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가정 양립제도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은정(Eunjung Ahn),신은종(Eunjong Sh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0 産業關係硏究 Vol.20 No.4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증가하면서 일-가정 갈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가정 갈등의 심화는 이직률 증가, 직무불만족 등을 초래해 기업의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모성보호 강화나 유연근무제도의 도입 등 일-가정 양립제도를 통해 기업의 성과를 제고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는 일-가정 양립제도가 기업의 재무성과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조사한 「여성인력패널조사」를 활용했다. 실증 결과는 다양한 의의와 시사점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일-가정 양립제도는 기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분석됐다. 이는 일-가정 양립제도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함으로써 기업의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기업은 규범적으로는 일-가정 양립제도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실제로는 관련 제도의 도입이나 확대에 다소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둘째, 이 연구는 분석의 차원을 개별제도, 모성보호제도 및 유연근무제도 등 부문 번들, 전체 시스템 차원의 분석 등 세 차원으로 구성함으로써 일-가정 양립제도에 대한 보다 체계적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개별 제도차원의 분석에서는 생리휴가제도, 가족간호휴가제도, 보육비지원제도가 기업의 재무성과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생리휴가제도와 보육비지원제도는 여성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재택근무제도는 매출액 증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는 재택근무가 일과 가정의 영역을 모호하게 하여 오히려 일-가정 갈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모성보호제도 및 유연근무제도의 번들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성보호제도는 매출액 증가와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유연근무제도는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가정 양립제도의 범주에 있다 하더라도 성격에 따라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는 만큼 기업은 제도의 설계 및 도입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차원에서의 분석은 기업 단위에서의 일-가정 양립제도의 도입 수준이 높아질수록 매출액 증가와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노동조합은 모성보호제도 및 유연근무제도에 있어 서로 다른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 모성보호제도의 경우에는 노동조합원일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는 반면, 유연근무제도의 경우에는 이직의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노동조합의 경우 모성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반면, 유연근무제도는 노동조합의 응집력을 약화시키거나 초과근로 가중 등 노동강도를 강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노동조합은 다소 부정적 입장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조합원은 비조합원에 비해 유연근무제도를 더욱 꺼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교사-부모의 인식 연구

        구수연(Gu Suyeon),안은정(Ahn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동안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 방안 모색을 위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이해와 참여 실태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영아의 적응과정에서 갖는 부모와 교사의 어려움, 부모와 교사의 요구사항을 조사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부모용 설문지는 30문항, 교사용 설문지는 2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영아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는 부모 114명과 영아반 교사 177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통계 분석되었 다. 조사된 자료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부모-교사 협력 방안의 체계적·장 기적 구성의 필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과 특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협력적 정보 공유, 가정의 형편을 고려한 교실 참여 시간 조절,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영아의 적응 정보 지원의 필요로 협력적 관계 형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to help infants and toddlers’ adaptation to childcare center to enhance the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during adaptation period in childcare center. This study had 4 questions about parents’ perception of adaptation program for their children and actual condition of parents’ participating adaptation program,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parents and teachers to help infants and toddlers’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The questionaries were included 30 questions for parents, and 22 questions and distributed to 177 childcare teachers and 114 parents. The suggestions were described based on results and discussions. The suggestions are; First, the systematic long-term plans are needed to build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econd, teachers and parents can shar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about adaptation to childcare center during adaptation period. Third, the classroom participation time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family conditions. Fourth,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s adaptation can be sent to parents by on-off line.

      • KCI등재후보

        하시모토갑상선염 동반여부에 따른 갑상선전절제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의 특징 분석

        이동명,김은영,정일용,김성엽,안은정,박종민,박세혁,윤여규,Dongmyung Lee,Eunyoung Kim,Ilyong Chung,Seongyup Kim,Eunjung Ahn,Jong-min Park,Seihyeog Park,Yeo-Kyu Youn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4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4 No.4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hypoparathyroidism in patients with Hashimoto thyroiditis (HT) after total thyroidectomy are not well establish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parathyroidism and loss of parathyroid glands in patients with or without HT who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HT (n=166) and without HT (n=526).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ean numbers of parathyroid glands in specimens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with HT group than in the without HT group (0.34±0.51 vs. 0.42±0.58, P=0.003). The rate of transient hypoparathyroidis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ith HT group than in the without HT group (51.8% vs. 34.6%, P=0.000). Serum total calcium levels in patients who experienced transient hypoparathyroidis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P=0.335). The incidence of transient hypoparathyroidism of patients who preserved all four parathyroid glands or sacrificed one parathyroid gland was higher in the with HT group than in the without HT group, although that of patients who sacrificed two or more parathyroid glands was similar between groups. The incidence of permanent hypoparathyroidism i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P=0.546). Conclusion: Patients with HT had a higher rate of transient hypoparathyroidism after total thyroidectomy, particularly patients who preserved all four or three parathyroid glands. It is likely that the blood supply to the parathyroid gland might be vulnerable in patients with HT. Therefore, even though all parathyroid glands were preserved, careful monitoring of hypoparathyroidism is necessary after total 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