mothers having more than one pre-school aged chil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ple-rol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and desire for child birth by working mothers. On-line and off-line survey data from 291 Korean working mothers with more than one pre-school aged child was used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by AMOS 20.0 program. Results showed that ambivalence for children of working mothers having pre-school aged children had no direct influence on future child birth desire. However, their ambivalence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future child birth desire through multiple-role efficacy and multiple-role efficacy by working mothers had significant effect on child birth desire. In conclusion, the working mothers’ multiple-role efficacy had a mediatio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for children and desire of child birth.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r designing a policy to counter low birth.

      • KCI등재
      • KCI등재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안정신(An, Jeong-Shin)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2

        본 연구는 18세 이상의 자녀를 둔 1,882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전생애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인기의 발달, 그리고 중노년기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심리사회 발달적 관점과 생애과정 발달적 관점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회상된 성인기 이전 부모자녀관계가 성인기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성인기 전후의 경험들이 중노년기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성인기 이전에 부모로부터 호의적인 양육을 받았다고 회상할수록 성인기에 더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갖고, 생산감도 더 많이 발달되며, 중노년기의 심리적 복지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기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생산감이 많이 발달하였고 심리적 복지감도 높았다. 마지막으로, 생산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복지감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이전에 부모로부터 받았다고 회상하는 양육방식이 중년기 이후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인기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따라서 성인기 이전의 부모로부터 호의적인 양육을 받지 못했어도 성인기에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거나 높은 생산감을 발전시킨 경우는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성인기 이전 경험들이 지속적으로 성인기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주며 그 영향력이 현재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는 성인기 경험들에 의해 변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adulthood, and individual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to later lif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1,882 parent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over 18 years old. Findings indicated that receiving more affectionate parenting in childhood was associated with greater generativity development, more positive parental experiences with one's own children, and better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 to later adulthood. In addition, the effects of received parenting in childhood on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midlife were partially mediated by parental experiences with adult children and generativity develop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experiences with parents in childhood continuously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hood through their impact on concurrent family experiences. However, early influences can be redirected through adult experiences too.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omoting volunteer work for older adults, as well as for practitioners who work with families and individuals who are having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지혜와 가족관계, 생성감 및 자아통합감의 관계

        김다희(Kim, Da Hee),안정신(An, Jeong Shin)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지혜, 자아통합감, 생성감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노인이 지혜를 획득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동시에 연구변인들에 대한 배우자관계 및 자녀관계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및 경남지역의 노인복지관과 종교시설 이용자 중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350명이다. 연구결과는 노인의 생성감이 자아통합감에, 자아통합감이 지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배우자관계와 자녀관계는 생성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노인의 배우자관계와 자녀관계는 지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녀관계는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하여 지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배우자관계는 자아통합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자녀관계는 생성감을 매개로 하여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노년기 지혜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직간접적인 영향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만족스럽고 평안한 삶에 대한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a spouse and children, a generativity, and an ego-integrity on wisdom of the Korean elderly. The subjects were 350 elderly people of over 60 years of age in Busan and Gyeongnam are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tiv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ego-integrity and the ego-integrity had an effect on wisdom directly. Also, the spouse relationship had an effect on the generativity directly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ffected on both the generativity and the ego-integrity directly. Second, the relationships with both spouse and children had an effect on wisdom indirectly through the generativity and the ego-integrity. Also, the spouse relationship had indirect influence on the ego-integrity indirectly through the generativi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had an effect on the ego-integrity indirectly through the generatvity. The results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direct and indirect influential factors to be of help to wisdom development and the implications about satisfying and comfortable life of elderl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