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침윤성 자궁 경부암에서 p16 단백의 변형

        안선의,김원규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목적 : 한국여성에서 흔히 발생하는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들의 p16단백의 변형을 알아보고 이것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18아형 감염과 p53단백의 과발현 그리고 임상병리학적 특성과는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파악하고 나아가 p16단백의 변형과 p53단백의 과발현 그리고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18아형 감염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침윤성자궁경부암 환자들의 예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자궁경부암환자 29예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p16단백의 변형, p53단백의 과발현,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18아형의 감염여부를 조사하고 Kaplan-Meier법으로 이들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p16단백과 p53단백은 면역조직화학요법으로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PCR법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p16단백의 변형율은 31% (9/29)였으며, p53단백의 과발현율은 72.4% (21/29)이고,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율은 89.6% (26/29)로 나타났다. p16단백의 변형과 임상병리학적 특성들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P>0.05). p53단백의 과발현 양성인 21예중 p16단백의 변형 양성은 6예 (28.6%), 음성은 15예 (71.4%)였고 p53단백의 과발현 음성인 8예중 p16단백의 변형 양성은 3예 (37.5%), 음성은 5예 (62.5%)였고 이들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양성인 26예 중 p16단백의 변형 양성은 9예 (34.6%), 음성은 17예 (65.4%)였고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음성인 3예는 모두 p16단백 변형 음성을 보였으나 이들간에도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환자들의 전체 5년 생존율은 86.2%로 나타났고 p16단백 변형 음성군이 80%의 생존율을 보였고 p16단백변형 양성군은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p53단백의 과발현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음성군은 모두 생존하였고 p53단백 과발현 양성인 군은 80.9%,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양성인군은 84.6%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들 인자들과 5년 생존율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자궁경부암에서 p16단백의 변형과 임상병리학적 특성들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p16단백 변형과 p53단백 과발현,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간에도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며 p16단백 변형, p53단백 과발현,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자궁경부암 유발하는 인자들은 생존율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Recently p16 gene has been found as a new factor for cervical carcinogen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16 protein alteration in invasive cervical cancers, and to find the correlation with the p53 protein overexpression, HPV infection and the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parameters, as well as to predict the prognosis by examining the influences of the p16 gene, p53 gene, HPV to the survival rate. Material & Methods : We examined 29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who visited and operated in Obstetrics & Gynecology department of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from Jan. 1994 to Dec. 1995. We investigated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and p16 protein alteration, p53 protein overexpression, HPV 16, 18 infection in these patients. p16 protein and p53 protein were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method and HPV was done by PCR method. The survival rate was examined by Kaplan-Meier method. Results : The rate of p16 protein alteration, p53 protein overexpression, HPV infection were respectively 31% (9/29), 72.4% (21/29), 80.6% (26/29), and all of these factors had no statistical correlations with the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p>0.05). Among the 21 positive cases for p53 protein overexpression, p16 protein alteration was positive in 6 (28.6%), negative in 15 (71.4%) cases and among the 8 negative cases for p53 overexpression, p16 showed positive in 3 (37.5%), negative in 5 (62.5%). Finally among the 26 positive cases of HPV infection, p16 alteration was positive in 9 (34.6%) and negative in 17 (65.4%) and all of the 3 HPV infection negative cases showed no p16 alteration. The p16 altera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53 overexpression and HPV infection. The total 5 years survival rate in 29 cases of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was 86.2%. In the negative group of p16 protein alteration the survival rate was 80% and the positive group was all alive. In the positive groups of p53 protein overexpression and HPV infection the survival rate were 80.9% and 84.6% respectively and the negative groups were all alive. And these factor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rvival rates.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 that p16 protein alteration had no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parameters and survival rates in invasive cervical cancer. In addition p16 protein alteration had no correlation with p53 protein overexpression and HPV infection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