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이해 : 불안정 성인애착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황지선 ( Ji Sun Hwang ),안명희 ( Myung Hee Christine Ah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5 人間理解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거절민감성의 원인요인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을 지목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인관계적 맥락에서 경험하는 대표적 부적 정서인 외로움과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수의 대학생을 포함한 20-30대 초기 성인기 남, 여 295명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외로움과 수치심이 각각 매개하는 경로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불안 애착과 회피 애착은 외로움, 수치심, 거절민감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 애착은 외로움,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피 애착은 외로움을, 수치심은 거절민감성을 가중시켰다. 마지막으로, 불안 애착은 수치심을 부분매개로 거절민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부정적 사회적정서에 민감한 불안 애착을 보이는 내담자의 거절민감성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외로움과 수치심에 개입할 필요를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loneliness and sham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pathway of influence among insecure adult attachment, in terms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loneliness,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Data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based on a sample of 295 adults in their early twenties to thirties including many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Mplus 4.21. Findings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 significantly influenced loneliness,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rejection sensi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shame. Attachment avoidance significantly influenced loneliness. The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on shame or rejection sensitivity, however,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separate pathways of influence among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loneliness,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The current findings extend the literature regarding insecure adult attachment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rejection-sensitivity.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Counseling implications for clients with rejection sensitivity, particularly college students with attachment anxiety and negative social emotions such as lonliness and shame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한국판 부모보고형 유아 정서·행동 평가시스템 타당화 연구

        정유선(Chung, You Sun),안명희(Ahn, Christine Myung 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부모보고형 유아 정서·행동 평가시스템(The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2, Parent Rating Scales-Preschool Form: K·BASC-2, PRS-P)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영유아의 정신건강 선별검사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영유아의 부모(N=479)를 대상으로 총 134문항으로 구성된 KㆍBASC-2, PRS-P를 실시하였다.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본 검사의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이론 분석을 통해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검사의 종합척도와 소척도가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또한 높게 나왔다. 요인분석 결과 K·BASC-2, PRS-P는 미국판 BASC-2, PRS-P의 3요인 구조가 적절히 지지되었다. 문항 수준에서의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들의 변별도 및 범주 난이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DSM 진단기준에 근거한 임상 증상 및 보호요인이 반영된 본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항 변별도 및 범주 난이도 간격을 보였다. 국내 영유아를 위한 다차원적 정신건강 선별검사로써의 K·BASC-2, PRS-P의 유용성, 본 연구의 장,단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2, Parent Rating Scales-Preschool Form(KㆍBASC-2, PRS-P) to verify its usefulness as a preschool mental health screening instrument. The 134-item K·BASC-2, PRS-P was administered to 479 Korean parents or caregivers with young children in preschool or kindergarten.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to obtain Cronbach"s α internal consistencies and test-retest reliabiliti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internal valid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internal consistencies on the subscale and composite scale level and test-retest reliabilities were hi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evidence for the three-factor structure in the Korean version as in the U.S. version. The item-level validity was high as indicated by the appropriate discrimination and the difficulty level for most items. The discrimination and skewness, as evidenced in the difficulty level, were consistent with the clinical symptoms and protective factors based on the DSM diagnostic criteria as expected. Discussion included relevant findings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K·BASC-2, PRS-P as a multi-dimensional mental health screening instrument for Korean preschoolers.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