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과 통일신학

        안연희 ( Youn Hee An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4 No.-

        지구촌을 강타한 코로나19 대유행은 접촉과 대면소통을 통한 기존의 사회생활과 문명의 패러다임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공동체(모임)와 의례 중심 종교의 위기와 변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코로나 팬데믹이 우리 사회 종교에 미친 영향과 종교의 대응에 대해 검토하고, 특히 국내 코로나 발발상황에서 더 난관에 처했던 한국 신종교의 코로나 이후 동향을 하늘부모님성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례 속에서 살펴보았다. 신자들의 초국적 이동과 활발한 교류로 글로벌 종교활동을 펼쳐왔던 가정연합에 코로나 상황은 내외적 타격일 수밖에 없었다. 코로나 방역을 위해 대면집회와 국경이나 지역 이동이 전격 금지 혹은 제한되었고, 국내 팬데믹 초기 한 신종교와 일부 개신교회가 집단감염과 대규모 확산의 진원지가 되면서 종교, 특히 신종교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분노가 양산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 위기 속에서 가정연합은 악화된 사회적 인식에 대응하는 한편 종교적 정체성과 신앙생활 이완에도 대처하고 국제적 종교행사 및 평화운동을 어떻게 지속할 것인가라는 이중 삼중의 과제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가정연합은 대규모현장집회를 중지하고 정규예배도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코로나 방역수칙과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천심원기도회와 새벽정성, 훈독가정예배의 확대 등을 통해 교회나 성지 등 구별된(거룩한) 공간에서 거행되던 주요 종교의식들이 가정에서 이루어지도록 지도하고 전세계 신자와 세계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온라인희망전진대회’의 적극적 개최 등 대면/비대면을 병행하며 온택트 종교의례와 활동을 도입하였다. 코로나 위기가 강요한 비대면 소통방식을 가정연합이 추구하는 신통일세계 실현운동확산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정연합의 코로나 상황 하의 온택트 종교활동은 여전히 기존의 대면활동을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형식에 더 가까우며, 진정한 쌍방향 소통에는 많은 제한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온라인종교모임과 활동을 임시방편으로만 여기지 않고 포스트코로나 시대 원 거리에 있는 신자들이 더 가깝게 함께 예배하고 소통하게 하며, 코로나극복과 지구촌 평화문제에 공감하는 세계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새로운 모델로 만들려는 흐름도 뚜렷하다. 가정연합의 온택트 종교활동과 가정예배 활성화, 코로나 위기극복을 위해 지구환경보호를 강조하는 희망전진대회의 메시지의 바탕에는 통일신학의 성스러운 가정관, 만물부모론, 가정교회사상 등이 있다. 팬데믹 시대 경험하고 있는 새로운 비대면 모임과 의례들이 미래 종교문화에 얼마나 영향을 주고 변화된 환경에 현실적 적합성을 가지며 동시에 창조적 비전을 보여주는 종교상을 창발하게 할지 아직 가늠하기 쉽지 않다. 분명한 것은 이러한 통일신학의 주제들이 포스트코로나 시대 더욱 유의미한 종교사상으로 향후 발전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andemic of Covid-19 limits and halts daily life around the world by containment for quarantine and social distancing, putting the paradigm of social life and civilization based on close contact and face-to-face communication to the test. Religion, without exception, faces serious challenges amid the Covid-19 situation. This paper discussed the impact and challenge of the Coronavirus Disease pandemic, which prevents the religious system from functioning normally, on various religions in our society, and the responses of religions, in chapters 1 and 2. Chapter 3 examines the response and recent trends of new religious denominations to Covid-19 pandemic crisis, which fac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andemic outbreak in Korea, focusing on a specific cas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FFWPU). FFWPU, a Korean new religion that has developed globally, has not only changed worship services to non-face-to-face worship in response to the crisis of the Pandemic where face-to-face religious activities are limited, as well as expanding online Cheonshimwon prayer meetings, early morning devotion, and Hundok(訓讀) family worship. On-tact religious rituals and activities are actively being introduced to enable pivotal religious rituals that were held in holy, separate places to be carried out at home, and to convert them online.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hosting of the Rally of Hope for the Realization of Heavenly Unified World, in which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participate online, is a remarkable on-tact activity of FFWPU. Underlying such new on-tact religious activities-home worship, and online Rally of Hope emphasizing the protec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to overcome the Corona crisis are the idea of holy family, home church, ‘nature as second parents’ in the Unification Theology. These themes of Unification Theology can be interpreted further in the future as meaningful religious ideas that will become more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특집논문 : “섹스 앤 더 시티”: 섹슈얼리티, 몸, 쾌락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 다시 읽기

        안연희 ( Youn Hee 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3 No.23

        아우구스티누스는 섹슈얼리티, 몸, 욕망, 쾌락에 대한 서구 그리스도교의 부정적이 고 억압적 전통의 원천으로 주로 비판을 받아 왔다. 그러나 후기 고대 엘리트들의 금욕주의 풍토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급진적이고 반사회적인 동정의 열정, 4세기 이후 요비 니아누스가 촉발시킨 금욕과 결혼의 영적 위계에 대한 논쟁, 펠라기우스/율리아누스 논쟁 등을 배경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들을 꼼꼼히 검토해보면, 상당히 다른 측면과 그의 유산의 복합성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적 작업은 그리스도교가 반사회적 소수 종교로부터 공인 이 후 주류 사회와 통합되기 시작한 4, 5세기를 배경으로 한다. 그리스도교의 금욕적 실천 에서 종말론적 열의와 강한 자유의 함축이 뒷전으로 밀려나고 영적 위계 문제를 통해 성스러움을 재편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보편적 교회의 질서를 구축하려는 과정이 전면에 대두되던 시대였다. 그런 상황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금욕적 이상과 결혼의 선함을 이분 법적으로 보는 당시 논쟁의 어느 한 편에 서지 않고, 개개인의 동정의 덕을 특권화하거 나결혼(의 섹슈얼리티)에 온전한 거룩함을 부여하기보다 구원의 은총을 독점한 보편 교회의 교권을 수호하는 방향으로 역설적인 중도의 신학을 전개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결혼의 유익함을 인정하지만 결혼의 섹슈얼리티를 결코 신비화 하지 않았으며, 결혼보다 동정의 영적 우위를 인정하지만 동정녀나 금욕 수도자조차 원 죄의 징후인 정욕으로부터 스스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하며 금욕의 특권화를 경계 했고, 정욕과 섹슈얼리티를 원죄와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규정하지만 결혼의 정욕과 육 체의 정욕을 구별하면서 죄에 물든 육체의 정욕과 다른 무죄한 정욕의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섹슈얼리티와 쾌락을 벗어야 할 죄의 몸에 할당하지만, 성차와 감각, 감정, 욕망을 가지며 섹슈얼리티의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는 부활의 몸에 대한 확고한 믿음은 섹슈얼리티와 몸, 쾌락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양가적 태도와 복합적 성격을 잘 보여 준다. 결론적으로 볼 때 아우구스티누스는 몸과 욕망, 감각, 감각적 쾌락 자체를 부정함 으로써 극복하려한 당대의 이원론적 금욕주의가 아니라, 그것을 죄와 구원의 역설적 거 점으로 보는 그리스도교 신학을 정초했다. 구원을 필요로 하는 인간실존을 영속적 죄의 식과 불안의 대상, 즉 죄의 몸으로 간주하여 부정적이고 억압적인 관점을 확립했지만, 구원의 비전 속에 온전한 기쁨, 진정한 쾌락과 함께 도래할 부활의 몸을 염원함으로써 섹슈얼리티와 몸, 쾌락의 존재론적 의미를 긍정하고 역설적으로 그리스도교 문화의 지 속적 관심사, 중요한 초점이 되게 한 복합적인 유산을 남겨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think about and revaluate the Augustinian legacy on sexuality, body and pleasure in christian west. Augustine has been widely blamed for his negative views about sexuality, body and pleasure, resulted from his doctrines of original sin. But re-reading Augustine` text concerning these topics will correct such a simple understanding and some misconceptions, and enable to delineate the outline of his complex influences on these issues. Given his historical context, or new currents and agenda of dominant church after Constantine`s revolution, his solution to, especially, the Jovinianist controversy can be estimated as a process to establish a theological foundation of catholic church by re-arranging the sacred and confirming spiritual hierarchy. He defended the spiritual, ecclesiastical authority of catholic church and its agents (such as bishops) rather than was alternatively on the side of either individual ascetics practicing ideal virginity ardently or major married Christians. First, Augustine never didn`t mystify marriage and sexuality in spite of defending the goodness of marriage theologically. Second he emphasized that even ascetic monks and consecrated holy virgins were never free from the struggles with concupiscentia, disregarding his agreement to spiritual superiority of holy virginity over the christian marriage. Third, he didn`t eliminate body, sensible pleasure and sexual differences in his vision of salvation, and moreover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nocent sexuality in resurrection bodies, while he made a constant connection of sexuality, carnal desire, pleasure with sinful body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 above his paradoxical arguments, we can infer that Augustine`s influences on sexuality, body, pleasure are very subtle and ambivalent. To sum up, Augustine chose an different way from the dualistic asceticism of his days which tried to overcome human physical existence such as body, sex, and sensible pleasure by denying them. Instead he established paradoxical theology affirming both sinful body and resurrection body as a human existence which should be saved in itself.

      • KCI등재

        유대교의 희생제의와 음식: 동물의 정결과 피의 금기를 중심으로

        안연희 ( An Youn He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이 글은 음식이 종교적 정체성의 강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는 유대교의 사례를 통해 삶의 근간이며 동시에 문화체계인 음식과 종교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레위기〉 등에 표현된 유대교 음식법(카슈루트)의 특징은 피에 대한 금기와 먹기에 적합한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을 구분하고 세세하게 규정한 것이다. 고대 유대교에서 그러한 음식법 준수는 야훼에 의해 구별된(거룩한) 집단이라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적합한(거룩한) 생활양식이었다. 이러한 음식법의 체계와 특징은 유대교 희생제의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희생제의는 고대 유대교에서 이스라엘 공동체와 그 신의 관계를 확증하는 가장 거룩한 행위로 여겨졌다. 따라서 희생제의와 관련된 제단, 지성소, 성전, 희생제물 등은 가장 거룩하고 성스러운 것이었고, 그 상징적 위상은 〈미쉬나〉가 보여주듯이 성전파괴와 실질적인 희생제의의 종말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유대교의 희생제의에서 번제, 화목제, 속죄제 등의 동물제사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흠 없는 정결한 것으로 선별된 희생 제물은 제의적으로 적절하게 도살한 후 그 피를 제단 둘레에 뿌린다. 특별히 속죄제에서는 사제가 그 피를 성소 안에 가져가 휘장에 뿌리고 분향단 뿔에 바른 뒤 제단 아래 쏟는다. 그 다음 절차는 피를 뺀 제물 전체를 불살라바치는 제사와 기름기와 내장 일부를 불살라 바치고 고기는 제사장과 제물을 드린 이들이 먹는 제사로 나뉜다. 유대교 희생제의에 작용하는 거룩함과 정결함, 부정의 위계 속에서, 피는 거룩함의 영역에 속하므로 금기의 대상이지만, 흥미롭게도 온전히 신적 영역에만 속하도록 불 살라 올려지지는 않는다. 이는 피를 먹는 걸 금하고, 먹기에 적합한 동물을 규정한 유대교 음식법과 연결된 체계이다. 유대교 성서는 피가 생명 자체이고 성스러운 언약의 증인 (증표)이며, 동물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속죄제의 제물이므로, 거룩한 제단에 바쳐져야 하며 인간이 먹어서는 안 된다고 기술한다. 그러나 거룩한 피를 흘리지 않고 정결한 동물을 음식으로 먹을 수 없다는 점에서, 육식에는 이미 피의 성화가 전제되어 있다. 또한 유대교의 희생제의에서 신과 인간의 음식 분할은 신이 불살라 올려진 향기와 기름기를 취하고 인간은 고기를 먹는 데, 이때 제단에 뿌려지거나 바르는 피의 위치는 애매하고 양가적이다. 피는 거룩한 것으로 구별되어야 하지만,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다. 피는 거룩한 것으로 금기의 대상이지만, 피 안에 탈성화가 함축되어 있지 않다면 육식은 허용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피의 금기는 어떤 점에서는 결국 응고된 피를 포함할 고기를 먹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음식법의 관점에서 보면 희생제의는 적합한 육식의 조건이다. 유대교 카슈루트의 동물의 정결과 피의 금기는 희생제의의 체계에 근거하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food through the case of Judaism with the dietary laws as a strong indicator of religious identity. The food is an indispensable necessity in human life and also retains a cultural system in it. The Jewish dietary laws (Kashrut) expressed in the Torah including 〈Leviticus〉, is characterized as the taboo for the blood, and shows the way to distinguish the clean and the unclean animals whether suitable for eating and to eat cleanly. In ancient Judaism, compliance with such dietary laws was a proper (holy) way of life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Israeli community, distinguished by Yahweh.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food laws are closely related to the Jewish sacrifice. The sacrifice was considered the most sacred act in ancient Judaism, which confirms the relationship(covenant, sacred bond) between the Israelite community and its god. Thus, the altar associated with the sacrifice, the sanctuary, the temple, and victims for sacrifice were the most holy, and the symbolic center of sacrifice persisted even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and the end of substantial sacrifice, as Mishnah showed. In Jewish sacrifice system, the animal sacrifices such as burnt offerings, peace offerings, and sin offering occupy(have) the large portion of it. The sacrificial animal without blemish is killed ritually at the entrance of the sacred tent, and blood is splattereds against the four sides of the altar by the pries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in offering, he takes the blood into the sanctuary and sprinkles seven times toward the sacred veil, and then smears some on the horns of the altar before pouring the rest at the foot of the altar. As for the next procedure, the one type of the sacrifice is that the entire sacrifice is to be burned after extracting the blood, and the other type is that the fat and some guts are to be burned and the meat is to be divided and distributed among the priests and offerers. In the hierarchy of the holy(the sacred), the clean, the unclean, acting on the Jewish sacrifice, the blood is a subject of taboos because it belongs to the realm of holiness, but interestingly, it is not burned up to (belong entirely to) the divine realm. It is a system linked to kashrut that defines animals suitable for eating while preventing blood from eating. The Jewish Scripture states that blood is not only a life itself, a witness of a sacred covenant, but also an offering of substituted animals for the sacrifice instead of humans, so it must be dedicated to holy altars and not be eaten by humans. However, in the fact that “pure” animals can not be eaten as food without shedding “sared” blood, there is already a sanctification of blood on meat. In addition, in the division of food between God and man in the sacrifice of Judaism, God takes smoke and fat as burnt offerings, and man eats meat, and the position of blood sprinkled or poured around the altar is ambiguous and ambivalent. The Blood should be distinguished properly as holy, but can not be completely separated in realty. In Jewish religious system, the blood is the object of taboo for its holiness, but the meat is unacceptable unless it is implied in desacralization in blood. The taboo of blood may, at some point, be a system for eating meat that inevitably contains clotted bl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ood law, the sacrifice is a condition of proper meat eating. Animal purity and taboos, a hallmark of Judaic dietary law, are based on a system of sacrifices.

      • KCI등재
      • KCI등재

        "세계종교"와 종교 가르치기

        안연희 ( Youn Hee 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이 글은 ``세계종교 패러다임``과 종교학 및 종교교육의 관계에 대한 비판과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의 세계종교 가르치기에 대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일반 상식만이 아니라 종교 연구와 대학 강의에서도 ``세계종교``라는 분류와 패러다임은 은연중에 전제되곤 한다. 종교 생태계 내의 힘의 논리와 ``하나만 아는 것은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다``라는 비교종교학의 모토가 편의적으로 결합하면서, 종교학과 관련 교과과정에서 세계종교 패러다임은 지속되고 있다. 근래 종교학계는 19세기 서구의 민족종교/보편종교의 구분에서 비롯된 ``세계종교`` 개념이 엄밀한 이론적 분류라기보다는 ``우리``와 ``그들``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의 변형이며, 근대 서구 제국주의와 기독교 보편주의의 산물이라는 비판적 의식을 어느 정도 공유하는 분위기다. 윤리종교로서의 기독교를 표본으로 한 ``세계종교`` 개념이 훨씬 다면적이고 복합적이며 다양한 종교현상에 대한 인식을 왜곡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교학계의 이론적 성찰과 세계종교 강의 현실 사이의 간극은 점점 커지고 있다. 첫째, 세계종교 개념이 엄밀한 종교다원성을 포용하는 개념이 아니라 서구기독교 세계와의 역학관계나 다원주의적 에티켓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 패러다임은 종단 종교교육과 구별되는 공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에서 종교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을 가르치는 패턴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윤리의식과덕성교육을 지향하는 중등 종교교육의 ``세계종교`` 패러다임이 비판적 사고와 성숙한 시민적 판단력을 함양해야할 인문학 교양과목인 대학의 세계종교 강의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또한 세계종교 패러다임에 의한 종교교육이 다종교 다문화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는 실질적인 문제 등도 지적된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의 경우 종교에 대한 교육과 윤리 및 덕성을 구분하고, 대학 세계종교 강의는 인문학 교양으로서의 성격을 제고해야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세계종교에 대한 기본지식을 전달하거나 주요 종교의 가르침을 통해 수강생들의 실존적 변화를 자극하는 방식을 취하기 십상인 대학에서의 세계종교 가르치기 경향을 재검토할 것을 요청한다. 그러나 패러다임 자체를 폐기하기보다는 기존의 세계종교 개념을 맥락화, 역사화하고 재정의하면서 반성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즉 세계종교 개념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비판을 인식하고, 그 개념과 패러다임을 종교에 대한 인식과 토론의 도구로 활용하는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대학의 세계종교 강좌를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riticism and arguments on ``world religions`` paradigm,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religions`` frame and the science of religion and religious education. It provides a platform for discussions on "teaching religions" in the university arenas. The paradigm of world religions is presupposed for lecturing religions in the university classes and for the research subjects of scholars as well as for the commoners. The scholarship orientation in the field of the science of religion ("one who knows one, knows nothing"), combined with the power relations of the recent religious situation, make it workable the concept of "world religions paradigm". However, the world religions concept has been considered as a creation done by the binarity of "we" and "they", "ethnic" and "universal", in 19th century context of Western imperialism and Christian universalism. Another issue is concerned that the ``world religions`` concept, which is built on the model of Christianity as an ethical religion, distort and exclude more diverse and complex textures and contents of other religions. The gap is growing when we look back our positioning in theoretical pursuing on the subject and the reality in the university classes where world religions are taught.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world religion paradigm is forced to believe to be objective knowledge of plural religions in public school systems, which could be different from a particular religious sect`s religious educations on their behalf. However, the ``world religions`` concept is, in fact, not a concept that embraces religious plurality in a strict sense but one that was built on a Christian model. Second, another issue is that middle and high school religious education is to promote the moral and ethical awareness through teaching world religions, while lecturing world religions, as liberal arts, in university classes is to cultivate civility and critical viewpoint about religions. Moreover, world religions concept is not much successful and effective even in recognizing multiplicity of world religions and its implications. It is asked to separate "teaching world religions" on the one side and cultivate moral enhancement and civility in high school system on the other side. The above problems calls for a reappraisal of world religion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classes. More practical alternatives to this problem is to contextualize, historically approach and redefine the concept of world religions and then use it in a reflective manner rather than discarding the world religions paradigm itself.

      • KCI등재

        정감록(鄭鑑錄)의 예언현상에 대한 일고(一考)

        안연희(An, Youn-hee)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정감록은 정씨 진인출현, 李亡鄭興의 역성왕조교체와 계룡산도읍설, 난세의 환란, 십승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조선 후기 이래 이상적 미래세계를 대망해온 민중신앙과 관련이 깊은 한국의 대표적 예언서이다. 따라서 정감록이 형성, 수용되고 유포되며 지속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역사적, 사회정치적 맥락과 종교 문화사적 배경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이를 참조하면서 현전하는 텍스트 중 저본으로 인정되는 규장각본 『정감록』의 핵심내용과 관련된 풍수지리 및 도참의 논리를 살펴보고, 예언내용의 역사적 불일치나 실패 속에서도 정감록 예언현상이 지속할 수 있었던 예언의 구조와 작동논리를 고찰하였다. 특히 계룡산 신도안과 십승지에 대한 풍수지리 모티브와 비밀스러운 미래의 징조를 전하는 도참이 교직된 정감록 예언의 풍수도참적 구조와 논리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풍수도참에 기반한 정감록 예언문화는 확실한 실현을 보증하는 풍수적 완전성이나 정확한 연대보다는 풍수적 불완전성과 연대추정의 모호성과 불일치를 통해 오히려 효과적으로 작동하였다. 요컨대 정감록의 풍수도참적 예언현상은 한국의 민중들이 다양한 역사적 국면에서 이를 재해석하고 개정하는 종교문화로 지속하면서 현실과 이상의 불일치를 해석하고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틀 거리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Jeonggamnok is Korea’s representative prophetic book that tells about future events and signs such as the decline of the Yi(李氏) Dynasty and emergence of the Jeong(鄭氏)’ new dynasty, signs of turbulence and catastrophe to come, and ten refuges(十乘地).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trends of Korean popular religion that has been cultivating an ideal future world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the core contents of the 〈Jeonggamnok) of Kyujanggak(奎章閣) version, which is recognized as the most reliable evidence of the existing texts, and analyzes the geography of Punsu(風水) and the logical structure of Docham(圖讖) that penetrates the prophecy. And I found that even if the prophecies of Jeonggamnok were found to be historically incongruent or incorrect, the phenomena or culture of the prophecy could continue without being recognized as a failure of the prophecy. The prophecy phenomenon of Jeonggamnok, which combines the logic of Pungsu and Docham, seems to work effectively through Pungsu geographical incompleteness and ambiguity and inconsistency of date estimation rather than its perfection or exact date that guarantees the realization of prophecy. In that way, the prophecy of Jeonggamnok based on such Pungsu and Docham acted as a framework for the Korean people to interpret and accept the incongruity between reality and ideals while continuing the religious culture of prophecy that reinterprets and revises them in each historical situation.

      • KCI등재

        연구 논문 : 《마리아 복음》에 나타난 여성의 "종교적 권위"에 대한 고찰

        안연희 ( Youn Hee 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7 No.27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전통이 ‘부활의 첫 증인’으로부터 ‘회개한 창녀’까지 복합적 이미지로 기억해온 막달라 마리아가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 《마리아 복음》에서 어떻게 종교적 권위를 입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어 남성 중심적 구조 안에서 권위 있는 말을 시도한 세 여성의 사례에 대한 브루스 링컨의 분석을 《마리아 복음》에서 막달라 마리아의 권위화 양상과 그녀의 복합적 전승들에 적용해보았다. 신약성서에서 십자가 수난과 부활한 예수의 증인이며 ‘사도들의 사도’로 묘사되기도 했던 막달라 마리아는 그리스도교가 제도화되면서 권위의 장에서 사라진 여성들에 속한다. 예수 이후 권위의 위기 속에서 다양한 공동체들 간의 경쟁과 논쟁을 거쳐 형성된 그리스도교 주류 전통은 예수를 따르던 여성들을 배제함으로써 열두 제자와 사도전승으로 이어지는 권위구조를 확립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마리아 복음》의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의 인정과 그녀의 영적 자질을 바탕으로 자신의 종교적 경험(환상 속에서 예수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다른 제자들에게 ‘가르치는’, 즉 말하는 행위를 통해 스스로를 예수의 대리자로 권위화하고 있다. 즉 그녀는 그리스도교의 공동체를 이끄는 사도의 권위, 즉 진리를 가르치고 전하고 말할 수 있는 권위를 주장하고 있다. 막달라 마리아와 같은 주도적인 초기 그리스도교 여성들의 자취는 남성 중심의 사도권이 자명하고 당연한 것이 아니라 예수의 여성 제자들에 대한 침묵과 배제, 혼합을 통한 몰 개성화와 같은 정교한 주석적 작업의 결과였음을 보여준다. 《마리아 복음》의 막달라 마리아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의해 박제되거나 주변화되어 종교적 경험과 실천의 주체로 서지 못하고 대상화된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종교적 성취를 통해 예수의 인정을 받아 젠더화된 남성의 우위성에 도전하고, 환상과 예언적 힘에 의지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젠더 역할을 벗어나 권위화된 공간자체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마리아 복음》에 드러난 막달라 마리아의 종교적 권위는 사도성과 비전의 담지자로서 남성 중심적 권위가 젠더화된 것임을 일깨우면서도 ‘그 안에서’, 즉 예수의 예외적 신적 권위를 인정하는 장 안에서 그의 말을 권위있게 전하는 방식으로 확립된다. 이는 기존의 권위의 장을 완전히 벗어나거나 잠재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대항 담론이나 권위를 가진 남성과의 혼인을 통한 여성의 권위화 유형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으며, 예언자 시빌라 유형을 구조적으로 연상시키는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의 망각된 여성 성직자 모델에 가깝다. 그런 점에서 《마리아 복음》은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제공한다기보다, 초기 그리스도교사에서 잊혀지고 배제된 여성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종교적 실천의 전통을 재구성하고 음미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종교사의 전통을 젠더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잊혀진 여성들의 자취와 흔적들을 기억하고 발견해내 그들의 종교적 경험과 종교적 성취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은 남성 사제층의 작품이며 전유물이었던 종교 문헌들에 바탕한 기존의 종교사 서술에 대한 반성적 작업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how Mary Magdalene, remembered as acomposite image from the ‘first witness of the Resurrection’ to ‘the repentantprostitute’ by the Christian traditions, proved her religious authority in theGospel of Mary. And then, I tried to apply Bruce Lincoln’ analysis of threetypes of women who managed to speak within authorized and authorizingplace in the male-dominated structure, to authorizing strategies of MaryMagdalene in the Gospel of Mary and her comlex traditions. Mary Magdalene is one of the women who had disappeared from theauthorized places of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even if she was described asnot only the witness of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of Jesus, but also ‘theApostle of the Apostles’ in the Gospels. Mainstream Christian tradition is aresult of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the apostolic authority through thecompetition and disputes between the various communities struggling forauthority in the crisis of authority. In this process, the women followers ofJesus would have been excluded from the authority structure of which thesummit is Apostolic tradition of the twelve disciples. But Mary Magdalene of the Gospel of Mary, with the recognition ofJesus(Savior) and her spiritual qualities, tries to authorize herself as thedelegate(apostle) of Jesus by teaching(that is to say, ‘action of speech’) herreligious experience (taught by Jesus in vision) to the other disciples. This shows that Mary Magdalene, the apostle of the Apostles, deserved the authority to teach and preach the truth in Christian community. Traces of the leading early Christian women such as Mary Magdalene proves that the masculine apostolic authority is not the obvious fact but the result of elaborate exegetical works such as silence about Jesus’ female disciples, exclusion of them or mixing of them. When applied to three types of Lincoln, religious authority of Mary Magdalene in the Gospel of Mary can be classified as the variation of Sybilla type. Because she chooses to make herself authorized by convoying Jesus’s word in recognition of Savior’s exceptional divine authority rather than completely dismantling the existing authorized and authorizing places, on the other hand, as the apostle of apostles and bearer of vision or revelation, evoking that existing authorities are gendered. It could be said to be close to the role model of female priests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rather than queen or love model who enters or approaches authorized places through the marriage to the man with authority. Even if we can not say that the Gospel of Mary offers raw facts about historical Mary Magdalene, it will be a very valuable text to remind and reconstruct the narratives and vestiges of religiously active Christian women who has been forgotten and disappeared in the Christian traditions and history of religions.

      • KCI등재

        물질종교의 관점으로 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성염(Holy Salt)

        안연희 ( An Youn He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1 No.41

        소금은 인간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생리적 요소로서 고대문명에서부터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동서고금의 종교의례와 민간신앙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종교문화적 의미에 참여해온 물질이다. 그러나 소금의 종교적 사용이나 의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일천하다. 한국 신종교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일찍부터 물건이나 음식, 장소를 깨끗하고 거룩한 것으로 분별하는 성별의 물질로 성스러운 소금, 즉 성염(holy salt)을 공식적으로 사용해왔다. 이러한 성염은 가정 연합의 종교의례와 신자들의 일상적 삶과 의식에 깊이 자리하고 있어, 종교적 물질로서 소금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사례를 제공한다. 이에 이 논문은 물질종교에 대한 이론적 관심을 가지고 특히 성염의 물질성과 그 행위성에 주목하면서, 성염이 가정연합의 종교생활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고 어떤 특징을 부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성염은 가정연합에서 참부모 메시아로 신앙하는 창시자 부부의 성혼식을 위해 성별의 물질로 선택되고, 성혼식을 통해 등장한 참부모의 축복으로 신자들이 만물을 거룩한 것으로 분별하고 회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성물로 축성되어 신자들에게 분배되었다. 즉 성염은 인간과 세계 전체에 대한 참부모 메시아의 구원 사역의 일부가 된 물질이다. 이러한 가정연합의 성염은 고대로부터 종교문화사에서 제액과 정화, 부패방지 등을 위해 사용된 소금의 궤적과 그 물질적 상징적 의미를 수용하고 있다. 성염은 동시에 소금 자체의 물질적 성질, 그 존재양태와 결부된 행위성과 가정연합의 종교적 특징이 응축된 참부모 메시아 사건, 영육전체의 총체적 구원신앙과 관련된 신학적 의미와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종교현상적 배치 속에서 가정연합 특유의 종교문화를 형성해왔다. 가정연합에서 성염을 통한 성별생활은 신자로서의 자기정체성과 외부 사회에 대한 구별의식 등의 형성에도 지속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요컨대 성염은 단지 신자들의 의도적인 행위성을 위한 수동적이고 수단적인 물질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성별의식을 하는 신자들과 접촉하는 구체적인 물질성을 통해 일정한 작용(행위성)을 발휘하며, 성별이 필요한 가정이나 의례공간에 있음/놓여짐으로써 배치를 통해 종교적 효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염의 엄격한 사용, 성별생활의 방식, 그에 대한 신학적 해석들을 통해서 물질적 생활환경 및 세속사회와 가정연합 공동체의 관계 양상과 종교문화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Salt is an element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human life and has long held an important place in civilized life since ancient times. In addition, salt is a substance that has formed religious and cultural meanings as it has been widely used in religious ceremonies and folk beliefs in the East and West. However, religious studies on salt are very scarce. In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FFWPU), a new religion in Korea, Holy Salt, which was selected as a sacred substance to distinguish objects and places as clean and holy by the founder, has been officially used from an early history of the community. Consecration by holy salt is deeply located in religious ceremony and daily life of the believers. Holy salt of FFWPU provides a good example to describe and analyse the power and agency of salt as a religious matter. Therefore, with a theoretical interest in material relig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of holy salt in the religious life of FFWPU and what characteristics it gives to the religious culture of FFWPU by focusing on the materiality and agency of holy salt. Holy salt was selected as a material of sanctification necessary for the ‘Holy Wedding’ of the founder couple whom FFWPU believe as the True Parents Messiah. And then, it was consecrated and distributed to the faithful as a holy matter that enabled all believers to discern, restore, and use all things as holy with the blessing of True Parents who appeared through the Holy Wedding. In other words, holy salt is a matter that has become a part of the salvation work of the True Parent Messiah for humans and the whole world. To summarize, first, the holy salt of FFWPU shares the material and symbolic meaning of salt in a continuum with the traces of salt used in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Second, holy salt is consecrated as a holy matter in the Holy Wedding event of the True Parents Messiah,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teriology of FFWPU are condensed, and is used in religious ceremonies and daily life as a material that allows the believers to consecrate and restore the material world. Third, holy salt has formed a religious culture unique to FFWPU through a new religious arrangement in which the existence and materiality of salt interact with the theological meaning related to the total salvation belief of the whole spirit and body of FFWPU. Lastly, consecrated daily life by holy salt has a continuous and direc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as a believer and a sense of distinction from the outside world. Thus, holy salt does not only exist merely as a passive and instrumental substance for the intentional acts of believers, but also exerts a certain action (agency) through the materiality that believers come into contact with, and brings religious effects through its being/placement in a home or ceremonial space that requires consecration. The s trictness o f holy salt ritual, the way of consecration, and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s of holy salt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FWPU community and the material/ social environment, and the religiou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FWPU.

      • KCI등재

        특집논문2 : 중세 후기의 “열리는 성모상”과 그리스도교 신앙의 물질적 상상력

        안연희 ( An,Youn He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5 No.25

        이 글은 중세 후기의 “열리는 성모상(Vierge ouvrante)”의 형태와 구조를 살펴보고 그 의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중세 그리스도교의 신앙의 감각적 표현과 역동적인 물질적 상상력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열리는 성모상”은 겉보기에는 중세의 전형적인 성모자상과 흡사하지만, 성모의 몸에 수직으로 난 양문을 열면 그 내부에 삼위일체 도상이나 동정녀 마리아의 생애 서사, 수난 모티브 등이 배치되어 있는 이중 구조의 성모상이다.대략 중세 성모신심을 배경으로 13세기부터 서북부 유럽 각지에서 꾸준히 만들어지다18세기 무렵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이러한 성모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내부 주제에 따라 형태를 분류하고 그 상징적 의미나 도상학적 기획을 파악하는 것에 집중되어 왔다. 크게 삼위일체형과 서사형(혹은 성모의 생애 형)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삼위일체형은 유독 주목을 받았다. 일단 삼위일체 교리의 시각적 재현처럼 보이기에, 오히려 그 교리를 부정확하게 함축할 여지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성모신심이 발달한 중세 후기에 문제가 된 것은 성모의 몸이 삼위일체 전체를 품을 수 있다는 관념 자체보다 오히려 그것이 독특한 이미지로 구현될 때의 효과였다.“열리는 성모상”의 특징은 내부 주제만큼이나 독특한 형태와 구조에서 발견되며, 바로 그 부분에서 중세 그리스도교 신앙의 감각적 차원과 물질적 상상력을 파악할 수 있다. 열리는 성모상은 첫째, 그리스도의 성스러운 물질, 즉 성체와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 발달한 그리스도교 성상의 일부로서, 중세 그리스도교의 물질관과 물질에 대한 양가적 인식을 구원과 연결시키는 종교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둘째,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문으로서의(이자) 마리아의 몸(Mary as doors)과 내부의 핵심 주제를 담고 있는 용기로서 의(이자) 마리아의 몸(Mary as containers)을 물질적으로 전시하고 형태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성모상은 공식적인 의례보다는 사적인 심심의 장에서 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이며, 내부를 열고 응시하는 과정에 예배자가 성상에 접촉하여 문을 여는 적극적인 행위가 필요하므로, 신심의 시각적, 촉각적 차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열리는 성모상”의 물질적 형태와 구조는 영원히 닫힌 문이자 구원의 열린 문이라는 마리아 상징의 이중성과 연결되고, 생성되고 부패되는 물질이 바로 그 변화의 성질을 통해 신적 구원의 장소가 되고 매개가 되는 것을 드러냄으로써, 중세 그리스도교 신앙이 가진 물질적 상상력과 교리적 표현을 넘어선 감각적 신심의 차원을 보여준다. 중세의 열리는 성모상은 물질과 마리아의 몸이 교환되고 구조적으로 동작가능성을 내포한 ‘움직이는 성물’로서 무감각하고 고정된 조각상의 개념에 도전하고 ‘움직이는 물체’라는 신적인 성격에 근접한다. 우리에게 내부와 외부의 물질적 현존과 공존을 보여주고, 움직이지 않는 사물에 활동을 불어넣으며 신적인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것은 육체성의 소거를 추구하는 관념적 기획이 아니라, 철저히 물질성으로 환원되는 육체성과 교감하고 상호작용하는 중세 그리스도교의 물질적 상상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distinctive form, structures, and patterns of the so-called “Vierge ouvrante” as an evidence of the religious senses, and analyse its construction of religious meaning, and finally illuminate the religious sensations, the intimate and multisensory piety, and the dynamic material imagination of late Medieval Christianity. The “Vierge ouvrante”(Opening Mary or Triptych Virgin), is type of Marian statue in which the body of the Virgin is constructed by doors that open up and reveal an image of The Trinity or the iconography of the Life of The Virgin and/or the Passion of Christ. These statues are told to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places of Western and Northern Europe during the late Medieval periods and have been officially banned in about eighteen centuries. They are classified two types, that is Trinity figures and narrative figures according to its interior programs. The latter type has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as well as criticism, because of not only its dogmatic manifestations but its dubious implications. But Taking account of the ardent devotion to Virgin Mary of late medieval periods, what was more problematic might be not its dogmatic ideas (holy Mary as the chamber of whole Trinity) but the sensory effect of image itself. If examining “Vierge ouvrante” in terms with its material form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nterior motives, we are able to comprehend the sensory dimension and material imagination of Medieval Christianity. First, the Vierge ouvrante, as one of sacred images of Christianity which had been developed in close relation with holy matter(host), shows the Medieval Christianity’s view of matter and its religious imagination connecting ambivalent concerns about materiality with Christian soteriology. Second, the statues express a full nexus of ideas about the Virgin-the Virgin as an open door to salvation and as a closed door of inviolate purity- as well as ideas about the door and the body as markers of crucial boundaries. Third, this door-hinged form might played a role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The tactile process of touching the statue and the positive action of opening the Virgin’s body suggests that this sculpture might have been used in the fields of private and intimate piety more than official ritual, and shows that it would have made use of the complicate mechanism of optic and haptic piety. In short, the material form and structure of “Vierge ouvrate” exemplifies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ensory dimension of christian piety, by displaying that matter can become both the locus of salvation and the medium of it through the very changeable quality in spite of its generated and corrupted attribute, and embodying the duality of Marian symbol as eternally closed door and blessedly opened door of salvation in the opening scul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