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방안

        신윤경 ( Yoon Kyoung Shin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7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읽기·쓰기’ 통합을 적용, 새로운 수업안을 만들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언어 기술의 통합을 통한 학습 능력 향상에 대한 논의는 이미 여러 방향에서 논의된 바 있으나, 특히 한국어 교육의 문학 수업에 적용시킨 예는 드물다. 따라서 언어 기술의 통합, 특히 ‘읽기·쓰기’를 통합함으로써 문학 텍스트 읽는 과정을 심화시키고, 내용 이해에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수업안을 개발, 고급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시켜 보았다. 결과는 ‘읽기·쓰기’ 통합으로 진행된 반의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읽기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지만, ‘읽기·쓰기’ 통합 이론의 실제 적용이라는 점과 문학 수업을 위한 새로운 수업안의 개발이라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new teaching methodology for Korean literature class, “Reading and Writing combined methodology”, and apply the new method to the actual class. It has been studied and discussed that the learning capability can be improved when combined language skills are used for language teaching class. however, it has not actually been use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class. Moreover, it has been discussed and proved several times that the combination of “reading” and “Writing” out of several language skill combinations is particularly important and closely related. Therefore, to combine “Reading” and “writing” can improve the literature text reading procedure,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literature content, and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as well. Based on this thesis, I designed the teaching methodology for Literature (Non Fiction) class and applied the methodology to students in two high level clas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hrough the “reading and writing” combined methodology had better content understanding and reading capability. Even though there is several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it can be quite meaningful as it was the first trial to apply “reading and writing” combined teaching methodology to actual teaching classes and to design new literature teaching methodolog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어 교사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과 재외동포재단의 연수를 중심으로-

        신윤경 ( Shin Yoon-kyeong ),이진경 ( Lee Jin-kyoung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온라인 연수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불가피하게 온라인 연수를 진행했지만, 코로나가 종식되어 오프라인 연수가 재개된다고 하더라도 온라인 교육방식은 필수적인 시대를 맞았다. 이에 온라인 교사 연수라는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먼저 코로나 19 이전에는 대면으로 진행되었다가 비대면으로 전환해 진행했던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교원 배움이음터’와 재외동포재단의 ‘한글학교 교사 초청 연수’를 비교·분석했다. ‘한국어교원 배움이음터’와 ‘한글학교 교사 초청 연수’의 대상과 목적 등 기본적 개념을 살피고,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진행되었던 상세한 내용을 살폈다. 연수 기간, 연수 과목, 수업 시간, 수업 방법(분임 토의, 친교의 시간 포함), 교육 운영 방법 등이 그것이다. 그 후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한계와 보완 방향을 찾고자 했다. 교사들의 생애주기와 특성에 맞는 내용 구성이 우선되어야 하고, 온라인 특성에 맞는 강의 수강 방법과 연수 기간, 분임 토의 및 사전과제의 적절성, 비대면으로도 충분히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온라인 공간 마련, 신속하고 세심한 의사소통 창구 마련 등을 제안했다. 앞으로 여러 온라인 연수를 개발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in developing online trai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During the COVID period, it was necessary to conduct all the trainings online, however, it became essential to keep online trainings as one of the training methods, even if offline trainings are resumed post COV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proper onlin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trainings. As a starting point, the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he 'Invitation Training for Korean School Teachers' from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which were conducted face-to-face before COVID-19 then converted as online training during COVID-19 peri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ic concepts such as target audience and purpose of the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Invitation Training for Korean School Teachers' were examined, and the details of the training parts converted as on-line were viewed. These include the training period, training subjects, class hours, teaching methods (including breakout discussion and networking), and operating methods. After that, based on the review and analysis, we tried to find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the study, we suggest that the training contents suitable for teachers' life cycle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designed first. Then, we propose the method of taking on-line lectures and training period, the appropriateness of breakout discussions and pre-assignments, time and online space for sufficient on-line networking, and fast and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We hope the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 material when developing various online training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