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뉴스 앵커에 대한 수용 의도의 선행요인 연구

        신하얀(Ha-Yan Shin),권상희(Sang-Hee Kwe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된 뉴스 앵커의 시청자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AI 뉴스 앵커에 대한 지각된 신뢰와 지각된 유용성, 의인화, 사회적 실재감, 그리고 이해도를 포함하는 5개의 선행요인이 사용자 수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AI 뉴스 앵커로부터 지각하는 능력과 호의, 진실성은 신뢰를 형성하는 선행요인으로 예측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513명의 조사 대상자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과 동일방법편의, 내적 일관성 평가와 함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포함한 척도 순화 프로세스를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한 결과, AI 뉴스 앵커로부터 지각하는 신뢰와 지각된 유용성, 의인화는 시청자 수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I 앵커로부터 지각한 능력과 진실성은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determinants to user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based news anchor. Our conceptual model included three constructs of ability, benevolence, and integrity to determine whether these three constructs are predictive of trust perceived from AI news anchor. This work further examined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anthropomorphism, perceived usefulness, understanding as well as trust as immediate determinants to user acceptance. The conceptual model was validat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513 respondents. A series of scale refinement process was conducted by the examination of data normality, common method bias, structure of latent variables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In add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the sample data collected from survey study measures the constructs adequate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1) two constructs of ability and integr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redictive of perceived trust, and (2) anthropomorphism, perceived usefulness, and trust emerged as significant and positive predictors of user acceptance of AI-based news anchor.

      • KCI등재

        언어 전달속도와 멀티태스킹이 광고기억에 미치는 효과

        신하얀(Ha Yan Shin),염정윤(Jung Yoon Yum),정세훈(Se Hoon Je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3

        본 연구는 방송 광고에서 언어 전달속도가 브랜드 및 광고 내용 기억에 미치는 효과가 멀티태스킹 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달속도세 가지(초당 4음절, 5.5음절, 7음절) x 멀티태스킹 여부가 포함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광고 전달속도와 멀티태스킹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멀티태스킹을 하지 않았을 때에는 빠른 속도(초당 7음절)가 광고 기억을 가장 증가시킨 반면, 멀티태스킹을 실행하였을 경우에는 보통 속도(초당 5.5음절)에서의 광고 기억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적 각성 수준으로 설명 가능하며, 광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지닌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rate of ad presentation and multitasking on brand and ad content recall. A 3 rate of ad presentation (4 words/sec. 5.5 words /sec, and 7 words /sec) by 2 multitasking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rate and multitasking. When not multitasking, the fastest rate of presentation resulted in greatest recall. On the other hand, when multitasking, a moderate rate of presentation resulted in greatest recall. The results can be explained based on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theory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d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