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거대한 간 종괴로 재발한 저 위험도 위장관 간질 종양 1예

        허태윤 ( Tae Yun Heo ),안영용 ( Young Yong Ahn ),이정화 ( Jung Hwa Lee ),이승우 ( Seung Woo Lee ),김연수 ( Yeon Soo Kim ),강상범 ( Sang Bum Kang ),이동수 ( Dong Soo Lee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2

        위장관 간질종양(GIST)은 저 위험군의 경우 재발은 극히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8년 전 위의 저 위험도 간질종양을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간우엽 전체를 차지하는 거대한 간 종괴로 내원하여 간에 국한된 위장관 간질 종양의 재발을 진단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위장관 간질 종양의 재발환자는 그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첫 진단 당시 저위험군 환자라 하더라도 근치적 절제술 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을 필요로 한다.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are rare mesenchymal tumors that express c-kit. The majority of GISTs are located in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The tumors are classified into very-low-risk, low-risk, intermediate-risk, and high-risk categories based on size and mitosis activity. The recurrence of low-risk GIST is extremely rare. We report a hepatic recurrence of a low-risk gastric GIST that had been removed completely 8 years earlier, and presented as a huge hepatic mass. Since recurrent GIST has a poor prognosis, regular long-term follow-up must be considered, although the primary GIST was low risk. (Korean J Med 2011;80:203-207)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위장관 기질종양으로 오인된 거대 유경성 간세포암종 1예

        하동천 ( Dong Cheon Ha ),김보경 ( Bo Kyoung Kim ),김문성 ( Moon Sung Kim ),김가영 ( Ka Young Kim ),권기현 ( Ki Hyun Kwon ),안영용 ( Young Yong Ahn ),이동수 ( Dong Soo Lee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6

        유경성 간세포암종은 간세포암중에서 매우 드문 형태이다. 국내에서의 유경성 간세포암종의 증례 보고는 매우 드물었고, 대만과 일본 등의 증례가 소수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위저부 옆의 거대종괴에 대해 위장관 기질종양으로 의심하고 진단 겸 치료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던 경우로, 수술후 목이 없는 거대한 외성장 형태의 유경성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유경성 간세포암종은 일반적 간세포암종에 비해 절제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빠른 성장을 보이기 때문에 빨리 진단을 하는 것이 예후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종괴가 간 이외의 위치에 있다고 하더라도, 초기 추정진단시 간세포암종의 가능성을 배제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Peduncu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P-HCC) can be defined as a carcinoma protruding from the liver with or without a pedicle. Cases of P-HCC showing extrahepatic growth are very rare. P-HCC constitutes 0.2-4.2% of all HCC cases in Japan and Taiwan, but few cases in Korea have been reported. A 67-year-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a 6-month history of epigastric discomfort. Examination identified an abdominal mass in the left upper quadrant,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huge mass adjacent to the fundus of the stomach. We diagnosed this mass as a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because of its size and site. However, postoperative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the mass was HCC. Here, we report this case and review the relevant medical literature. (Korean J Med 2011;81:764-768)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 중 발생한 피부 유육종증 1예

        권기현 ( Ki Hyun Kwon ),하동천 ( Dong Cheon Ha ),이정화 ( Jeong Hwa Lee ),허태윤 ( Tae Youn Heo ),안영용 ( Young Yong Ahn ),김연수 ( Yeon Soo Kim ),이동수 ( Dong Soo Lee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2S

        만성 C형 간염 환자 치료에 있어서 페그인터페론과 리바 비린을 병합하여 치료하는 것이 표준치료이다.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치료 후에 발생하는 부작용으로는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불면증, 탈모, 우울증, 빈혈 등이 있으며, 피부에 발생하는 부작용으로는 소양감과 피부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에 발생한 유육종증은 국내의 경우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페그인 터페론과 리바비린의 병합요법 중에 피부에 발생하였고, 자연 치유된 유육종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egylated interferon plus ribavirin is the standard treatment regimen in chronic hepatitis C. The main adverse events of pegylated interferon plus ribavirin combination therapy are bone marrow depression, alopecia, insomnia, and influenza-like symptoms.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f cutaneous sarcoidosis occurring during pegylated interferon alpha-2a and ribavirin therapy. Here, we report a case of cutaneous sarcoidosis induced by pegylated interferon alpha-2a and ribavirin during the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C. The patient`s sarcoidosis improved spontaneously after the treatment. (Korean J Med 2011;80:S117-S1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