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원에 따른 광CT의 출력특성 연구(2)

        전재일(Jae-Il Jun),정철우(Cheol-Woo Jung),안미경(Mi-Kyeong Ahn),박원주(Won-Zoo Park),이광식(Kwang-Sik Lee),김정배(Jung-Bae Kim),김민수(Min-Soo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3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

        본 연구에서는 패러데이 효과(Faraday Effect)를 이용한 초고압 전력설비에서의 광전류 센서의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광원은 Laser Diode(1310[nm])를 사용하고, 수신부는 PIN-Photodiode를 사용하였다. 센싱부로 사용한 광섬유는 single mode unjacked fiber를 사용하였고, 편광기를 사용하여 빛의 광학적인 편파면을 이용한 전류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 결과에서는 전류에 따른 출력 신호가 나옴으로써 기존 문헌상의 결과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센싱부로 사용한 파이버의 길이에 따른 출력차이를 통해 파이버의 길이가 길수록 강도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길이에 따라 출력의 차이뿐만 아니라 선형성까지도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 값과 광전류센서의 출력 강도와의 오차율을 구했을 때 5[m], 10[m] 길이의 광섬유 각각에 대해서 1000[A] 이상의 값에서 각각 약 -0.9[%], -0.4[%]의 오차율을 보임을 확인했다. 여기서 인가한 전류값과 길이 즉, 감은 수에 따라 그 오차율이 점점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일화기억에서 자기기억과 타인기억 연구

        안춘희,안미경,서경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1

        This study by event experienced was to ensure that the recall for self and other has difference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ypical children. Two groups of 10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group with autism(experimental group) and a group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verbal abil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self?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autistic children and typical children in the free recall for other?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free and cued recall for autistic children in episodic memory?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uncompanied self and companied self.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autism and the group matched for verbal ability for companied other. This interpretation is strengthened by the findings that the children with autism recalled more information in the accompanied other recall test than in the unaccompanied self and accompanied self. Third, The compound score for all three level of cued recall was higher than free recall. In this test, a percentage score was calculated for comparing free and cued recall and the three levels of cues, due to the fact that if a child recalled all items under free recall then the cued recall score would be low giving a misleading interpretation of children's ability to remember event under cued recall.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화기억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자기 인식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에서 경험한 일에 대하여 자신에 관한 기억과 타인에 관한 기억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이 일화기억 과정에서 단서 없이 특정 정보를 회상할 수 있는 자유회상과 단서를 지원해주는 단서회상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혼자 경험한 활동과 함께 경험한 활동, 두 가지 활동에서 모두 일반 아동에 비해 자기기억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기기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에 반해 타인기억에는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자유회상에 어려움이 있으나 간단한 단서를 통한 단서회상으로 일화기억이 가능하였다.

      • 정상 아동에서의 긴장성 비대칭성 경반사를 통한 상지의 체중지지 변화

        권혁철,안미경 대한물리치료학회 199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changes in weight bearing in the both upper extremities occurred in response to 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by rotation of head in the quadruped positio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88 children (44 male, 44 female) who were neurologically norma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6-7 year olds and 8-9 year olds. Paired t-text was applied as a statistical method at the 0.01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neutral position of head, there was more weight bearing an the left hand than the right in both of the two groups(p$lt;0.01). 2. When the head was rotated to the tight or left passively, there was more weight bearing on the hand of side to which the face was rotated(p$lt;0.001). 3. When the head was rotated to the right or left actively; there was also mare weight bearing on the hand of side to which the face was rotated(p$lt;0.00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to increase body weight for muscle strengthening in children with weakened muscles of the upper extremiti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for confirmation of thes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