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노동조합이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

        신우리 ( Woori Shin ),송헌재 ( Heonjae Song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6 勞動經濟論集 Vol.39 No.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노동조합이 우리나라 여성근로자들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여성근로자들의 임금함수 추정과정에서 경제활동참여에 의한 선택편의를 고려하였고, 종업원수가 무응답인 경우 그 값을 보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직장에 노동조합이 있고 노동조합에 가입한 조합원 근로자와 가입하지 않은 비조합원 근로자를 직장에 노동조합이 없는 근로자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정효과 모형 추정에서 조합원 및 비조합원 더미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OLS 모형 추정에서 나타난 노동조합의 임금효과는 능력이 높은 여성근로자들이 유노조 사업체에 취업하는 것을 더 선호한 결과이며, 비조합원의 무임승차 효과는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bor unions on the wages of Korean female worker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In the estimation we considered the self-selection bias due to th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decision and a plausible non-response bias from not answering the question about the company size in terms of number of employees. By fixed effect estimation we found that labor unions in Korea do not increase the wages of both the female union workers and non-union workers who work at a company in which a union is organized comparing to female workers who work at company without a union. This results indicates that female workers who work in the company with labor union tend to have unobserved characteristics tha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wages and the probability to enter the company with labor union. We also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free-rider effects of non-union workers.

      • 근로장려세제 확대 개편의 효과 분석

        신우리(Woori Shin),송헌재(Heonjae Song)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8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의 확대개편이 가구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근로장려세제 개정에 따라 근로장려금 수급요건 중 부양자녀 요건과 수급대상자 조건이 변경된 점을 활용하여 새롭게 수급대상이 된 가구와 개정 후에도 근로장려금을 수급할 수 없는 가구를 비교분석대상으로 구성하여 개편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근로장려세제가 전반적으로 저소득 가구의 경제활동참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확대 개편되었음을 보여주어 근로장려세제의 효과성과 더불어 제도 개편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다.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expansion of EITC(earned income tax credit) program of Korea on the household labor supply. The effects of the reforms are estimated by comparing the household group which could receive EITC benefit by the reforms and the comparable household group who still could not receive the benefit because they do not satisfy some of eligibility condi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pansion of EITC tend to induce more labor participation of the low income households.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ectivenes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apid expansion of EITC program of Korea government.

      • KCI등재

        소득세 공제방식변경이 교육투자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소득재분배에 대한 함의

        신우리 ( Woori Shin ),송헌재 ( Heonjae Song ),전병목(논평) 한국금융연구원 2020 한국경제의 분석 Vol.26 No.1

        We examined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income tax deduction system on return to education through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imilar to DID. As a result of the quantile analysis, the post-tax return to education was similar to the pre-tax return to education at low quantile. At high quantile, however, the post-tax return to education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tax return to education, which is more prominent after the tax revision. Regression analysis similar to DID showed that the pre-tax return to education of high-income earner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the tax revision, but the post-tax return to educ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ax revision may increase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in the short term, but in the long ter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entive to invest in education due to the decrease in return to education.

      • KCI등재

        가계부채와 기혼여성 노동공급의 관계 분석

        송헌재 ( Heonjae Song ),신우리 ( Woori Shi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7 勞動經濟論集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재정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가계부채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구의 이자비용 납부액 대비 가구 금융부채 금액을 이용하여 가구의 유효이자율을 구축하였다. 금융부채가 없는 가구의 경우 Heckman Selection 모형을 적용하여 가구의 이자율을 추정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가구에서 부담하는 유효이자율이 상승하게 될 경우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확대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로부터 기준금리가 인상되는 상황에서 예상할 수 있는 부정적인 시나리오를 가구 노동공급 증가와 근로소득의 상승효과를 통해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debts and married female`s labor supply. For doing this we construct effective interest rate faced by each household using interest paid amount and household financial debt amount. The effective interests rate for the households which have no financial debt are estimated by Heckman Selection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crease in effective interest rate has led to the expansion of married women`s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is suggests a possibility that negative scenarios resulting from an increase in interest rate can be partially offset by an increase in household labor supply and a rise in labor income.

      • KCI등재

        최저임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전병힐 ( Byung-hill Jun ),송헌재 ( Heonjae Song ),신우리 ( Woori Shi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1 勞動經濟論集 Vol.44 No.1

        본 연구는 최저임금의 조정이 생산자 물가지수와 주요 외식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최저임금의 효과를 식별하기 위해 산업·지역 간 임금분포의 차이로 인해 최저임금에 영향을 받는 근로자 비율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임금 관련 근로자 비율과 생산자 물가지수 및 주요 외식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저임금 관련 근로자 비율이 1%포인트 증가할 때, 생산자 물가지수는 0.77∼1.68%, 주요 외식비는 0.16∼1.86% 올라가는 경향이 존재한다고 추정되었다. 이는 분석기간 동안 생산자 물가지수 및 주요 외식비의 연평균 상승분 중 각각 0.82∼3.01%와 4.45∼47.04%가 최저임금 조정과 관련 있음을 의미한다. The objective of our study i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 a producer price index (PPI) and selected restaurant menu prices. As an identification strategy, we exploit inter-industrial and inter-regional variations in the share of workers who are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Estimation results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 of workers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and prices. Specifically, a PPI and selected restaurant menu prices tend to rise by 0.77∼1.68% and 0.16∼1.86%, respectively as the share of workers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increase by 1%p. These estimates imply that during the period of our analysis 0.82∼3.01% and 4.45∼ 47.04% of overall changes in a PPI and selected restaurant food prices are associated with the adjustment in the minimum w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