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한제국의 비극』에 나타난 1907년 의병전쟁과 의병

        심철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3

        F. A. McKENZIE, THE TRAGEDY OF KOREA(E. P. DUTTON & CO. 31 West Twenty-third Street NEW YORK, 1908)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writing of a Western military reporter visiting a site of the war of the Righteous Armies in 1907.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confirm the scene only with the records and photographs he left behind. Nonetheless, the records left by McKenzie once again gave him a chance to recognize the Righteous Army. The notable records are, first of all, records relating to the Righteous Army organizations. It can be seen that at that time, most of the Righteous Army was operating in the uprising area and was operating independently through a human network. Second is the rules of engagement against foreigners. the Righteous Army has a discipline that it does not attack foreigners, and foreigners recognizes as an object to infor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war of the Righteous Armies in 1907 to the outside world. Third is a record of the operation of the Righteous Army. the Righteous Army was able to take vacations and stay overnight if necessary. Fourth is a record of healing wounded soldiers. the Righteous Army had little ability to treat wounded soldiers. Fifth, it is a record about the military uniform worn by the Righteous Army. Although Korean military uniforms worn by the Righteous Army is classifi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military uniforms for a precise analysis of the participating forces. 매켄지의 『대한제국의 비극』은 서양인 종군기자가 1907년 의병전쟁의 현장을 방문하고, 의병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기록한 최초의 저술이라는 것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그가 남긴 기록과 사진만으로는 현장을 다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켄지가 남긴 기록은 의병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주목할 만한 기록은 첫째, 의병조직에 대한 기록이다. 당시 의병부대가 대부분 봉기 지역에서 활동하고, 인적관계망으로 독자적인 활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외국인에 대한 교전수칙이다. 의병은 외국인에 대해 공격하지 않는다는 규율이 있었고, 그들을 의병전쟁의 실상을 외부에 알려줄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의병부대 운영에 대한 기록이다. 의병부대는 필요에 따라 휴가, 외박 등이 가능하였다. 넷째, 의병을 치료해 준 기록이다. 의병은 부상병에 대한 자체 치료 능력이 거의 없었다. 다섯째, 의병이 입은 군복에 대한 기록이다. 의병이 입은 한국군복을 구분하고 있는데, 의병참여세력의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라도 군복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원주진위대의 재정운영과 일진회

        심철기 경제사학회 2024 經濟史學 Vol.48 No.1

        이 글은 대한제국기 원주진위대 재정운영 과정을 통해 진위대와 일진회의 갈등을 검토하였다. 을미개혁으로 폐지되었던 지방군은 을미의병 등의 영향으로 지방대로 다시 창설되었고, 1900년에는 진위대로 확대 재편되었다. 경비는공전(公錢), 역토(驛土)의 도전(賭錢) 등으로 충당하도록 하였는데, 원주진위대는 인근 군(郡)의 공전에서 경비를 충당하였다. 그런데 배정 과정에서 탁지부와 갈등이 일어나거나 각 군에서 납부를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진위대는 납부 과정에 간섭할 뿐만 아니라 납부 과정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농민을 위협하고 치안을 불안하게 하는 모든 세력에 대해 단속하였다. 사적 이익을 추구하고 있던 일진회도 억압해야 할 대상이었다. 특히, 수취 과정에 대한 간여는 진위대의 재정기반을 흔드는 것이었다. 진위대와 일진회의 갈등은 원주진위대가 일진회 원주지회장을 체포하면서 고조되었다. 이 사건으로 원주진위대 대대장이 체포되어 한국주차헌병대장(韓國駐箚憲兵隊長)의 심문을 받기까지 하였다. 진위대와 일진회의 갈등은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 군대해산 이후 진위대 병사들이 의병이 되어서도 이어졌다. 의병들에게 일진회는 처단해야 할 세력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flict between the Jinwidae and the Iljinhoe Assembly through the financial operation of the WonjuJinwidae during the Korean Empire. The local army, which had been abolished due to the Eulmi Reform, were re-established as jibangda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righteous army and others, and were expanded and reorganized into Jinwidae in 1900. Expenses were to be covered by gongjeon(公錢), dojeon(賭錢), and so on, and the WonjuJinwidae paid for their expenses from the gongjeon of neighboring counties. However, during the allocation process, there were conflicts with the Takji Ministry(度支部) or the counties did not pay. Therefore, Jinwidae intervened in the payment process and In the name of protecting the payment process, the Jinwidae has cracked down on all those who threaten farmers and destabilize security. Iljininhoe, which was pursuing private interests, was also to be suppressed In particular, the interference in the payment process shook the Jinwidae’s financial foundation. The conflict between the Jinwidae and Iljinhoe escalated when the WonjuJinwidae arrested Iljinhoe Chairman Wonju. The incident resulted in the arrest of the Wonjujinwidae Guards battalion commander and interrogation by a captain of the Japanese military gendarmerie(韓國駐箚憲兵隊長). The conflict between the jinwidae and Iljinhoe the continued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Korean Imperial Army on August 1, 1907, when the jinwidae soldiers became righteous army. For the righteous army, Iljinhoe was a force to be punished.

      • KCI등재

        1930년대 도시샤(同志社)대학의 조선유학생 현황과 유학생활

        심철기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8 No.-

        After promulgation of the University Ordinance in 1918, the requirement for university approval was to open the faculties at the same level as the faculties of the imperial university. It was difficult to obtain university approval unless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financial capability appropriate to the university could be secured. Therefore, long tradition schools and religious schools were advantageous. As a result, in 1920 Doshisha received university approval. In the 1930s, Chosun students mainly studied in the Tokyo area, but also the Kyoto area was the main destination to study abroad. Doshisha studied abroad from Chosun students early in the center of theology department. The major department of Chosun students in the 1930s saw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nd Department of theology most frequently. Chosun students and others burden about 47 yen at an annual average cost of 110 yen or more and a monthly living expenses, so studying abroad life was not easy. 일본에서 1918년 대학령 공포 이후 전문학교는 대학인가를 받기 위해 제국대학과 동일 수준의 학부 개설을 요구받았다. 이에 따라 대학에 맞는 교육과정과 자금력이 확보되지 못하면 대학인가를 받기 어려웠다. 따라서 오랜 전통이 있는 학교나 종교계 학교가 유리하였고, 게이오기주쿠, 와세다, 도시샤 등이 1920년에 가장 먼저 대학인가를 받았다. 한편, 1930년대 급증한 조선유학생은 주로 도쿄지역으로 유학하였지만 교토지역도 주요 유학지였다. 특히, 도시샤는 신학과를 중심으로 일찍부터 유학한 곳으로 조선유학생이 많았다. 1930년대 그들의 전공은 주로 경제학과 신학이었다. 이는 시대상황과 대학설립이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출신지는 서울, 경북, 평남지역이 많았다. 조선유학생들은 연평균 110엔이 넘는 학비와 한 달 평균 약 47엔의 생활비를 부담하였기에 유학생활이 쉽지 않았다. 그중 주거문제가 가장 심각하여 유학생 단체의 최대 활동이 하숙집을 알선하는 것이었다. 도시샤의 조선유학생들은 上京區와 左京區에 거주하였다. 上京區는 도시샤대학 기숙사나 유학생 단체에서 주선한 숙소를 이용하였다. 左京區는 같은 과나 같은 지역 출신들이 함께 거주하였다.

      • KCI등재

        1907년 의병전쟁 참여세력의 존재양상과 일제의 대응- 경기ㆍ강원ㆍ충청 재판기록을 중심으로 -

        심철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0

        Th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the centers of the Righteous Army (Ŭibyŏng) Movement in the early years of the Righteous Armies Wars. The most number of Righteous Armies were active in Gyeonggi Province in the years of 1907 to 1908, in Gangwon Province in the years 1907, and in Chungcheong Province in the years of 1906 to 1907. These provinces can be analyzed in further detail on the level of counties and prefectures: Hanseong, Yangju, Pocheon, Majŏn, and Yongin were the centers within Gyeonggi Province; Wŏnju, Yeongwol, Pyeongchang, and Hoengseong were the centers within Gangwon Province; and Hongju, Chungju, and Jecheon, along with four other counties were the centers within Chungcheong Province. These areas were regions where the major leader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active. In other words, the regions where there were many participants in the Righteous Armies in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the centers of the Righteous Armies Wars. Based on such concentrations of the Righteous Armies in numbers, fundamentally, the Righteous Armies recruited people in their main strongholds, even though the Righteous Armies recruitment occurred in other regions the Righteous Armies activities were in multiple counties and prefectures. However, an examination of participation on the level of soldiers reveal that there were a variety of forms in participation, including voluntary participation, coerced conscription by the Righteous Armies troops, mercenary for livelihood, and simple participants mobilized for miscellaneous services. Meanwhile, they were the people who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y the invasion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 the Japanese empire instituted invasion policies such as demanding the exploitation right for barren land, mine examination, forest lumbering, and currency reform. The Japanese also expanded into the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aehanjeguk) with their foothold on these invasion policies, and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provinces of Korea became places of plundering for their profit. As such, Koreans were faced with the pillage of the Japanese empire that was beyond the ideological plundering, but an actual and physical act of plundering by the Japanese empire that they experienced firsthand. Such situations aggravated the anti-Japanese sentiments, becoming a cause for locals to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ies movement or sponso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Righteous Armies. In other words, while there were various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the Righteous Armies, the comprehensive reason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Righteous Armies was in the reality in which they faced the actual and direct acts of plundering by the Japanese. The Righteous Armies Wars in th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greatly reduced when the Recapture the Capital Operation (Seoul chin’gong chakchŏn) failed, and the major leaders of the Righteous Armies died in battle or were arrested. The tactics of the Righteous Armies also changed, and securing war supplies in small-sized units became their main activity. Furthermore, the punishment of the pro-Japanese groups such as the Advancement Society (Iljinhoe) and secret agents (Miljung) also became their main activity. Such changes in the tactic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affected by the harsh repression by the Japanese empire. In order to repress the Righteous Armies, the Japanese empire committed indiscriminate slaughters and issued documents of acquittal as a conciliatory polity. They attempted to prevent people from volunteering and participating in the Righteous Armies and their activities, as well as attempting to prevent the expansion of the Righteous Armies. Such measures taken by the Japanese empire also appear in the adjudications. The Japanese empire pre...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는 의병전쟁 초기 의병활동의 중심지였다. 경기도는 1907~8년에, 강원도는 1907년에, 충청도는 1906~7년에 가장 많은 의병이 활동하였다. 이를 군현단위로 보면 경기도는 한성, 양주, 포천, 마전, 용인 등이, 강원도는 원주, 영월, 평창, 횡성 등이, 충청도는 홍주, 충주, 제천을 비롯한 4군 지역 등이 중심지였다. 이들 지역은 주요 의병장이 활동한 지역이었다. 즉,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의 의병참여자가 많았던 지역은 의병전쟁의 중심지였다. 이는 의병활동이 여러 군현에 걸쳐서 전개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의병모집이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지만 기본적으로는 주 활동무대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병사층의 참여형태를 보면, 자발적인 참여, 의병부대에 의한 강제 징집, 생계를 위한 용병, 잡역 등에 동원된 단순 가담자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들은 일제의 침략정책에 직ㆍ간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던 사람들이었다.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제에 의해 진행된 황무지개척권 요구, 광산조사, 산림벌채, 화폐개혁 등의 침략정책과 이를 발판으로 대한제국에 진출한 일본인들은 지방의 중소도시까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침탈의 장으로 만들었다. 이제는 관념적인 일제의 침탈이 아닌 실질적인,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일제의 침탈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반일감정을 고조시켰으며, 지역민들이 의병운동에 참여하거나 의병을 후원, 협조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즉, 의병에 참여하는 의도는 다양하였지만 그들이 의병에 참여하게 된 포괄적인 원인은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일제의 침탈에 직면한 현실에 있었던 것이다.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의 의병전쟁은 서울진공작전이 실패로 돌아가고 주요 의병장들이 전사하거나 체포되면서 크게 위축되었다. 의병전술도 변화여 소규모 부대로 군수물자를 확보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 되었다. 또 일진회, 밀정 등에 대한 처단이 주요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런 의병전술의 변화에는 일제의 의한 가혹한 탄압이 영향을 미쳤다. 일제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무차별 살육을 저질렀으며, 회유책으로 면죄문빙을 발급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의병에 대한 지원, 참여, 확산을 막겠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제의 의병에 대한 방침은 판결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의병을 ‘폭도’로 규정하여 폭력성을 강조해 의병을 탄압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측면에서 교수형 등 극형이 선고되었다. 반면에 귀순하거나 단순 가담자는 면소하거나 비교적 가벼운 형을 선고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1905년 원용팔 의병의 창의와 운동 방략

        심철기 한국근현대사학회 2014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0 No.-

        The awareness of reality suggested by Won Yong Pal(元容八) is importantin the aspects of process and strategies of the movement in 1905. He identifiedthe conditions of Japanese invasion into pillage of land (demand of exploitationright for wastelands and national land issues), pillage of government operation(taking control of administration through political advices), and control of publicopinion about invasion (pro-Japanese group, or Iljinhoe(一進會)); he saw the bestway to solve the problems is to raise a righteous army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invasion. Four process and strategies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were organizedunder the awareness mentioned. First, plan to combine the royal troops in Gangwon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area to establish nationwide royal troop unitingwith Wonju Jinwidae(原州鎭衛隊); and then ally with anti-Japanese forces in Seoulto exclude the interference of pro-Japanese government and Japan. Second, planto develop the righteous army recruitment activity, secure base area, and advanceto Seoul based on it. Third, plan to induce support and aid from Wonju andYeoju area through connection with central political forces including Won WooSang(元禹常); especially the plan to attempt to expand the movement into royaltroop war through uniting with Wonju Jinwidae which was a regular army ofthe Korean Empire. Fourth, plan to secure actual support and justification forthe righteous army movement through manifesto, letters, and public appeals. Theseprocess and strategies of the righteous army went a step further from 「Heonchaeck(獻策)」 by Kim Sa Jeong(김사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