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원격수업시대 영재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초등 vs. 고등 그리고 교실 vs. 온라인

        심승엽(Seungyeop Sim),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차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도구의 하위영역인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 학습에의 솔선수범 및 독립, 학습에 대한 책임감,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미래지향성, 창의성, 기본학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10편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결과, I²의 통계량은 86.32%로 데이터들은 서로 이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랜덤(Random)효과 분석으로 도출된 전체 효과크기 값은 .679(CI 95% .514~.844, p<.001)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요인에 따라 평균효과크기는 .662~.913(p<.001)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연구대상에 따라 초등학생의 평균효과크기는 .785(CI 95% .608~.961, p<.001), 고등학생의 평균 효과크기는 .473(CI 95% .393~.552, p<.001)으로 초등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수업형태에 따라서 확인해 본 결과 교실수업의 형태가 온라인 수업형태에 비하여 평균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영재교육대상자들이 특징으로 보이는 자기주도학습 하위요인 및 연령과 수업형태에 따른 차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사와 영재교육기관들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meta-analysis was to synthesize the results studies in which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gifted and students were compared.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b-area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tool developed by Guglielmino (1977), which are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the self-concept of an efficient learner, a leading example and independence in learning,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learning. affection and passion, future orientation, creativity, basic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a-analysis of the 10 papers showed that the I² statistics were 86.32%, and the data heterogeneous. The overall effect size value derived from random effect analysis is .679 (CI 95% .514~.844, p<.001)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between .662 and .913 (p<.001) depending on the sub-group factors. In addition,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785 (CI 95% .608 ~ .961, p<.001), .473 (CI 95% .393 ~ .552, p<.001). The average effect size elementary gifted students online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learning situations for Korean gifted students in the future pandemic situation through gifted and students.

      • KCI등재후보

        팀 프로젝트 참여 초·중·고 학생과 지도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성공 요인의 관점으로 톺아보기

        김순근 ( Soon-geun Kim ),심승엽 ( Seungyeop Sim ),윤소영 ( Soyoung Yoon ),한기순 ( Ki-soon Ha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론으로 알려진 ‘팀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참여 학생과 지도교사가 발휘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지, 지도교사의 역할과 비중은 어느 정도 발휘되어야 하는지, 최종산출물의 완성도가 전체 프로젝트의 성패 판정에 미치는 정도는 어떠한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주간 13시간에 걸쳐 실시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팀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초·중·고 학생 8명과 지도교사 3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종료 후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한 사례 연구이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학생들은 ‘지식 정보처리 역량’보다는 대인관계 역량에 속하는 ‘협력적 의사 소통역량’을 많이 언급하였고, 지도교사는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보다는 ‘교수학적 지식(Pedagogical Knowledge)’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둘째, 학생 주도의 팀 프로젝트 활동임에도 학생들은 지도교사의 비중을 50% 이상이라고 평가하여 지도교사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은 자신들이 만든 산출물의 완성도에 대해 지도교사의 객관적인 평가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모든 학생이 자신의 팀 프로젝트는 ‘성공’이라고 평가하여 ‘실패’라고 언급한 사례는 없었다.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 활동에 대해 지도교사와 참여 학생 간의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향후 팀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주요 동기 이론에 속하는 ‘기대-가치 이론’, ‘자기결정성 이론’ 및 ‘자기효능감 이론’ 등을 준거로 학생들의 내재적, 실용적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팀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ssential competencies that students and guiding teachers must exhibit when undertaking a ‘team project,’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known to foster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future talents. It also aimed to determine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guiding teacher and the impact of the final product’s completeness on the overall success of the project. The research involved a case study that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after a 3-week, 13-hour ‘Green Smart Future School Team Project Activity’ with 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3 guiding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leading a team project to success, students emphasiz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which fall under interpersonal competencies, over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 contrast, guiding teachers prioritized ‘Pedagogical Knowledge’ over ‘Content Knowledge.’ Second, despite the student-led nature of the team project activities, students regarded the role of guiding teachers as very important, evaluating their contribution to more than 50% of the project’s success. Third, students tended to rate the completeness of their output higher than the objective evaluations by their guiding teachers. Additionally, all students considered their team projects successful, with no instances of failure mention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guiding teachers and participating students on successful team project activities suggest the need to actively consider elements that can satisfy students’ intrinsic and practical values based on major motivation theories such as ‘Expectancy-Value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elf-Efficacy Theory’ when planning future team projects. Doing so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the likelihood of the team project’s suc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