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arenting as a Two-way Street

        Hwayeon Helene Shin(신화연)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3

        호주 최대의 아동 종단연구, Growing Up in Australia: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LSAC)의 1회차부터 5회차 인터뷰 데이터[2004 (4~5세) 2012 (12~13세)]를 이용해, 아이들의 교우 괴롭힘양상(bullying status), 따돌림(victimisation)과의 관계 그리고 그들의 부모의 자녀양육형태(parenting practices)의 상관관계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3,630명의 아이들을 그들의 괴롭힘 형태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1) 5회차의 인터뷰동안 다른 아이들을 거의 괴롭히지 않았다고 보도된 집단 (기준집단, No bullying group), 2) 처음 3회차까지는 괴롭힘양상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괴롭힘 행위를 중단한 집단 (중단집단, Stopped bullying group), 3) 처음 3회차까지는 괴롭힘 양상을 거의 보이지 않았지만, 최근에 괴롭힘 행위를 보이기 시작한 집단(부상집단, Emerging bullying group), 그리고 마지막으로 4) 거의 모든 회차 인터뷰에서 다른 아이들을 괴롭혔다고 보도된 집단 (지속집단, Persistent bullying group)이다. 75%의 아동들이 기준집단에 속했고 부상집단은 가장 빈도가 적은 집단으로 26명이 배정되었다. 지속집단의 아이들은 다른 집단의 아이들에 비해 따돌림을 당하는 사례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 집단의 아이들은 기준집단에 비해 지속적 따돌림의 희생자가 될 확률이 8배 이상 높았다. 부모의 자녀양육형태 역시 아이들의 괴롭힘 양상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나아가 자녀양육이 일방적이라기보다는 아이들의 행동과 부모의 양육형태가 상호반응적임을 암시했다. 즉, 양육괴롭힘의 상관관계가 자명한 한편, 아이들의 행동이 오랫동안 개선되지 않았을 때, 부모의 양육형태 역시 악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지속집단의 부모는 다른 집단에 비해 바람직하지 않은 양육형태를 보였고 (기준집단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애정과 일관성; 높은 수준의 적대성) 특히 적대적 양육태도는 회차가 거듭될수록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속집단의 부모는 자녀양육효율성(parenting efficacy)에 대해서도 스스로 낮게 평가했다. 중단집단 부모의 자녀양육과 자녀교육효율성은 지속집단과는 다르게 회차가 진행됨에 따라 개선을 보였다. 자녀양육은 누구에게나 도전이다. 특히 요즘같이 괴롭힘과 따돌림이 이슈화되고 있는 세태에 부모의 염려와 자녀를 따돌림이나 괴롭힘의 폐해로부터 보호하려는 열망은 이해할 만 하다. 그러나 Patterson(1982, 1986)이 말했던 것처럼 따돌림과 괴롭힘은 집에서 시작된다는 말에 주목해야겠다. 결국 이러한 행동은 인간상호작용의 문제점의 발현이라는 데 많은 사람이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e.g., Pepler et al., 2008). 바람직하지 못한 자녀양육형태와 자녀의 반사회적 행동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지역사회 중재 프로그램 및 자녀양육 훈련의 중요성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Using the data from Growing Up in Australia: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LSAC) Waves 1 to 5,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r continuity in children’s bullying behaviours and parents’ parenting practices.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No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did not bully others across all or 4 waves); Stopped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did not bully others for the last 2 waves although they did at least twice in first 3 waves); Emerging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bullied others in the last 2 waves although they did not bully or bullied just once in the first 3 waves); and Persistent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bullied others across all or in 4 waves). Children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sed by their peers compared to other groups while those in the No bullying group were least likely to experience victimisation among the four group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pport the reciprocal nature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child bullying status over eight years; that is, parents’ parenting practices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bullying statuses and, at the same time, the children’s constant engagement with bullying behaviours deteriorated parents’ parenting practices and their efficacy as a parent. Parents with children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displayed the poorest parenting patterns across waves (i.e., relatively low parental warmth/low parental consistency/high parental hostility). In contrast, parents with children in the No bullying group showed more adaptive parenting patterns (i.e., high parental warmth/high parental consistency/low parental hostility). Children’s bullying statuses were also related to parent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efficacy was lowest for parents of children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while those of children in the No bullying group scored higher parenting efficacy compared to other groups. Children in the Stopped bullying group we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in the context of victimisation experiences, the hostile and consistent parenting they received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s’ parenting efficacy in the later wa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가보훈대상자 인구추계 및 보훈급여금 전망: 코호트요인법을 중심으로

        김형석(Hyungsuk Kim),신화연(Hwayeon Shin),이영자(Youngja Lee),이용재(Yongjae Lee) 한국보훈학회 2020 한국보훈논총 Vol.19 No.1

        2019년 정부예산 대비 보훈예산은 7.2%를 점유하고 있으며 세출예산과 기금예산 등 총 6조 3천억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출예산 중 보상예산은 약 4조 2천억 원에 달한다. 즉 보훈예산의 66%가 보훈급여금으로 지출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보훈보상금과 수당, 수시보상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국가보훈처의 보훈대상자 증감 DB, 인구코호트 보훈급여금 지급내역 DB를 분석하여 향후 30년간의 보훈대상자 추계와 보훈급여금 재정추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보훈대상자는 2018년 847,078명에서 2050년에는 보훈인구의 고령화로 참전유공자 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현재의 61.6% 수준인 521,829명으로 감소할 예정이다. 그리고 보훈급여금은 2018년 4조 1천억 원에서 2050년에는 10조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보훈대상자의 전반적인 노령화 추세로 인한 보훈급여금 추계의 문제점 및 보훈대상자별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모형이 부재하여 비용추계에 활용할 수 있는 모형 구축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보훈급여금의 중·장기적인 재정추계를 통해서 보훈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필요가 있다. On the basis of the 2019 government budget, the veterans budget accounts for 7.2 percent of the budget and comprises a total of 6.3 trillion won, including the appropriation budget and the fund budget. The compensation budget for the expenditure budget amounts to about 4.2 trillion won. In other words, 66 percent of the veterans budget is spent on welfare benefits, consisting of compensation, allowances and frequent compens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veterans population increase and decrease DB from 2011 to 2018 and the cohort veterans compensation and welfare benefit payment details DB to look at the estimates of the beneficiaries and the financial estimates of the benefits over the next 30 years. As a result, the number of veterans will drop from 847,078 in 2018 to 521,829 in 2050 from the current 61.6 percent, especially as the number of veterans of the war veteran de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aging of the veterans population. In addition, the benefits exceeded 10 trillion won in 2050 from 4.1 trillion won in 2018. Therefore, the problem of estimating the benefits due to the overall trend of aging of the beneficiaries in the future and the absence of a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beneficiaries of the benefits has continuously raised the need to build a model that can be used for estimating cos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execute the welfare budget through mid- and long-term fiscal estimates of the benefits.

      • KCI등재

        Conceptualising Institutional Safe Spacefor Adaptive Management of Shamefrom the Restorative Justice Perspective

        Shin, Hwayeon Helene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集 Vol.15 No.1

        This paper reviews the shame literature and conceptualises institutional safe spaces that help people manage shame safely shame has argued that institutions can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y create safe space that allows people to feel shame and manage shame without its adverse consequences (Ahmed et al., 2001). This means that people would feel safe to acknowledge shame and accept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without fear of stigmatisation or the disruption of social bonds. Without fear, there would be less likelihood of displacing shame that is, blaming others and expressing shame as anger towards others. Little work has been done on delineating what the dimensions of safe space are at work. The present study takes up this point to conceptualise safe spaces at work. 이 연구는 수치심의 문학에 대하여 검토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수치심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적으로 안전한 공간에 대하여 개념화해보고자 한다. 수치심이라는 것은 만약 그것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대인관계에 있어서 즉각적으로 분노나 폭력의 형태로 드러나는 핵심적인 감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만약 수치심이 제대로 인정되지 않을 경우, 수치심의 감정은 점점 커져서 수치심-분노의 소용돌이를 초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람들 간의 사회적 유대가 깨지게 된다. 몇몇은 수치심과 폭력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는 방법으로서 수치심을 경험하는 것을 전면적으로 회피하려 한다. 그러나 우리가 이를 단지 버릴 수만은 없는 이유가 있다. 수치심이란 자기규제적 감정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범법행위에 대하여 수치심을 느낀다면, 나중에 다시 범죄를 저지르는 비율이 감소할 것이다. 즉, 수치심이라는 것은 한편으로는 우리의 사회적 유대를 망가뜨릴 수 있는 방식으로서의 파괴적인 감정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또는 우리 자신을 규제할 수 있는 능력을 반영하는 도덕적 감정인 것이다. 이러한 자기모순적인 수치심의 본질로 인해, 어떻게 하면 사회적으로 적응가능한 방법으로 수치심을 다룰 수 있을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게 된다. 수치심 분야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자들 집단에서는, 어떤 제도들이 과연 사람들로 하여금 수치심을 느끼고 그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 없이 이를 잘 다룰 수 있게 하는 안전한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쟁을 거듭하여 왔다. 이는 사람들이 수치심을 인정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끼고, 낙인의 두려움이나 사회적 유대의 단절 없이도 그들의 행동의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려움 없이는 수치심을 대체할 만한 것, 즉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분노로서 수치심을 표출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그런데 이제까지 직장에서의 안전한 공간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현 시점에서의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직장에서의 안전한 공간에 대하여 개념화해보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