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제의 {十八空論}에 나타난 공성의 분류의 특징

        안성두 한국불교연구원 2019 불교연구 Vol.51 No.-

        In this paper, my aim is to deal with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Emptiness in the works of Yogācāra Buddhism, particularly in Paramārtha (CE. 499-569)’s Treatise on Eighteen kinds of Emptiness (十八空論). Among the Yogācāra works, there are many texts, such as SNS (VIII.29-31) etc., which discuss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by giving different subdivision and categorization for this concept. In this occasion I like to mention particularly two texts, MAVBh and MAVT, respectively attributed to Vasubandhu and Sthiramati, because of their intimate relationship with Treatise on Eighteen kinds of Emptiness of Paramārtha. By comparing the explanations given in these two texts with Paramārtha,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his interpretation can be extracted on a solid basis. I like to summarize two important points of Paramārtha’s discussion of the Emptiness as follows: (1) In his interpretation of some subdivision of the Emptiness, he use the words of Three Nature (trisvabhāva), and in this sense he demonstrate himself to be the true follower of traditional Yogācāra. (2) His interpretation deviates from the so-called orthodox Yogācāra in case of the ‘Emptiness of its own Nature (svabhāva-śūnyatā, 性空)’. He wants to stress on the more positive aspect of that concept, and interprets it as ‘Buddha Nature (buddhadhātu, 佛性)’. In this context, it is highly interesting to see the parallel passage of MAVT 55,19-56,6, which mentions another interpretation that the tathāgatagarbha idea is meant for that Emptiness. This shows clearly that in Paramārtha’s period some Indian Yogācāras must have felt the necessity to subsume the tathāgatagarbha idea under the traditional Yogācāra concept of the Suchness (tathatā). 이 논문은 『대반야경』 등의 대승불전에 나타난 다양한 공성의 분류가 가진 의미를 특히 진제의 『十八空論』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공성의 구별이란 주제는 『해심밀경』(SNS VIII.29) 등을 위시한 유식문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서는 특히 MAVBh 및 MAVT의 해석과 비교해서 제시하면서, 진제 해석이 보여주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의 공성 해석의 특징은 내용적인 면에서 3성설의 용어로 몇 가지 공성을 설명하려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그는 유식학의 관점에서 각각의 공성 이해를 충실히 보여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진제는 本性空을 불성 개념을 갖고 설명하려고 하는데, 이를 관련된 MAVT에서의 안혜의 설명과 연관하여 볼 때 이런 해석은 당시 인도유식 내부의 흥미로운 사상사적 전개의 하나였다고 간주할 수 있다고 보인다.

      • 불가언설성과 교법 : 궁극적인 것에 대한 유식학의 접근방식과 붓다의 태도

        안성두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2 불교학 리뷰 Vol.11 No.-

        본고의 주제는 유식학의 실재관이 붓다의 기본적 관점으로 환원될 수 있 는가 하는 것이다. 궁극적인 것과 언설의 관계는 대승에서 이제의 논리로 설명되고 있고, 『유가론』에서 ‘비안립제’와 ‘안립제’의 구별에 의해 명시되 고 있다. 유식학에서 비안립제는 불가언설로서의 궁극적인 것을, 안립제는 언설로 표시된 진실의 의미를 나타낸다. 불교는 궁극적인 것이 언설로서의 교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범천권청의 스토리는 붓 다의 마음에 깨달음의 불가언설성에 대한 자각과 또 중생들의 깨달음을 위 해 간접적으로 교법을 통해 깨달음을 지시할 수도 있으리라는 기대가 병존 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법이란 선정(샤마타)의 방식과 관찰(비파샤나)의 방식으로 제시되었다고 보면서, 붓다의 관점에서 지-관의 방식은 모 두 궁극적인 것을 지시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하는 전제에 서 출발했다. 이는 문헌학에서 제시된 양자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붓다의 설법의 의도를 고려할 때 지-관 양자를 내용상 연결시키는 고리가 있어야만 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나는 지-관 양자가 모두 욕망의 제거를 목표로 하며, 그것은 전법륜경에서 삼 매를 통해 일상의식이 가진 노에시스(能)-노에마(所) 상관관계의 대립을 제거하는 점에서나, 또는 무아를 제시하는 18계의 설명에서 분석을 통한 노 에시스-노에마의 여실지견에서나 비슷한 방식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서 로 연결된다고 여긴다. 경장시대나 아비달마 시대에 지-관 양자에 대한 평가가 어찌되었든, 나 는 점차 지-관 양자를 하나의 명상과정 속에서 통합하려는 시도가 행해졌 고, 그것은 유가론에 이르러 <지관쌍운> 개념을 통해 돌파구를 찾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방식이 대립되는 교법을 하나의 과정 속에 통합함으로써 붓다의 깨달음에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추정하면서, 마지막으로 비 심에서 대비심으로의 전환도 보살의 붓다-모델과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 고자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The Concept of Śamatha and Vipaśyanā in Yogācārabhūmi with special reference to Śamatha-vipaśyanā-yuganaddha-vahin

        안성두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It is well-known that the Yogācāra school was developed from the solitary meditators called yogācāra, who practiced various kinds of the meditation in the wilderness. In the YBh, the main text-corpus of the Yogācāra school, we can find a striking definition of meditation, which clearly shows the synthetic character of this school. They characterize meditation by the technical term "parallel of calming the mind and analytical insight" (śamatha-vipaśyanā-yuganaddha-vahin, 止觀雙運). It is hard to figure out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śamatha and vipaśyanā, because they have been regarded as being quite different in their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ether the origin of this kind of definition for the two concepts can be traced back to the Yogācāra texts, and if so, to find out how the parallel of the two concepts was understood in the sources. For this purpose, I dealt with two passages among four in the YBh, which explicitly use the concept "śamatha-vipaśyanā-yuganaddha-vahin".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nteresting fact which the passages in the YBh, more precisely the ŚrBh, point out is that the concept in question seems to be formulated in an endeavor to unite śamatha with vipaśyanā more closely. The new definition of śamatha and vipaśyanā that they all belong to the "One pointedness of the mind" (cittaikāgratā), which amounts to the definition of sāmadhi in the Early Buddhist texts, makes it possible to enlarge the concept śamatha upon the field of vipaśyanā. The important methodological step toward the functional synthesis of the two concepts seems to be achieved at the ŚrBh stage. In the context of a meditation object (ālambana) the text mentions clearly that śamatha and vipaśyanā form a complementary process of achieving the pureness of the inner bases and pureness of outer objects in the way that śamatha has as its meditative object ‘mental image free from concept (nirvikalpaṃ pratibimbam)’ and vipaśyanā ‘mental image with concept (savikalpaṃ pratibimbam)’. Whereas the former serves to eliminate (vibhāvanā) mental images thereby leading to the calmness of mind, the latter aims at producing (adhimucyate) vivid mental images which resemble the real one through discriminative analysis. At first sight, this practice shows clear internal relatedness with the visualization technique, practiced in the aśubha meditation or buddha-anusmṛti meditation for the production of vivid images. But, we should also keep in mind that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mental images is not asked in the description of the ŚrBh. The other passage, I select for dealing with the passage "śamatha-vipaśyanā-yuganaddha-vahin", appears in the VinSg-Section of the YBh, where this technical term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Path of Vision (darśanamārga). I cannot but escape from the impression that this passage was influenced by the theory of the Path of Vision of the Sarvāstivādins, consisting in 16 moments, but slightly transformed into 9 moments in order to suit a specific purpose. As such, it seems very artificial and conveys conceptual interpretation. Notwithstanding this artificiality, the passage in question also reflects the demand of the ŚrBh that śamatha and vipaśyanā should function synthetically in order to complete the liberating character of the Path of Vision.

      • KCI등재

        唯識性' (vijnaptimatrata) 개념의 유래에 대한 최근의 논의의 검토 -슈미트하우젠과 브롱코스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안성두 한국불교연구원 2004 불교연구 Vol.20 No.-

        The concept of Vijnaptimatrata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Yogacara-Vijnanavada school of Mahyana Buddhism. According to its theme the world out there is nothing but the product of mind, and the mind itself, as being contrasted with the outer world, does not exist in its own right. On the historical origin of his theory it has been in recent days discussed among the scholars, who could be grouped in two parties. The one party argues that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Vijnaptimatrata can be traced back into the meditative practices, whereas the other tries to show its purely theoretical nature. In discussing these positions, the present paper focuses mainly on the arguments of the two leading scholars, namely of L. Schmithausen as being representative of the first position, and J. Bronkhorst as being representative of the latter. After describing their relative positions, I try to show the plausibility of Schmithausen's theory by suggesting some relevant passages, which come under the context of four Nirvedhabhagiyani stage. This stage is historically connected with the stage, on which the Vijnaptimatrata is realized. The most notable one is the passage of the Sravakabhumi, which runs: samasamalambyalambaka m jnanama This expression can no doubt be regarded as a forerunner of the concept of Vijnaptimatrata. I have further searched in the so called "Dhyana-sutra"(禪經) the clue, which could combine such ideas with the meditative experience. In this regard the passage of Sangharaksa's Yogacarabhumi (『修行道地經』) has to be examined in a new light. The crucial passage runs: 因其專精而心想一 ... 心無所想 而作觀察 前意後意 未曾錯亂. In this paper, I try to convince my interpretation. However it may be, this sentence can be regarded as a forerunner of the just mentioned passage of Stravakabhumi. If it be so, then the argument of Schmithausen, that the Vijnaptimatrata is drived from the meditative experience, could have more firm base than that of Bronkhorst.

      • KCI등재후보

        인도불교 초기 유식문헌에서의 언어와 실재와의 관계_瑜伽師地論의 三性과 五事를 중심으로

        안성두 인도철학회 2007 印度哲學 Vol.0 No.23

        The Relation of the Language and Reality in the Early Indian Yogcra Literatures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i-svabhva and Paca-vastuka in the Yogcrabhmi 본 논문은 유식학파의 삼성설의 선행이론으로서 진실의품에 나타난 언어표현과 그 근거로서의 사태(vastu)의 관계와 진실의품 <五事章>에 나타난 五事의 범주 중에서 언어표현의 근거로서의 相(nimitta)과 명칭의 관계를 논의했다. 그리고 이 두 개소의 설명을 해심밀경의 삼성설과 관련하여 세 문헌의 관련성과 성립사적 선후문제를 논의했다. 아울러 이들 문헌에 대한 근래의 선행연구들의 업적과 몇 가지 문제점들을 다루었다.

      • KCI등재

        진화론과 불교사상의 접점 -『이기적 유전자』와 업종자를 중심으로-

        안성두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6 No.-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whether Buddhist theories are compatible with the basic ideas of the Evolutionism, presented in Richard Dawkins’ The Selfish Gene. For this purpose I began to sketch the different and similar aspects of the two traditions: the similarities lie mainly in the fact that they do not presuppose any teleological design in explaining the changes of the phenonenon. As far as the discrepancies are concerned, Buddhist traditions, basing themselves on the mind-body dualism, try to explain the issues of the ‘living being’ and the surrounding world,whereas the main stream of the Evolutionism defends the materialist viewpoint for that matter. Recognizing these factors, I focus on three points in order to discuss the relevant topics between two traditions:(1) on the descriptions of the origin of the life on earth, (2) on the role of DNA in the molecular biology, and of the corresponding Buddhist theories, particularly in the Yogācāra Buddhism, (3) on the problem of the altruism and Buddhist Ethics. In case of (1), I try to point out that the main difference of the Buddhism to the Evolutionism depends on the acceptance of the ‘consciousness (vijñāna)’ as the leading principle of living beings. In case of (2), the role of DNA,which is central to the evolution of living beings, can be compared with and interpreted as a kind of ‘latencies of karman (karma-bīja). I discuss also the difficulties arising in the interpretation of DNA as the latencies of karman. In case of (3), I would show that there are no theoretical obstacles to undermine the altruistic behaviors of each person, notwithstand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DNA with karma-bīja. In this respect, it shares the common ethical ground with Dawkins,who sees the altruistic behaviors possible at the level of living organism, though at the level of the DNA it is solely motivated by its ‘selfishness’. In the present paper, I have to restrict the source materials to the very limited number, i.e. to The Selfish Gene a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molecule biology on the one hand and Yogācāra Buddhism on the other hand, so as not to violate the obscurity caused by the vastness of the research objects. 본고의 목적은 불교의 교학적 입장이 진화론의 근본주장과 양립가능한지 또, 양립가능하다면 어떤 점이 그러하며 그렇지 않은 점은 무엇인지를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불교와 진화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큰 구도에서 논의했다. 공통점은 무엇보다 현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목적론을 전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반면 차이점은 불교가 심-신 이원론에 입각해서 세계와 생명현상을 설명하는 데 비해 진화론은 철저히유물론에 입각해 있다는 점이다.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면서 진화론과 불교 사이의 접점을 (1) 최초의 생명의 탄생에 대한 진화론의 추정과이에 대응하는 불교경전에 관한 논의, (2) 유전자의 역할과 그에 대응하는불교 이론의 설명 및 그 함축된 의미, (3) 이타성의 문제와 그에 대응하는불교 윤리라는 세 가지 점으로 요약해 논의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진화론의 설명은 분자생물학의 입장을 대변하는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의 내용을 중심으로, 그리고 불교는 유식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해서설명했다. (1)의 서술을 통해 불교와 진화론이 가진 유사성과 차이점이 식의 존재를 인정하느냐의 여부에 달려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했다. (2)의설명을 통해 진화의 핵심적 내용을 이루는 DNA의 작용이 불교에 따르면업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러면서 DNA를 업으로 해석하여 수용했을 경우에도 생겨나는 난점들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3) 도킨스의 경우, 유전자 차원과 개체 차원을 구분함으로써 유전자의 ‘이기성’과개체의 행동이 직접적 관련이 없기에 개체가 생물학적으로 이타적 행위를할 수 있을 가능성을 단지 열어놓고 있는데 비해, 불교에서 DNA를 업으로해석한다고 해도 개체의 이타성을 제한할 어떤 이론적 장애도 없다는 것을업종자와 개체로서의 식의 관계의 논의를 통해 해명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