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씨 없는 수박 생산을 위한 화분 채집용 4배체 계통선발

        임정현(Jeonghyeon Lim),조승현(Seunghyun Cho),정주형(Juhyung Jeong),이은영(Eunyoung Lee),안병구(Byeonggu An),서경원(Kyoungwon Se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씨 없는 수박은 단단한 씨앗이 없어 소비자의 식이편이성과 특이성 등으로 인하여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품종육성도 활발히 추진되어 우수한 품종의 3배체 씨 없는 수박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3배체 품종은 고온기에 생육과 품질이 우수하나 저온기에는 착과 불량으로 생산자가 재배를 기피하고 있어 생산이 어렵다. 저온기에는 현재 불임화분과 2배체 품종을 이용한 씨 없는 수박이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실용화되지는 않았으나 4배체 품종의 화분을 2배체 품종에 인공수분 하는 경우에도 씨 없는 수박이 생산된다. 그러나 4배체 품종의 화분을 이용한 인공수분의 경우에는 착과율이 감소하여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화분량이 많고 발아율이 우수하여 착과율이 높은 4배체 계통을 선발하여 저온기에도 고품질의 씨 없는 수박을 생산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4배체 시험계통은 405, 408, 414, 419, 425, 427 등 6계통을 사용하였고, 모본으로 사용한 품종은 대과종의 경우 한여름꿀, 중․ 소과종의 경우 다크호스와 로얄블랙을 사용하였다. 정식은 5월 25일에 하였으며 덩굴은 활착 후 어미덩굴을 적심하여 아들덩굴을 3줄기로 유인하였다. 인공수분은 오전에 실시하였고, 화분매개곤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였으며 살충제를 사전에 살포하였다. 조사는 곁순 발생량, 절간장, 화분 수집량 및 발아율, 착과율 등을 실시하였다. 계통별로 수꽃 100개에서 물리적인 방법으로 수집된 화분량은 408번이 254mg, 414번이 163mg으로 높았고 화분 발아율은 425번(56.8%) > 414번(26.5%) > 408번(21.4%) 순으로 높았으며 다른 계통은 2.9 ~ 11.0%로 낮았다. 착과율은 425번 414번, 408번 계통이 각각 72.7%, 33.3%, 36.4%로 화분 발아율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 반촉성재배 시설수박에서 꿀벌의 화분매개활동 효과

        임정현(Jeonghyeon Lim),조승현(Seunghyun Cho),정주형(Juhyung Jeong),이은영(Eunyoung Lee),안병구(Byeonggu An),서경원(Kyoungwon Se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수박은 1주에 1과를 착과하므로 다착과 작물에 비하여 낙과되는 경우 경제성이 낮아져 재배 농업인들은 착과기에 각별히 주의해서 관리해야 한다. 최근에는 꿀벌을 이용한 수분이 주를 이루지만 아직도 농업인이 화분을 암술에 직접 수분시켜주는 경우가 많다. 지속적인 농촌 인력의 노령화와 감소는 인건비의 상승으로 이어져 착과기에 인공수분을 실시하는 농가는 꿀벌 이용 수분 처리 대비 많은 생산비를 유발하며 포복작업의 고된 노동으로 근골격계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반촉성작형에서 인공수분과 꿀벌 이용 수분의 착과율, 과실특성, 경제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농업인에게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반촉성 시설수박의 꿀벌을 이용한 착과시험 수행을 위하여 조생흑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3월 13일에 정식하였다. 덩굴은 활착 후 어미덩굴을 적심하여 아들덩굴 3개를 유인하였다. 인공수분은 오전에 실시하였고 화분매개곤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였으며 살충제를 사전에 살포하였다. 꿀벌 이용 수분 처리의 꿀벌은 봉군수가 5,000여 마리가 되는 벌통을 투입하였다. 조사는 화분 발아율, 착과율, 과실 및 종자특성 등을 실시하였다. 인공수분과 꿀벌 이용 수분 전에 조사한 화분 발아율은 각각 82.5%, 83.1%로 비슷하였으며, 착과기간(4일) 내 착과된 과실은 인공수분 94.6%, 꿀벌 이용 수분 93.3%로 두처리 모두 착과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확기 과중은 인공수분 처리가 약간 높았으며 이에 따라 과장과 과폭도 컸다. 과실 당도는 인공수분 처리와 꿀벌 수분 처리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부위별로는 과피부위 > 중심부위 > 배꼽부위 > 과경부위 순으로 높았다. 과실의 완숙된 종자는 꿀벌 수분 처리가 695.9립으로 인공수분 처리 647.2립보다 많았으며 완숙 종자무게는 비슷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