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휘분석을 통한 경관계획 단계별 계획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신윤지 ( Shin Yunji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15 한국경관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계획을 내용의 일관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으며, 계량적인 수치로 이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타 분야에서 계획의 연계성 또는 일관성을 검토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사례를 통하여 도출한 일관성 평가 방법 및 수식을 본 연구의 특성과 대상에 맞게 변경하여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를 반영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목포시, 의왕시 총 4개의 지방자치단체의 경관계획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정된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계획의 구성단계를 계획의 개요, 경관자원조사 분석, 기본구상, 기본계획, 경관설계지침, 실행계획 총 6개의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구성어휘를 MalSem41 프로그램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평가 수식을 활용하여 이들의 단계별 일관성을 검토하였다. 평가는 지자체별 평가와 단계별 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4개의 지방자치단체들의 평균 단계별 일관성이 도출되었다. 평균적으로 대전광역시가 가장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대구광역시가 단계별로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목포시, 의왕시 순으로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6개의 단계를 통하여 나타나는 5개의 단계별 평균 일관성을 살펴보면, 경관자원조사 분석과 기본구상 간의 일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계획의 개요와 경관자원조사 분석 사이의 일관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일관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4개의 지자체가 나타내는 단계별 일관성의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재 여러 연구에서 경관계획 내 연계성 부족, 내용의 불일치성 등 경관계획에 대한 지적이 있었으나, 이를 검토를 실시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관계획의 양적 개수가 증가하는 현 시점에 경관계획의 내용을 내용의 일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정략적인 평가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단어의 반복만으로 일관성을 측정하여 경관계획내용의 정성적인 측면까지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4개의 도시만 평가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landscape plan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s consistency with a quantitative method. To do this it is firstly needed to review other cases related to consistency or consistency of contents. Through other cases, expression is built in considering this study’s character and subject of evaluation in this study. And four municipal corporations such as Daegu, Daejoen, Mokpo and Uiwang are selected the subject for this study. First, a landscape plan is divided into six steps like summary of the plan, landscape resources survey, basic concept, landscape plan, design guidelines, and action plan. For examining, MalSem41 program that can analyze vocabulary and its frequency is used. Also, in this study, it has own expression for evaluation and this tool gives two viewpoint. One is each municipal corporation’s consistency and another is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teps. As the result, the average consistency index is given and Daejoen has the highest consistency index. Then Daegu shows the second highest index. In succession, Mokpo and Uiwang are appeared by very little. About the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teps, the consistency between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basic concept shows the highest but between summary of the plan and landscape resources survey has the lowest.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endency of consistency in the landscape plan. Until now, there have been some opinion about lack of landscape plan’s consistency, but the research for studying this is not enough. Also, these are not for quantitative so it is hard to comparison of consistenc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try to examine landscape plans with quantitative especially about consistency. However it does not cover qualitative method and it treats just four cities.

      • KCI우수등재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주신하,신윤지,Joo, Shin-Ha,Shin, Yunji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3

        본 연구는 국내의 경관자원에 대한 유형별 평가 현황과 해외 경관자원 평가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경관자원 평가 체계에 있어 평가방법, 평가기준, 활용방안 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경관자원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등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자원의 정의와 유형을 검토하고, 경관자원에 관한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2개 국내 경관자원 조사 및 평가 사례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련 조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경관자원 조사 기준이나 선정 절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가 매우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경관자원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에 대한 재평가제도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경관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사된 경관자원을 영향평가나 경관계획과 같은 다른 제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경관자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에 그치고 있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국내외 경관자원 조사현황을 분석하여 경관자원에 대한 평가방법, 기준, 활용방안 등을 파악을 통하여 향후 경관자원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foreign ca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it. Several cases are compared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application plan. Twelve domestic cases of landscape resources survey a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status, and 5 foreign case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ystem.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ome implications are drawn for domestic landscape resource system.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more objective criteria to evaluate and select landscape resources. Various values of landscape resources should be included into the criteria and more people, as well as experts, should participate to reflect local conditions. Secondly, the management for the landscape resources must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periodic reassessment system and to construct and manage a database of the landscape resources. Lastly, the landscape resource system should be integrated into other programs such as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landscape planning. For a better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efficient evaluation, resources should be comprehensively managed including various landscape typ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upporting policies and legislation. This research covered only the current status of the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reviewed a limited number of foreign cases.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is meaningful for showing the importance of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and to suggest some future tasks for better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