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소비자문제 분석

        심유조,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최고법원인 대법원의 판례를 분석하여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로 어떠한 소비자문제가 발생하고, 그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정책 적용의 현주소를 진단해보고, 중대한 소비자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필요한 소비자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문제 관련 대법원 판례의 모집단을 확정하고, 소비자문제를 분류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소비자에게 의미있는 판례를 서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관성 있는 검색기준과 추출기준을 설정하고, '소비자문제 관련 대법원 판례'로 전체 대법원 민사사건 판례 중에서 총 289개를 추출해내었다. 둘째,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소비자문제에는 주로 민법이 적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개별법과 약관규제법이 많이 적용되었다. 소비자문제 내용으로는 품질문제와 정보문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재산적 피해로 인한 소송 이 비재산적 피해로 인한 소송보다 많았다. 상품 중에서는 금융·보험 분야 소송이 전체의 반을 차지하였고, 보 건·의료, 관광·운송관련 소송이 많이 나타났다. 고의·과실에서는 과실이 문제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귀 책판단이 어려운 사건이 대법원까지 올라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 60~70년대에는 관광·운송, 보건·의료 분야의 문제만이 나타났으나, 80년대 들어 금융·보험 분야의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90년대 이 후 소비자문제 관련 대법원 판례의 획기적 증가에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이상을 통해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소 비자문제는 인적 손해이거나 고액의 물적 손해로 피해의 정도가 심각하고, 책임소재가 불분명하여 시비판단이 어 렵다는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법원 판결을 통해 본 소비자문제의 해결은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판단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19% 더 높게 나타나, 대법원 소송까지 오게 된 소비자문제는 조금 더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판단된 경향이 있다 고 할 수 있다. 민법 적용 시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판단된 경우가 많았고, 정보문제와 안전문제의 경우에 소비자 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린 비율이 높았으며, 재산적 피해에 비해 비재산적 피해에 소비자에게 더 유리한 판결이 많았다. 상품에서는 주거·시설, 관광·운송, 보건·의료 순으로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판결된 경우가 많았고, 금 융·보험상품은 소비자에게 유리·불리 판단이 비슷한 수로 나타났다. 투자개념이 강한 주식거래로 인한 피해에 서는 소비자가 유리한 판결을 받기 더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서술한 판례를 바탕으로 소비자정책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소비자의 디지털 저작권 침해행동에 관한 연구 : 태도와 행동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심유조,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음악, 방송, 영화, 책․만화)에 대한 소비자의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저작권 침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 침해행동의 예측력을 높이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 의목표이다. 이를 위해 불법복제 이슈에 가장 많이 노출된 집단이라 할 수 있는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고,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본 모델로, 윤리이론과 범죄이론에서 도출한 요인을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 였다. 침해행동 변수(불법복제 의도, 불법복제 경험여부, 불법복제물 수)에 따라 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 석,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부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영화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 방 송에 대해서는 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실제로 행한, 과거의 저작권 침해행동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사람 이불법 다운로드를 한다는 점에서 영화가 가장 보편적으로 불법복제가 행해지는 콘텐츠였고, 불법복제물의 양에서는 음악이 가장 많았으며, 한 달 안에 가장 자주 불법다운이 일어나는 것은 방송프로그램이었다. 태도-행동의 관계는 소비자가 저작권 침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더라도 침해행동을 그만큼 덜 한다고 볼수 없었다. 모든 콘텐츠에서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 지만,그 상관의 정도는 약하게 나타났다.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 간 차이 점수에서도 불법복제 경험 자체가 적었던책․만화를 제외하고는 태도보다 행동의 수준이 높은 경우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다른 콘텐츠에 비해 영화가 이러한 불일치 문제가 가장 큰 콘텐츠로 나타났다. 침해행동의 영향요인은 태도의 영향요인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우선 침해행동(불법복제 의도, 불법복제물 수)에 미치는 태도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긴 하였으나 영향력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약하였고, 이에 따라 행동(불법복제 의도)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또한 약하게 나타났다. 도덕적 비용과 관계적 비용은 유의하였 으나,불법성 인식과 법적 비용, 문화콘텐츠 애호도는 침해행동을 줄이는 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반면 습관은 침해행동을 증가시키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법복제 능력은 불법복제를 경 험해봤는가아닌가의 경계에서 진입장벽의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워치 건강관리기능에 대한 노인 소비자 수용과 저소득 독거노인 수용 증대방안 연구

        전상민,심유조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smartwatch health care functions by elderly consumers and propose ways to prevent lonely death and ensure effective daily health care support for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with these function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330 elderly consum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have been using smartwatches for over 6 months, and 10 other experts including social workers, public institutions, and academic experts. The result of this consumer survey analysis shows that the elderly mainly used the exercise and vital sign care functions every day, and both satisfaction from and intention to use were high. Using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it was found that health information provision and pride, which are the consumer benefit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whereas the influence of all consumer cost factors was not significant.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the effect of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n perceived value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that actively use digital devices and have good support in using smartwatches. In a group that actively uses digital devices, pride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value, whereas discomfort in use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The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gital device use initiative and smartwatch use support conditions was not significant across paths. The findings of this expert survey show that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are vulnerable digital care targets, and smartwatch health care functions are very useful for preventing lonely deaths and coping with emergencies, but their acceptance and ability to use were significantly low. The study proposes that a simple and intuitive UI configuration involving automation, AI service, voice recognition and guidance, readability, and audibility is needed for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to increase their acceptance of and ability to use smartwatches. Distribution of free smartwatches through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repeated face-to-face trainings and support by social workers, prompt transport and treatment through cooperation with 119, public health centers, and medical institutions in cases of emergency, remote medical treatment when necessary, and sufficient budgetary and manpower support from government should be organically provided.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 command center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to oversee thes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a plan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smartwatch health care functions by elderly consumers, especially those with low incomes and living alone, and proposes a useful UI configuration of smartwatch heath care functions, and use support/education methods.

      • KCI등재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워치의 노인 소비자 수용과 사회복지사, 자녀의 평가 연구 - 통합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전상민,구명진,유연주,심유조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aise older adult consumers’ acceptance rate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ir support. This study explored older adults’ acceptance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with various healthcare functions and senior user interface (UI) and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cceptance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It also surveyed social workers and adult children, the main supporters of the older adult generation, regarding their evaluation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and related welfare polici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0 consumers aged 60 years and older, 30 social workers, and 200 children with thei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necessity of the individual function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 and their intention to use them were strong. Particularly, functions such as emergency rescue calls and heart rate, blood oxygen, and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lder adult consumer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household characteristics, healthcare conditions, and digital device proficiency. Among the four antecedent factors from the UTAUT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smartwatch,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device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it. The impact of performance expectancy on intention to use was greater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an for those living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the impact of social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latter. For older adults with high digital device proficiency, the intention to use the device significantly increases their purchase intention. Finally, both social workers and children favored all healthcare functions of the senior-friendly smartwatch, and their preferences among the functions showed similar pattern to older adults, who preferred emergency calls and physical monitoring func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acceptance level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age, health care conditions and especially digital device proficiency level. Family members and professional older adult care personnel were chosen as the preferred support sources for older adults by both social workers and children. Social workers prioritized supporting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excluded from healthcare access. They also selected those who were enthusiastic about their health and had high digital proficiency for prior support. Social workers and children have proposed Senior-friendly UI and functions such as voice alarms, automatic sensor, and AI to improve older adults’ smartwatch usability, as well as repetitive face-to-face education and prompt network connectivity between the device and medical/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 consumers and the specific senior- friendly functions designed for the prototype device to create research model,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older adults’ acceptance of the device. Furthermore, data from not only older adults but also their children and social worker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results’ reliability and draw multifaceted implications for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