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득 시스템 디자인 (Persuasive System Design) 기반 개인 맞춤형 러닝 서비스: 20~30대 러너를 중심으로

        황현주,심다림,한솔,박승민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2 No.1

        Background :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running culture has become more active as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value their personal health participate in running. With the influx of young people, online crew culture is actively emerging, and the trend of running culture and runners are becoming gradually diverse. However, most running services in the market suffer from the limitation that they provide uniform running services despite the diversified user base, resulting in low user engag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ustomized running service concept by analyzing user’s design needs based on the Persuasive Systems Design (PSD) theory. Methods : The service applicability of PSD was reviewed through case studies of running services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es about PSD. Afterward, a user experienc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or analysis. Based on user experience data, qualitative coding and PSD matrix analysis were conducted, and PSD principles requirements and core functions for each running user group were derived . To propose a specific service, a PSD-based personalized running service concept was developed through persona, user flow, and scenario, and expert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uitability of the service. Results : As a result, the novice runner group required principles such as Reduction and Personalization, and needed role-assisting functions to support continuous running. In the casual runner group, the principles of Tailoring, Liking and Social facilitation were required to support personalized content creation and to feel social recognition and a sense of achievement with other users. Lastly, the serious runner group were highly motivated by principles such as Goal-Setting and Expertise, which led to the need for functions that support running crew activities and improve competitions and personal records. Conclusion : This study proposed a personalized running service concept based on PSD that targets various user groups. Based on the PSD principles shown in each user group, the service concept proposed by in this study prevents users from leaving the service and provides a running experience optimized for each individual user by providing the customized function at each stage. 연구배경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개인의 건강을 중시하는 20~30대가 러닝에 참여하게 되면서 러닝 문화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젊은 층의 유입으로 인해 온라인 크루 문화가 활발히 나타나는 등 러닝 문화와 러너들의 성향이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러닝 서비스는 사용자층이 다양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러닝 서비스를 제공해 낮은 사용자 몰입도를 보인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별 디자인 요구사항을 설득 시스템 디자인(PSD)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맞춤형 러닝 서비스 콘셉트를 제안하고자 한다.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러닝 서비스 사례 조사와 설득 시스템 디자인 분석을 통해 러닝 서비스의 설득 시스템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후 사용자 경험 조사를 진행해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용자 경험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코딩 및 PSD 매트릭스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러닝 사용자 그룹별 설득 시스템 디자인 요구사항과 핵심 기능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서비스 콘셉트를 제안하기 위해 퍼소나, 유저 플로우,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설득 시스템 디자인 기반의 개인 맞춤형 러닝 서비스 콘셉트를 개발하였으며, 서비스 적합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사용자 그룹별로 중요하게 여기는 설득 시스템 디자인 원칙을 분석한 결과, 초보자 러너 그룹은 축소, 개인화 등의 원칙을 요구했으며, 서비스 차원에서 러닝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 보조 기능을 필요로 했다. 캐주얼 러너 그룹은 맞춤화, 호감, 사회적 촉진 등의 원칙이 높게 나타났으며, 맞춤형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를 통한 사회적 인정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서비스 기능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숙련자 러너 그룹은 목표 설정, 전문성 등의 원칙이 높게 나타나, 러닝 크루 활동을 지원하고 대회와 개인 기록 향상을 보조하는 기능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결론 : 본 연구는 러닝 서비스를 사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설득 시스템 디자인 기반의 맞춤형 러닝 서비스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각 사용자 그룹별로 나타난 설득 시스템 디자인 원칙을 바탕으로 단계별 요구 기능을 사용자에 맞추어 제공해 서비스 이탈을 방지하고,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러닝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